본문내용
측정했을 때 측정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았다.
실험 2에서 길이 측정 시료 안지름의 평균이 14.07이고 면적은 이므로 r에 14.07/2를 넣어 계산하게 되면 ≒155.5이고 부피는 (면적)×(깊이)이므로 구한 면적 49.49π×20.00=989.8π≒3110이다.
7.결과에 대한 논의
처음으로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할때마다 측정값이 다르게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예상과 다르게 측정값이 거의 일정하게 나왔다.
철사의 지름을 구한것의 표준오차는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0이 나왔으므로 정확한 결과는 아니다.
길이 측정 시료의 바깥지름을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을 때는 측정값이 일정했으나 버니어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는 측정값이 일정하지 않았다.
8.결론
길이 측정횟수가 5번으로 작기 때문에 정확한 오차를 찾기 힘들다.
움직이지 않고 딱딱한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였기에 측정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버니어캘리퍼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것보다 오차가 작기 때문에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9.참고 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청문각)
실험 2에서 길이 측정 시료 안지름의 평균이 14.07이고 면적은 이므로 r에 14.07/2를 넣어 계산하게 되면 ≒155.5이고 부피는 (면적)×(깊이)이므로 구한 면적 49.49π×20.00=989.8π≒3110이다.
7.결과에 대한 논의
처음으로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할때마다 측정값이 다르게 나올거라 생각했는데 예상과 다르게 측정값이 거의 일정하게 나왔다.
철사의 지름을 구한것의 표준오차는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0이 나왔으므로 정확한 결과는 아니다.
길이 측정 시료의 바깥지름을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했을 때는 측정값이 일정했으나 버니어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는 측정값이 일정하지 않았다.
8.결론
길이 측정횟수가 5번으로 작기 때문에 정확한 오차를 찾기 힘들다.
움직이지 않고 딱딱한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였기에 측정값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 버니어캘리퍼를 사용하여 길이를 측정하는 것보다 오차가 작기 때문에 더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다.
9.참고 문헌 및 출처
일반물리학실험 (부산대학교 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청문각)
키워드
추천자료
오차론에 대한 리포트
오차론
[물리학] 길이 및 곡률 반경 - 버니어 캘리퍼(Vernier Calliper), 마이크로미터(Micrometer),...
길이 및 곡률반경 실험
[측정기][골밀도측정기][전자근관장측정기][접이식 좌전굴 측정기][뇌파측정기][두개내압측정...
[질량측정, 부체 질량측정, 물체 질량측정, 기체 질량측정, 모래시계 질량측정, 감쇠진동 질...
[측정실험, 증산량, 구심력, 온도, 피부온, 엔트로피]증산량 측정실험, 구심력 측정실험, 온...
측정과 진동측정, 측정과 압력손실측정, 측정과 증기압측정, 측정과 회전수측정, 측정과 배율...
[측정도구,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선정과 제작, 측정도구와 교육평가, 측정도구와 수행평...
[일반 물리학 실험] (결과 보고서) 거리측정 - 버니어캘리퍼 & 마이크로미터
길이_및_힘의_평형
[물리학실험]오차론, 반응시간 예비 및 결과 보고서
곡률 반경과 길이 - 버니어캘리퍼와 마이크로미터
길이 및 곡률 반경 실험 예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