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성 SDS의 기업소개
2. 삼성 SDS의 물류사업 진출배경
3. 삼성 SDS의 4PL 및 첼로(CELLO) 시스템
4. 삼성 SDS의 아웃소싱 전략
5. 삼성 SDS의 문제점 : 일감 몰아주기 우려
6. 결론 및 느낀점
2. 삼성 SDS의 물류사업 진출배경
3. 삼성 SDS의 4PL 및 첼로(CELLO) 시스템
4. 삼성 SDS의 아웃소싱 전략
5. 삼성 SDS의 문제점 : 일감 몰아주기 우려
6.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위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중국, 동남아, 북미 지역을 거점으로 45개국 해외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20개 해외 통신 거점과 3중 글로벌 백업센터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삼성전자 글로벌 물류IT 통합 프로젝트도 수행하였다.
4PL이란, 전문물류업체(3PL)가 자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IT업자, 전문 컨설팅업체, 다른 물류업자 등과 제휴를 맺고 공급체인상의 모든 물류기능에 대해 종합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류서비스를 아웃소싱 하는 기업들이 단일계약을 통해 공급체인 전체를 지원하는 통합된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 하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보통 2개 이상의 기업과 합작투자 또는 장기적인 제휴관계를 구축하는 혼합조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서비스 범위 확대로 컨테이너 적재, 운송경로 등의 최적화, 생산·판매 거점 등 위치 설계와 공장·판매점 최적화도 제공한다.
삼성SDS는 중견 물류기업과 협력해 삼성전자 등의 물류사업을 수행할 방침이다.
국내 중견 물류기업이 삼성SDS의 물류IT서비스를 활용해 DHL·UPS 등 다국적 물류기업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5. 삼성 SDS의 문제점 : 일감 몰아주기 우려
삼성SDS의 물류 시스템 중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일감 몰아주기’이다. 실제로 삼성SDS가 급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이 자사 계열사들의 물량을 모두 수주 받아서 성장했다. 그러나 자사의 매출을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정도로 성장하여 다른 기업의 물량까지 따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6. 결론 및 느낀점
애플,나이키 등과 같은 기업처럼 핵심업무만 직접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는 모두 아웃소싱해야 할 것이다.
확실한 목표시장 설정하여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4자 물류의 핵심은 하드웨어(설비)가 아닌 소프트웨어(물류플랫폼)이다.
삼성 계열사 이외의 물동량을 확보하지 못 하면 성장이 정체 될 수 있다.
삼성SDS는 단순 IT관련 기업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 발표준비를 하며 삼성SDS 물류 사업진출에 대해 조사하다보니 아 이렇게도 물류의 거래와 관리가 가능하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성SDS는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여러 시행착오와 적자도 감수해야하지만 후에 삼성SDS의 물류혁신이 삼성뿐만 아니라 모든 물류에 혁신의 바람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된다.
4PL이란, 전문물류업체(3PL)가 자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줄 수 있는 IT업자, 전문 컨설팅업체, 다른 물류업자 등과 제휴를 맺고 공급체인상의 모든 물류기능에 대해 종합적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류서비스를 아웃소싱 하는 기업들이 단일계약을 통해 공급체인 전체를 지원하는 통합된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 하는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보통 2개 이상의 기업과 합작투자 또는 장기적인 제휴관계를 구축하는 혼합조직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서비스 범위 확대로 컨테이너 적재, 운송경로 등의 최적화, 생산·판매 거점 등 위치 설계와 공장·판매점 최적화도 제공한다.
삼성SDS는 중견 물류기업과 협력해 삼성전자 등의 물류사업을 수행할 방침이다.
국내 중견 물류기업이 삼성SDS의 물류IT서비스를 활용해 DHL·UPS 등 다국적 물류기업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5. 삼성 SDS의 문제점 : 일감 몰아주기 우려
삼성SDS의 물류 시스템 중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일감 몰아주기’이다. 실제로 삼성SDS가 급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이 자사 계열사들의 물량을 모두 수주 받아서 성장했다. 그러나 자사의 매출을 기반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정도로 성장하여 다른 기업의 물량까지 따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6. 결론 및 느낀점
애플,나이키 등과 같은 기업처럼 핵심업무만 직접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핵심업무를 제외한 나머지 업무는 모두 아웃소싱해야 할 것이다.
확실한 목표시장 설정하여 기회비용과 매몰비용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4자 물류의 핵심은 하드웨어(설비)가 아닌 소프트웨어(물류플랫폼)이다.
삼성 계열사 이외의 물동량을 확보하지 못 하면 성장이 정체 될 수 있다.
삼성SDS는 단순 IT관련 기업인 줄 알았는데, 이렇게 발표준비를 하며 삼성SDS 물류 사업진출에 대해 조사하다보니 아 이렇게도 물류의 거래와 관리가 가능하구나.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성SDS는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여러 시행착오와 적자도 감수해야하지만 후에 삼성SDS의 물류혁신이 삼성뿐만 아니라 모든 물류에 혁신의 바람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였다.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업분석 - 삼성전자
삼성전자와 탈레스의 전략적 제휴에 대하여
삼성 공기 청정기의 브랜드 전략.
삼성전자의 경영전략-기업성공요인 및 문제점과 인사제도 분석
삼성테스코 홈플러스에대해
삼성테스코홈플러스 분석
삼성그룹의 전략 및 사례 분석
삼성전자 LG전자 경영분석과 미래예측(A+레포트)
삼성 그룹의 성공 / 실패 마케팅 전략 분석
삼성전자 와 HP의 미래 성장 전략
삼성전자 분석
2010년 삼성전자 연구직 / 기술직 대졸신입 3급 합격자 자기소개서
삼성전자 반도체 RFID 적용사례분석및 기대효과와 향후발전전망 분석
[삼성 전자 SCM 사례] e-Manufacturin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