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약...................................................................................3
1. 서론................................................................................5
2.문헌고찰.............................................................................10
3.연구방법.............................................................................13
4.결론.................................................................................18
5.제언.................................................................................20
1. 서론................................................................................5
2.문헌고찰.............................................................................10
3.연구방법.............................................................................13
4.결론.................................................................................18
5.제언.................................................................................20
본문내용
뇌졸중의 신경학적 사정 도구인 NIHSS 적용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9권 제1호, 2013년 4월
요약
➢ 목적: 뇌졸중환자의 신경학적 사정에서 신경학적 악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유효한 도구를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NIHSS는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반영하는 최고의 도구라 여겨진다. NIHSS의 이용에서 교육 프로그램은 그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하였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 방법: 온라인강의와 비디오 수업, 실무교육을 포함한 NIHSS교육 프로그램(NEP)을 2010년 4월부터 7월까지 제공되었다. NEP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뇌졸중센터에서 허가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간호기록이 분석되었다. 대조군(100명)과 실험군(115명)의 두 그룹이 포함되었다.
요약
➢ 결과: 각 환자의 신경학적 징후에 대한 간호 기록은 특히 시각장애, 안면마비에서 증가되었다. 사지마비, 언어장애, 발음장애, 무시 징후는 상당히 증가되었다. 신경학적 변화를 가진 환자의 보고율도 증가하였고, 간호사의 신경학적 악화 발견율 또한 증가되었다.
➢ 결론: NEP는 신경학적 사정의 간호기록율과 신경학적 악화 발견율을 증가시켰다.
1.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 급성기 뇌졸중 환자 간호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신경학적 사정이다.
➢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변화는 급격히 진행할 수 있으며 불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증상악화의 조기발견은 환자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빠르고 정확하며 구체적인 점수 체계를 갖춘 도구 사용은 검사의 질을 높이며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신경학적 손상을 측정하는 도구 중 NIHSS는 의식수준, 주시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발음장애, 무시의 총 11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경학적 손상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임상간호연구 제19권 제1호, 2013년 4월
요약
➢ 목적: 뇌졸중환자의 신경학적 사정에서 신경학적 악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유효한 도구를 가지는 것은 중요하다. NIHSS는 허혈성 뇌졸중환자의 신경학적 상태를 반영하는 최고의 도구라 여겨진다. NIHSS의 이용에서 교육 프로그램은 그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계획하였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 방법: 온라인강의와 비디오 수업, 실무교육을 포함한 NIHSS교육 프로그램(NEP)을 2010년 4월부터 7월까지 제공되었다. NEP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뇌졸중센터에서 허가된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간호기록이 분석되었다. 대조군(100명)과 실험군(115명)의 두 그룹이 포함되었다.
요약
➢ 결과: 각 환자의 신경학적 징후에 대한 간호 기록은 특히 시각장애, 안면마비에서 증가되었다. 사지마비, 언어장애, 발음장애, 무시 징후는 상당히 증가되었다. 신경학적 변화를 가진 환자의 보고율도 증가하였고, 간호사의 신경학적 악화 발견율 또한 증가되었다.
➢ 결론: NEP는 신경학적 사정의 간호기록율과 신경학적 악화 발견율을 증가시켰다.
1.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 급성기 뇌졸중 환자 간호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신경학적 사정이다.
➢ 뇌졸중 환자의 신경학적 변화는 급격히 진행할 수 있으며 불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증상악화의 조기발견은 환자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빠르고 정확하며 구체적인 점수 체계를 갖춘 도구 사용은 검사의 질을 높이며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신경학적 손상을 측정하는 도구 중 NIHSS는 의식수준, 주시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발음장애, 무시의 총 11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경학적 손상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추천자료
[가정복지] 가족사정
뇌졸중- 특히 노인
신경계 CNS, PNS, ANS의 구조 및 특징 신경학적 검사
뇌졸중 관련 국외저널 25개 요약해석본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보호와 통제가 필요한 클라이언트의사정(assessment)에 관한 모든 것
[가족복지개론] 가족복지에 대한 정리 - 가족의 이해, 가족문제의 이해, 가족복지의 이해, 가...
지역사회복지실천과정 중 지역사회에 대한 사정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것에 대한 중요성...
[지주막하출혈][증상][합병증][뇌졸중][중풍][진단][치료]지주막하출혈의 개념, 지주막하출혈...
[아동간호학] 아동의 통증사정
뇌졸중 후 연하장애 환자의 신경근 전기자극 강도 차이에 따른 효과
[노인의 뇌졸중 미술치료] 노년기 뇌졸중과 미술치료
[뇌졸중] 뇌졸중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검사, 뇌졸중 예방 및 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