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실 험
1) 실험 준비
2) 실험 방법
3. 실험결과
4. 고찰 및 개선 사항
1) 고 찰
2) 결과 분석
3) 오차 분석
4) 주의 사항
5) 개선 사항
5. 참고문헌
2. 실 험
1) 실험 준비
2) 실험 방법
3. 실험결과
4. 고찰 및 개선 사항
1) 고 찰
2) 결과 분석
3) 오차 분석
4) 주의 사항
5) 개선 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열전달에 대한 계산은 무시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계산을 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둘 째, 상자의 문을 열고 닫을 때 얼음이 흔들리는데, 이 때의 열전달은 자연대류라고 보기 어렵고, 이 흔들림 때문에 열전달이 조금 더 빨리 일어났을 것이다.
셋 째, 실험 시작 시 얼음을 고정 장치에 매달기 위하여 손으로 직접 만지는데, 이 때 손의 열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많이 녹았고, 이 때 떨어진 물방울이 비커로 들어가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넷 째, 얼음이 실로 인하여 공중에 매달려있는데, 얼음의 무게, 즉 중력에 의하여 얼음과 실의 접촉부분 압력이 높아져서 열을 발생시켰을 것이고, 그로인해 그 부분이 다른 곳에 비해 더 많이 녹게 되었을 것이다.
다섯 째, 상자의 크기가 작아서 그 안의 공기 온도가 얼음으로 인하여 내려갈 수 있고, 이는 열전달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섯 째, 얼음의 형태학적 측면에서 그 정확한 표면적을 계산할 수 없었다. 그리고 얼음은 계속 녹기 때문에 매 순간 표면적을 측정하여 계산해야 하는데, 표면적을 측정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과, 강제대류, 측정도구에 의한 열전달 등으로 인하여, 매번 표면적을 측정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처음 잰 표면적을 사용하여 실험의 마지막 과정까지 계산하였고, 이로 인해 그 결과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4) 주의 사항
① 요구르트 병, 탁구공 등을 이용하여 얼음을 얼린 경우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그 틀을 자르는데, 그 잘린 단면이 날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② 얼음을 실험장치에 고정시킬 때 신속히 하여서 얼음의 형태와 표면적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5) 개선 사항
① 얼음을 고정 장치에 매달 때 물이 저울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결과에 대한 오차를 줄인다.
② 실험 장치를 설치할 때 얼음이 최대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강제대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③ 자연대류를 위해 만들어 놓은 상자를 조금 더 큰 것으로 바꾸어서 얼음의 영향으로 인한 상자 속 공기의 온도 변화 폭을 줄이면 좋을 것이다.
5. 참고문헌
[1] 화공 현상 실험 준비실, 『화공현상실험』,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1997, pp.39 ∼ 44
[2] James O. Wilkes, 『화학공학 유체역학』, 도서출판 한산
[3] 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4] Naver 지식사전 - http://terms.naver.com
둘 째, 상자의 문을 열고 닫을 때 얼음이 흔들리는데, 이 때의 열전달은 자연대류라고 보기 어렵고, 이 흔들림 때문에 열전달이 조금 더 빨리 일어났을 것이다.
셋 째, 실험 시작 시 얼음을 고정 장치에 매달기 위하여 손으로 직접 만지는데, 이 때 손의 열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많이 녹았고, 이 때 떨어진 물방울이 비커로 들어가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넷 째, 얼음이 실로 인하여 공중에 매달려있는데, 얼음의 무게, 즉 중력에 의하여 얼음과 실의 접촉부분 압력이 높아져서 열을 발생시켰을 것이고, 그로인해 그 부분이 다른 곳에 비해 더 많이 녹게 되었을 것이다.
다섯 째, 상자의 크기가 작아서 그 안의 공기 온도가 얼음으로 인하여 내려갈 수 있고, 이는 열전달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섯 째, 얼음의 형태학적 측면에서 그 정확한 표면적을 계산할 수 없었다. 그리고 얼음은 계속 녹기 때문에 매 순간 표면적을 측정하여 계산해야 하는데, 표면적을 측정하는 동안 발생하는 열과, 강제대류, 측정도구에 의한 열전달 등으로 인하여, 매번 표면적을 측정 할 수가 없기 때문에 처음 잰 표면적을 사용하여 실험의 마지막 과정까지 계산하였고, 이로 인해 그 결과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4) 주의 사항
① 요구르트 병, 탁구공 등을 이용하여 얼음을 얼린 경우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그 틀을 자르는데, 그 잘린 단면이 날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② 얼음을 실험장치에 고정시킬 때 신속히 하여서 얼음의 형태와 표면적이 변하지 않도록 한다.
5) 개선 사항
① 얼음을 고정 장치에 매달 때 물이 저울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결과에 대한 오차를 줄인다.
② 실험 장치를 설치할 때 얼음이 최대한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강제대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③ 자연대류를 위해 만들어 놓은 상자를 조금 더 큰 것으로 바꾸어서 얼음의 영향으로 인한 상자 속 공기의 온도 변화 폭을 줄이면 좋을 것이다.
5. 참고문헌
[1] 화공 현상 실험 준비실, 『화공현상실험』,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1997, pp.39 ∼ 44
[2] James O. Wilkes, 『화학공학 유체역학』, 도서출판 한산
[3] Wikipedia http://www.wikipedia.org
[4] Naver 지식사전 - http://terms.naver.com
키워드
추천자료
전도,대류,복사
대류열전달 실험 결과보고서
대류 예비레포트.
유체의 대류 (Convection)
[실험레포트] 이동현상실험 -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화학공학] 이동현상실험 Melting of Ice by Natural Convection - 열전달의 기본개념을 토대...
[이동현상실험] 자연대류 강제대류 실험[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보고서
[이동현상실험] 자연대류 실험[Melting of Ice by Natural Convection]
[결과] 자연대류와 강제대류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