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 개념과 기능- 공동체 개념의 혼론과 체계화 및 공동체의 기능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동체 개념과 기능- 공동체 개념의 혼론과 체계화 및 공동체의 기능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동체 개념의 혼란과 체계화
1) 공동체의 개념
2) 공동체 개념에 대한 혼란
3) 공동체의 특성

2. 공동체의 기능
1) 생계활동에 대한 협동
2) 규범과 가치창출의 장
3) 사회적 잠재기능 수행
4) 중간집단의 기능 수행

본문내용

사회적 잠재기능 수행
셋째, 공동체는 사회적 잠재기능을 수행한다. 공동체는 사회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과 갈등, 모순을 해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공동체가 가끔 집단적 이기주의에 빠져 갈등을 야기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 공동체는 사회적 갈등과 모순을 은밀히 해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물질과 권력추구의 직장과 사회생활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좌절과 공격심리는 가정과 동료집단, 근린과 같은 게마인샤프트적 공동체 게마인샤프트를 공동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 게마인샤프적 공동체는 최근 게젤샤프트적 성격을 지닌 기업이나 상행위마저 공동체로 일컫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일차적 관계로 이루어진 집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에서 해소될 수 있다(Parsons 1951).
넷째 공동체는 자아실현의 장을 마련해 준다. 인간 삶의 궁극적 욕구는 자아실현이다. 가정, 직장, 이웃, 등 공동체적 결사의 중요한 기능은 개인적인 인간을 사회적인 인간으로 사회화시키는 것이다. 개인은 소규모의 집단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아실현의 목표와 동기를 구체화시킨다. 그래서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인간은 일차적 사회관계를 떠나서 살 수 없다. 개인이 사회로부터 받는 가장 큰 처벌은 공동체로부터 떠나게 하는 것이다. 감옥과 집단 따돌림이 그 예가 된다. 현대사회의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는 집단으로부터의 소외와 자아의 정체성 상실이다. 가정이나 직장을 제외하면 어떠한 사회조직이 소외와 정체성 위기를 극복해 줄 수 있는가? 그래서 현대인들은 사라져 가고 있는 전통적 공동체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는가 생각된다. 문제는 이러한 일차적 집단들이 날로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소규모 공동체들을 구축할 수 있는가가 기술 정보사회의 가장 큰 과제라 할 수 있다.
4) 중간집단의 기능 수행
마지막으로 공동체는 중간집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온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 공동체로 변해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의 목소리는 너무나 미약하여 어디에서도 들리지 않는다. 국가의 권력집중과 세계경제의 블록화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행사의 영역은 날로 위축되고 있다. 개인은 결코 국가나 국제사회를 상대로 어떠한 협상도 할 수 없다. 그러나 성원수가 적을 지라도 집단은 국가와 다국적 기업을 상대로 협상을 할 수 있다. 니스벳은 현대사회에서 개인이 국가나 대기업에 맞서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중간집단(intermediate group)이라는 공동체를 이용하는 것이라 했다(니스벳 1990). 그의 중간집단은 규모가 비교적 큰 지역공동체, 노동조합, 종교집단, NGO 등이 개인과 국가 또는 거대조직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사회적 결사체를 말한다. 대체로 이들은 자발적 결사체로서 국가의 억압이나 다국적 기업의 횡포에 집단으로 저항하게 된다. 물론 이들 집단은 이기주의에 빠지는 경우가 있지만 개인이 독자적으로 행사할 수 없는 권리를 대행해 줄 있다는 면에서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