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러시아 현대사 _ 러시아 혁명(1917년 혁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_ 러시아 혁명(1917년 혁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싸움 속으로

2. 국내외에서의 제1차 세계대전

3. 2월 혁명 : 짜리즘의 몰락

4. 권력 문제

5. 권위의 해체

6. 흔들리는 제국

7. 볼셰비즘으로 가는 길

8. 부상하는 볼셰비키

본문내용

찬성하는 줄 알고 군대의 진격을 명령했다. 격분한 케렌스키는 꼬르닐로프를 군사령관에서 해임하고, 주민들에게 수도와 혁명을 수호하라고 호소하였다. 결국 이 쿠데타는 실패한 것이 되었다.
이 사건은 볼셰비키가 권력을 얻게되는 3가지 중요한 요소를 제공한다. 첫째는, 고위 군 관게자들의 신망이 철저하게 떨어졌으며, 두 번째로 임시정부와 그와 연루된 자유주의자 및 온건 사회주의자들을 고립시키고 욕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볼셰비키에게 자신들만이 올바른 혁명노선을 지휘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심리적 무기를 제공했다. 위와같은 효과 덕분에 전국에 볼셰비키의 세력은 급속히 퍼지기 시작했다.
8. 부상하는 볼셰비키
레닌은 9월 3주 까지만 해도 온건하고 신중한 노선을 지지하였으나, 전국적으로 벌어진 농민들의 토지점거와 군대의 반란 소식 그리고 중요한 소비에트에서 볼셰비키가 다수파를 획득한 것이 그로 하여금 9월 25일과 27일을 거쳐 즉각적인 봉기를 호소하게끔 하였다. 레닌의 이론은 ‘영구혁명론’을 제기한 트로츠키와 비슷한 점이 있었는데, 이들은 이념뿐만이 아니라 실제로도 혁명을 일으키는데 협력하였다. 10월 22일 소비에트의 맨셰비키는 군사혁명위원회(MRC)의 결성을 제안하였다. 이는 독일군과 정부의 소비에트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조직되는 것이었다. 트로츠키는 MRC를 교묘하게 이용하게 된다.
실제로 봉기가 일어나기 이틀전인 11월 4일과 5일, 트로츠키는 MRC가 페트로그라드의 수비대를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는 선언문을 발표하였다. 결국 케렌스키는 자신을 위한 그 어떤 부대도 쓸 수 없었다. 따라서 볼셰비키는 소수의 군대만으로 페트로그라드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 11월 7일 트로츠키는 정부가 전복되었음을 보고하였고 그 붕괴를 알리는 선언문이 시 전역에 배포되었으며, 평화적으로 각료들을 체포하였다. 11월 8일 새벽 5시경 레닌 작성의 선언문이 승인되었다. 이튿날 레닌은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모든 교전국들에게 3개월동안 휴전하고 무병합 무배상의 ‘정직하고 민주적인’강화를 위해 협상을 즉각 개시할 것을 제안하는 결의안을 승인하게 하였다. 그러나 연합국 동맹국 모두 레닌의 이러한 제안을 거절하였다. 한편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은 이후에도 반볼셰비키 세력들의 부분적인 공격은 계속 되었다.
참고문헌
존 M 톰슨,「3. 이상의 시작 : 전쟁과 혁명 」, 『20세기 러시아 현대사』, 사회평론, 2004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9.2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8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