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표성 휴리스틱스(representativeness heuristics)
2. 가용성 휴리스틱스(availability heuristics)
3. 고착과 조정 휴리스틱스(anchoring & adjustment heuristics)
2. 가용성 휴리스틱스(availability heuristics)
3. 고착과 조정 휴리스틱스(anchoring & adjustment heuristics)
본문내용
. 물론 사례구성에 대한 용이성이 실제 빈도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쉽게 예상되는 도전은 그 위험성이 과대평가되고, 그 반대로 쉽게 떠오르지 않는 도전의 위험성은 과소평가된다. 이러한 현상을 상상력의 바이어스라 한다.
넷째, 상관에의 착각은 동시에 발생되는 두 사건의 빈도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바이어스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즉 실제 상관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건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으로써 두 사건이 동시 발생될 빈도를 과대평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3. 고착과 조정 휴리스틱스(anchoring & adjustment heuristics)
많은 경우 사람들은 최종 판단을 초기 값(initial value)을 중심으로 하게 됨으로써, 초기 값이 달라지면 상이한 판단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고착(anchoring) 현상이라 하며, 또한 최종 판단이 초기 값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 현상을 불충분한 조정(insufficient adjustment)이라 한다(Tversky & Kahneman, 1974). 즉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에도 고착 효과로 인해 좀처럼 최초의 신념이나 판단을 변경하기를 꺼리는 불충분한 조정이 이루어지고, 이는 판단의 바이어스를 초래하게 된다. Bar-Hillel (1973)의 연구에 따르면 결합(conjunctive)사건과 분리(disjunctive)사건들의 확률을 판단하는 경우 고착과 불충분한 조정으로 인해 판단에 바이어스가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합사건의 확률은 과대평가되고 분리사건의 확률은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관에의 착각은 동시에 발생되는 두 사건의 빈도에 대한 판단에 있어 바이어스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즉 실제 상관관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두 사건이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으로써 두 사건이 동시 발생될 빈도를 과대평가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3. 고착과 조정 휴리스틱스(anchoring & adjustment heuristics)
많은 경우 사람들은 최종 판단을 초기 값(initial value)을 중심으로 하게 됨으로써, 초기 값이 달라지면 상이한 판단으로 이어지는데 이를 고착(anchoring) 현상이라 하며, 또한 최종 판단이 초기 값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는 현상을 불충분한 조정(insufficient adjustment)이라 한다(Tversky & Kahneman, 1974). 즉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에도 고착 효과로 인해 좀처럼 최초의 신념이나 판단을 변경하기를 꺼리는 불충분한 조정이 이루어지고, 이는 판단의 바이어스를 초래하게 된다. Bar-Hillel (1973)의 연구에 따르면 결합(conjunctive)사건과 분리(disjunctive)사건들의 확률을 판단하는 경우 고착과 불충분한 조정으로 인해 판단에 바이어스가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결합사건의 확률은 과대평가되고 분리사건의 확률은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