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계적수세기
기억에 의해 숫자의 이름을 순서대로 암송하는 것.
모든 물체를 반드시 한 번씩 세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물건을 두 번 세거나 건너뛰고 세는 실수를 한다.
기계적 수세기에 일대일 대응 개념이 더해질 때 합리적 수세기가 될 수 있다.
합리적 수세기
각 숫자의 이름을 물체와 순서대로 짝지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
합리적 수세기의 원리
-안정된 순서: 성인들이 사용하는 수의 명칭을 순서대로 기억하게 한다.
-일대일: 물체 하나에 한번씩만 수 단어를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상화: 세어야 할 대상이 반드시 서로 동일한 것일 필요는 없으며 가시적인 것이 아니어도 된다.
-수의 불변(순서무관의 원리): 어던 방향으로 수를 세어도 수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이다.
-기수의 원리: 물체의 집합을 세는데 마지막 항목에 적용된 수 단어가 그 집합에 있는 물체의 수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기억에 의해 숫자의 이름을 순서대로 암송하는 것.
모든 물체를 반드시 한 번씩 세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물건을 두 번 세거나 건너뛰고 세는 실수를 한다.
기계적 수세기에 일대일 대응 개념이 더해질 때 합리적 수세기가 될 수 있다.
합리적 수세기
각 숫자의 이름을 물체와 순서대로 짝지을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
합리적 수세기의 원리
-안정된 순서: 성인들이 사용하는 수의 명칭을 순서대로 기억하게 한다.
-일대일: 물체 하나에 한번씩만 수 단어를 말해야 한다는 것이다.
-추상화: 세어야 할 대상이 반드시 서로 동일한 것일 필요는 없으며 가시적인 것이 아니어도 된다.
-수의 불변(순서무관의 원리): 어던 방향으로 수를 세어도 수는 변하지 않는다는 원리이다.
-기수의 원리: 물체의 집합을 세는데 마지막 항목에 적용된 수 단어가 그 집합에 있는 물체의 수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