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기업소개
1) 삼성전자 기업소개
2) 애플 기업소개
2. 스마트폰 산업분석
1) 스마트폰 시장형성배경
2) 스마트폰 산업현황분석
3) 스마트폰 산업분석
Ⅱ. 본론
1. 삼성전자 vs 애플 전략 비교분석
1) 애플과 삼성의 경쟁분석
2) 삼성전자 전략분석
3) 애플 전략분석
4) 삼성전자와 애플 전략 비교분석
① 제품 다양성 및 가격 경쟁력
② IOS의 개방성과 독자성
③ 부품 내재화와 규모의 경제
④ 패스트 팔로우 전략과 시장 선도 전략
⑤ 앱 스토어의 검수 기간
2. 삼성와 애플의 특허전쟁
1) 1차 특허전쟁
2) 2차 특허전쟁
3. 삼성전자와 애플의 향후전략 전망
1) 계속되는 삼성의 전진, 물러나는 애플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Ⅲ. 결론 및 나의의견
IV. 참고자료
1. 기업소개
1) 삼성전자 기업소개
2) 애플 기업소개
2. 스마트폰 산업분석
1) 스마트폰 시장형성배경
2) 스마트폰 산업현황분석
3) 스마트폰 산업분석
Ⅱ. 본론
1. 삼성전자 vs 애플 전략 비교분석
1) 애플과 삼성의 경쟁분석
2) 삼성전자 전략분석
3) 애플 전략분석
4) 삼성전자와 애플 전략 비교분석
① 제품 다양성 및 가격 경쟁력
② IOS의 개방성과 독자성
③ 부품 내재화와 규모의 경제
④ 패스트 팔로우 전략과 시장 선도 전략
⑤ 앱 스토어의 검수 기간
2. 삼성와 애플의 특허전쟁
1) 1차 특허전쟁
2) 2차 특허전쟁
3. 삼성전자와 애플의 향후전략 전망
1) 계속되는 삼성의 전진, 물러나는 애플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Ⅲ. 결론 및 나의의견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제품 아이폰 5S는 시장 반응이 기대치 이상으로 나타나며 지난 연말 미국 스마트폰 시장을 주도해 왔으나, 최근에는 신제품 출시가 경과함에 따라 점유율 또한 하락하고 있다. 삼성과 애플의 이러한 상황은 스마트폰 OS에서도 되풀이된다. 애플의 IOS가 41.3%까지 감소하며 주춤하는 반면, 안드로이드는 52.1%까지 상승하였다.
이렇듯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제압한 삼성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애플을 더욱 압박하고 있다.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애플의 아이폰 출시 이후, 삼성전자는 구글과 제휴를 맺어 안드로이드를 채택하여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해왔다. 구글 역시 삼성전자와 협력을 통해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확대해나갔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이 안정화되자, 삼성과 구글은 수직 통합 전략을 선택하였다. 하드웨어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삼성전자는 플랫폼 개발을 위해 인텔과 연합하여 타이젠을 만들었다. 자체 앱스토어나 뮤직 허브, 리더스 허브, 챗온 등과 같이 구글과 경쟁 구도에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도 하였다. 구글 역시 2011년 8월, 125억달러에 모토로라를 인수하며 스마트폰 제작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2014년 1월 27일, 삼성전자와 구글은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10년 동안 유지할 것이라는 발표를 하였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10만 건과 구글의 5만 건의 특허가 공유되었다. 이처럼 삼성과 구글은 수직 통합 전략은 유지하되, 스마트폰 중심의 모바일 산업이 아닌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실제로 구글은 구글글래스, 토킹 슈즈, 규글 무인 자동차와 같은 하드웨어에 투자를 지속해오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고자 삼성전자와 다시 손을 잡았다. 최근에는 32억 달러에 벤처회사 ‘네스트랩스’를 인수하며 스마트홈 시장 진출을 예고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구글과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의 추후 방향을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자,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기,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특허 제휴를 통해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정광연, 철옹성 애플의 몰락, "모바일게임 놓치면 미래는 없다", 헤럴드경제, 2013년 02월 15일
현재 애플리케이션 시장 중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과 수익을 거두는 분야는 게임 분야이다. 이 분야에서 애플은 안드로이드에게 현저하게 밀리고 있다. 현재 모바일게임 글로벌 시장의 규모는 5조 원으로 추정된다. 그 중 IOS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인 4조원 규모이다. 얼핏 수치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중요한 것은 안드로이드의 성장세가 압도적이라는 점이다. 앱 분석 업체인 앱 애니 인텔리전스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앱 스토어 점유율에 있어서 구글 플레이 마켓의 매출은 311% 증가한 것에 반해, 애플스토어의 매출은 12.9% 증가하였다. 특히 신흥 시장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이 안드로이드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2012년 12월 기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NHN, DeNA, GREE, 컴투스 등 매출 상위 10위 중 9개 기업이 한국과 일본 기업이라는 점은, 안드로이드가 신흥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존의 혁신의 이미지 저하와 독단적인 IOS, 고가 정책 등의 이유로 신흥 시장 공략에 실패한 애플이 모바일 게임시장에서도 뒤쳐진다면 애플의 추락은 가속화될 것이다.
Ⅲ. 결론 및 나의의견
삼성의 글로벌 전략과 그들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추월한 사례 연구를 통해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역동적인 기업 경영 및 혁신 경영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스마트폰 초창기만 해도 애플에게 압도적으로 뒤쳐지던 삼성은 불과 몇 년 만에 세계적인 스마트폰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이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경영자의 승부사적 기질과 세계 흐름을 읽는 통찰력이 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매일 매일이 위기상황임을 모든 임직원에게 강조하는 이건희 회장의 ‘위기경영’ 방식이 빛을 발했다고 생각한다. 이건희 회장이 2002년 사장단 회의에서 전한 말이 있다.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하려면 설계, 엔진, 소재, 부품 등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현재의 모든 경영행위를 부정하고 새로 틀을 짜라. 목표는 한계 돌파다.” 끊임없이 회전하고 변화하는 세계 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혁신과 변화를 동력으로 삼아 사력을 다해야 한다는 결연한 의지가 담겨있는 한마디였다.
사례 연구를 마무리하며, 삼성이라는 기업의 글로벌 전략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앞으로도 단순히 1위에 안주하는 기업이 아닌 내실이 잘 다져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기대한다.
IV. 참고자료
김종철, 삼성-구글 ‘10년 특허동맹’…글로벌 시장 흔드나, 국방일보, 2014년 02월 04일
심성미, 삼성 스마트폰 판매 애플 두배, 한국경제, 2013년 10월 29일
황정원, 3G 아이폰 올 상륙 사실상 무산, 서울경제, 2008년 10월 12일
박정은, 삼성-애플 특허전쟁, 구글-애플 구도로 확대, 뉴스웨이, 2014년 03월 17일
정광연, 철옹성 애플의 몰락, "모바일게임 놓치면 미래는 없다", 헤럴드경제, 2013년 02월 15일
< 목차 >
Ⅰ. 서론
1. 기업소개
1) 삼성전자 기업소개
2) 애플 기업소개
2. 스마트폰 산업분석
1) 스마트폰 시장형성배경
2) 스마트폰 산업현황분석
3) 스마트폰 산업분석
Ⅱ. 본론
1. 삼성전자 vs 애플 전략 비교분석
1) 애플과 삼성의 경쟁분석
2) 삼성전자 전략분석
3) 애플 전략분석
4) 삼성전자와 애플 전략 비교분석
① 제품 다양성 및 가격 경쟁력
② IOS의 개방성과 독자성
③ 부품 내재화와 규모의 경제
④ 패스트 팔로우 전략과 시장 선도 전략
⑤ 앱 스토어의 검수 기간
2. 삼성와 애플의 특허전쟁
1) 1차 특허전쟁
2) 2차 특허전쟁
3. 삼성전자와 애플의 향후전략 전망
1) 계속되는 삼성의 전진, 물러나는 애플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Ⅲ. 결론 및 나의의견
IV. 참고자료
이렇듯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제압한 삼성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애플을 더욱 압박하고 있다.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애플의 아이폰 출시 이후, 삼성전자는 구글과 제휴를 맺어 안드로이드를 채택하여 스마트폰 시장을 장악해왔다. 구글 역시 삼성전자와 협력을 통해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확대해나갔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이 안정화되자, 삼성과 구글은 수직 통합 전략을 선택하였다. 하드웨어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삼성전자는 플랫폼 개발을 위해 인텔과 연합하여 타이젠을 만들었다. 자체 앱스토어나 뮤직 허브, 리더스 허브, 챗온 등과 같이 구글과 경쟁 구도에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도 하였다. 구글 역시 2011년 8월, 125억달러에 모토로라를 인수하며 스마트폰 제작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둔화됨에 따라 2014년 1월 27일, 삼성전자와 구글은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10년 동안 유지할 것이라는 발표를 하였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10만 건과 구글의 5만 건의 특허가 공유되었다. 이처럼 삼성과 구글은 수직 통합 전략은 유지하되, 스마트폰 중심의 모바일 산업이 아닌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실제로 구글은 구글글래스, 토킹 슈즈, 규글 무인 자동차와 같은 하드웨어에 투자를 지속해오며 새로운 시대에 대응하고자 삼성전자와 다시 손을 잡았다. 최근에는 32억 달러에 벤처회사 ‘네스트랩스’를 인수하며 스마트홈 시장 진출을 예고하기도 하였다.
요컨대 구글과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시장의 추후 방향을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자, 스마트홈, 웨어러블 기기, 로봇, 헬스케어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특허 제휴를 통해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을 준비하고 있다.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정광연, 철옹성 애플의 몰락, "모바일게임 놓치면 미래는 없다", 헤럴드경제, 2013년 02월 15일
현재 애플리케이션 시장 중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과 수익을 거두는 분야는 게임 분야이다. 이 분야에서 애플은 안드로이드에게 현저하게 밀리고 있다. 현재 모바일게임 글로벌 시장의 규모는 5조 원으로 추정된다. 그 중 IOS가 차지하는 비중은 80%인 4조원 규모이다. 얼핏 수치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중요한 것은 안드로이드의 성장세가 압도적이라는 점이다. 앱 분석 업체인 앱 애니 인텔리전스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앱 스토어 점유율에 있어서 구글 플레이 마켓의 매출은 311% 증가한 것에 반해, 애플스토어의 매출은 12.9% 증가하였다. 특히 신흥 시장으로 발돋움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이 안드로이드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2012년 12월 기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NHN, DeNA, GREE, 컴투스 등 매출 상위 10위 중 9개 기업이 한국과 일본 기업이라는 점은, 안드로이드가 신흥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기존의 혁신의 이미지 저하와 독단적인 IOS, 고가 정책 등의 이유로 신흥 시장 공략에 실패한 애플이 모바일 게임시장에서도 뒤쳐진다면 애플의 추락은 가속화될 것이다.
Ⅲ. 결론 및 나의의견
삼성의 글로벌 전략과 그들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을 추월한 사례 연구를 통해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역동적인 기업 경영 및 혁신 경영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스마트폰 초창기만 해도 애플에게 압도적으로 뒤쳐지던 삼성은 불과 몇 년 만에 세계적인 스마트폰 제조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이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경영자의 승부사적 기질과 세계 흐름을 읽는 통찰력이 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특히 매일 매일이 위기상황임을 모든 임직원에게 강조하는 이건희 회장의 ‘위기경영’ 방식이 빛을 발했다고 생각한다. 이건희 회장이 2002년 사장단 회의에서 전한 말이 있다.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하려면 설계, 엔진, 소재, 부품 등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현재의 모든 경영행위를 부정하고 새로 틀을 짜라. 목표는 한계 돌파다.” 끊임없이 회전하고 변화하는 세계 시장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혁신과 변화를 동력으로 삼아 사력을 다해야 한다는 결연한 의지가 담겨있는 한마디였다.
사례 연구를 마무리하며, 삼성이라는 기업의 글로벌 전략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앞으로도 단순히 1위에 안주하는 기업이 아닌 내실이 잘 다져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업으로 우뚝 설 것이라고 기대한다.
IV. 참고자료
김종철, 삼성-구글 ‘10년 특허동맹’…글로벌 시장 흔드나, 국방일보, 2014년 02월 04일
심성미, 삼성 스마트폰 판매 애플 두배, 한국경제, 2013년 10월 29일
황정원, 3G 아이폰 올 상륙 사실상 무산, 서울경제, 2008년 10월 12일
박정은, 삼성-애플 특허전쟁, 구글-애플 구도로 확대, 뉴스웨이, 2014년 03월 17일
정광연, 철옹성 애플의 몰락, "모바일게임 놓치면 미래는 없다", 헤럴드경제, 2013년 02월 15일
< 목차 >
Ⅰ. 서론
1. 기업소개
1) 삼성전자 기업소개
2) 애플 기업소개
2. 스마트폰 산업분석
1) 스마트폰 시장형성배경
2) 스마트폰 산업현황분석
3) 스마트폰 산업분석
Ⅱ. 본론
1. 삼성전자 vs 애플 전략 비교분석
1) 애플과 삼성의 경쟁분석
2) 삼성전자 전략분석
3) 애플 전략분석
4) 삼성전자와 애플 전략 비교분석
① 제품 다양성 및 가격 경쟁력
② IOS의 개방성과 독자성
③ 부품 내재화와 규모의 경제
④ 패스트 팔로우 전략과 시장 선도 전략
⑤ 앱 스토어의 검수 기간
2. 삼성와 애플의 특허전쟁
1) 1차 특허전쟁
2) 2차 특허전쟁
3. 삼성전자와 애플의 향후전략 전망
1) 계속되는 삼성의 전진, 물러나는 애플
2) 포스트 스마트폰 시장 준비
3) 모바일 게임 시장에 대한 준비
Ⅲ. 결론 및 나의의견
IV. 참고자료
추천자료
삼성전자의 마케팅 성공사례
삼성전자-신상필벌 평가시스템
삼성전자 분석 (조직 측면에서)
삼성전자의 러시아 진출 성공사례
삼성전자 MP3 YEPP(옙)의 마케팅전략
삼성전자 반도체의 성공전략 분석
삼성전자의 SCM 분석
삼성전자의 중국시장 마케팅과 성공요인
삼성전자 `anycall`의 중국 진출 성공사례를 통한 시사점
삼성전자 갤럭시S의 마케팅 성공사례
[삼성] 삼성전자 휴대폰사업 진출전략 - 스마트폰, 반도체.PPT자료
[삼성기업분석]삼성전자의 경영전략분석-소프트웨어 인력양성 보고서
[삼성기업분석]삼성전자의 경영전략분석-소프트웨어 인력양성 PPT자료
삼성전자의 경쟁전략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