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군사 전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군사 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많이 달려있다. 이를 북한도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라, 전쟁 수행 중 모든 경제체제를 전시 체제로 바꾸기 위해 곡창지대를 평시에도 꾸리고 군수공업을 발전시켜왔다. 또한 군사와 심리전을 결합시켰다. 국군 병사들과 중하층 장교들을 자신의 편으로 흡수하고 그로 인해 남한의 분열을 조장하고, 혼란을 야기 시키고 전쟁수행 의지를 좌절시키는 전략을 견지하고 있다.
3. 결론 : 마치며
북한의 이러한 전략을 위해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준비를 하고 있다. 향토예비군 운용, 전시 경제체제 전환을 위한 비상기획관 운용 등이 있다. 특히 향토예비군은 빨치산 토벌대를 그 기원으로 하는데, 6.25전쟁 당시 빨치산 토벌대의 효과적인 빨치산 토벌은 북한의 대남 적화통일을 좌절시키는 등 조국의 운명에 큰 공헌을 하였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본인은 우리나라는 젊은층에 대한 안보교육이 미흡하다고 생각한다. 북한은 비록 동포이나 주적임은 당연한 바인데, 요즈음의 대부분 젊은층은 북한은 한 동포라고 생각하고, 북한을 무조건적으로 감싸 안으려는 위험한 생각을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대북 정보 수집에 큰 도움에 되는 주한 미군의 무조건적 철수를 원하는 이들도 많다. 설상가상으로, 이에 대처하기 위해 안보교육을 강화하려고 하면 여야 갈등 등 내부적 갈등도 깊어지게 되는데, 이런 남한 내부적 갈등이 바로 북한이 원하는 바이다. 북한은 표면적으로는 평화를 원하는 듯하지만, 그들은 아직도 대남 적화통일 방안을 포기하지 않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고, 이에 대한 현대 남한 청년층들의 자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이만 이 글을 마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9.29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9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