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배경
3. 연구내용
4. 연구결과
1) 입국 과정 및 목표
2) 적응 과정
3) 한국이주 전․후 노동 및 여가생활의 변화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2. 연구배경
3. 연구내용
4. 연구결과
1) 입국 과정 및 목표
2) 적응 과정
3) 한국이주 전․후 노동 및 여가생활의 변화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본문내용
한국 사람들이 지나치게 일-중심적(workaholic)이라고 보고 삶을 즐길 줄을 모른다고 생각하였다. 일부 면접자는 자신들은 고국에 있을 때보다 여가 생활을 제대로 누리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한국 사람들보다 더 여가 생활을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이들이 행복을 느끼는 순간은 고국의 가족에게 필요한 돈을 부칠 때라고 하였다. 이들은 한국에서 고국의 가족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자신의 삶의 질도 나아졌다고 생각하였다. 즉, 한국에서 자신의 삶의 질이 아닌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의 질을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이 향상됨에 따라 행복해 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순히 이주노동자들이 코리안 드림을 이루기 위해 물질적(경제적) 성공 외에 다른 부분에서 곤란을 겪더라도 현실을 바꿀 수 없으니까 참고(유명기, 1995) 살기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의 만족감이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설동훈 (1998).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27, 145-181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이들이 행복을 느끼는 순간은 고국의 가족에게 필요한 돈을 부칠 때라고 하였다. 이들은 한국에서 고국의 가족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자신의 삶의 질도 나아졌다고 생각하였다. 즉, 한국에서 자신의 삶의 질이 아닌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의 질을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이 향상됨에 따라 행복해 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순히 이주노동자들이 코리안 드림을 이루기 위해 물질적(경제적) 성공 외에 다른 부분에서 곤란을 겪더라도 현실을 바꿀 수 없으니까 참고(유명기, 1995) 살기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의 만족감이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설동훈 (1998).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27, 145-181
키워드
추천자료
아시아 공동체 학교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에 현상황과 대안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 자료
현대사회와 기술 - 한국사회의 문제 ‘다문화’에 대해서
청소년과부모3공통) 우리사회의 다문화가족의 증가현상과 원인, 문제점, 자녀를 위한 부모의...
지역사회내 위 가정들의 한국문화정착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프로그
[가족복지론] 다문화가족의 한국사회 정착을 위한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한국사회와 다문화 - 내가 생각하는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보여주는 시각이미지
[사회적 소수자-장애인, 이주노동자, 농민, 동성애자] 사회적 소수자 - ‘사회적 소수자’와 해...
[다문화사회복지] 한국에서의 다문화교육 -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특...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사회의 진입 배경 - 6.25 전후의 국제결혼, 자본의 세계화와 이주노...
[다문화교육론]다음에 제시된 도서 가운데 한권을 읽고 다음에 답하시오.-소수자와 한국사회
성,사랑,사회=한국 사회에서 이주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이며, 이들의 경험을 통해 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