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과 질과 행복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한국사회 이주노동자의 삶과 질과 행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배경
3. 연구내용
4. 연구결과
1) 입국 과정 및 목표
2) 적응 과정
3) 한국이주 전․후 노동 및 여가생활의 변화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본문내용

한국 사람들이 지나치게 일-중심적(workaholic)이라고 보고 삶을 즐길 줄을 모른다고 생각하였다. 일부 면접자는 자신들은 고국에 있을 때보다 여가 생활을 제대로 누리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한국 사람들보다 더 여가 생활을 누리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4) 행복 및 삶의 질 만족감
이들이 행복을 느끼는 순간은 고국의 가족에게 필요한 돈을 부칠 때라고 하였다. 이들은 한국에서 고국의 가족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자신의 삶의 질도 나아졌다고 생각하였다. 즉, 한국에서 자신의 삶의 질이 아닌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의 질을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국에 있는 가족의 삶이 향상됨에 따라 행복해 하고 있었다. 이것은 단순히 이주노동자들이 코리안 드림을 이루기 위해 물질적(경제적) 성공 외에 다른 부분에서 곤란을 겪더라도 현실을 바꿀 수 없으니까 참고(유명기, 1995) 살기 때문에 이주노동자들의 삶의 질의 만족감이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설동훈 (1998).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 사회. 서울대학교 출판부.
유명기 (1995). 재한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27, 145-181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10.07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