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고려 집의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시~고려 집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시시대의 주거
1) 구석기 시대의 주거
상원군 검은 모루 동굴 유적
2) 신석기 시대의 주거
암사동 유적지
오산리 집터
3) 청동기 시대의 주거
검단리 유적지
2. 삼국시대의 주거
1) 고구려
2) 백 제
3) 신 라
3. 고려시대의 주거
4. 온 돌

본문내용

못 미치는 주거 생활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3. 고려시대의 주거
고려에서는 주택을 짓는 것에 풍수지리와 음양오행론의 영향을 많이 받아 지었으며, 삼국 및 통일신라기의 뛰어난 건축술의 바탕 위에서 계승 · 발전되어 나갔지만, 당시 귀족계급과 서민 주택의 차이는 매우 큰 격차를 보인다. 귀족계급들은 지붕을 기와로 얹고, 벽에는 회칠을 하였으며 바닥은 주로 마루바닥이었고, 침대와 의자를 사용하는 등, 가구도 다양하고 고급품으로 호화로운 주거생활을 하였다. 그에 비해 민가에서는 주로 온돌이 설치된 흙바닥에 자리를 깔아 생활하는 정도였으며, 대부분 풀이나 짚으로 지붕을 이어 비바람을 겨우 피할 수 있을 정도였고, 그나마 부유한 민가에서 기와를 덮었지만 열이면 겨우 하나 둘 있을까 한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때의 바닥구조는 고구려의 온돌과 신라의 마루가 함께 계승된 것으로, 특히 온돌이 일반화되었다. 온돌이 고구려의 하층계급에서 상류계급으로, 북방에서 남방으로 전파되어 고려에 와서는 드디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고 가장 일반적인 주택구조의 하나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4. 온돌
온돌은 브리태니커백과사전 등에도 ‘ondol-한국의 대표적인 난방 방식’이라고 소개될 정도로 우리 문화의 상징이 됐다. 온돌은 2500여 년 전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 살던 북옥저인들에게서 기원했다는 게 정설이다. 이곳 외에도 북흉노지역(바이칼호 동쪽인 자바이칼)이나 로마에서도 온돌이 발견됐지만, 북옥저인들 것보다는 조금 늦다. 북옥저인들의 활동 지역을 고구려와 발해가 계승했으며, 온돌 역시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온돌의 기원을 우리 민족과 연결하는 것이 큰 무리는 아닐 것이다. 그런데 최근 ‘한민족 온돌 기원설’에 중대한 ‘반론’이 제기됐다. 미국 알래스카주 알류산열도에서 북옥저인들 것보다 500년 빠른 온돌이 발굴됐기 때문이다.
▲ 미국 알래스카주 어날래스카시 아막낙섬에서 발굴된 세계 최고(最古) 온돌. 발굴자인 릭 크넥 교수는“한국 온돌과의 비교 연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점선안이 온돌(고래시설)인데, 윗부분을 덮은 돌은 훼손돼 없어졌다. /릭 크넥 교수 제공
릭 크넥(Rick Knecht)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교수(고고학)는 미국 고고학회가 발간하는 격월간지 ‘고고학(Archaeology)’ 2007년 5~6월호, 그리고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003년 알래스카주 어날래스카(Unalaska)시 아막낙(Amaknak)섬 발굴 중 온돌을 갖춘 집터가 나왔다”며 “방사성탄소연대법으로 측정한 결과 3000년 전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크넥 교수는 “모두 4개의 온돌 구조가 발굴됐다”고 했다. 온돌은 집 바닥에 길이 2~4m 정도의 얕은 도랑을 파고 평편한 돌을 ‘V’자 형태로 여러 장 도랑 벽면에 세운 뒤, 그 위도 역시 평편한 돌로 덮어 방고래를 만들었다. 집 바깥으로는 연기가 나가는 굴뚝 시설도 있다. 발굴 자료를 살핀 송기호 서울대교수는 “온돌로 볼 수밖에 없다”며 “고대의 온돌은 모두 방 한쪽에만 구들을 마련한 쪽구들 온돌인데, 아막낙섬 역시 쪽구들 온돌로 보인다”고 했다. 그렇다면 온돌은 알래스카에서 기원해서 서쪽으로 전파된 것일까? 크넥 교수나 송기호 교수
모두 이에 반대하며 ‘(만주-연해주와 알래스카지역에서의) 독자 발생설’을 이야기했다. 송 교수는 “두 지역 사이의 ‘온돌 전파’를 이야기하기에는 그 중간 지역에서 온돌이 발굴된 예가 없어서 현재로서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기에 두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0/21/2007102100789.html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11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09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