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양식
(1).우리나라 양식 전래 과정
(2).양식의 특징
2.일식
(1).우리나라 일식 전래 과정
(2).아지노모도란 ?
3.중식
(1).우리나라 중식 전래 과정
(2)임오군란과 자장면
(3)호떡, 당면의 역사
(1).우리나라 양식 전래 과정
(2).양식의 특징
2.일식
(1).우리나라 일식 전래 과정
(2).아지노모도란 ?
3.중식
(1).우리나라 중식 전래 과정
(2)임오군란과 자장면
(3)호떡, 당면의 역사
본문내용
되었다.]
(3)호떡의 역사
호떡은 밀가루 반죽에 설탕을 넣어 기름에 부치는 음식이다. 이것은 한국에 살던 중국 사람들이 자장면처럼 생계를 위해 만들어서 팔던 음식이다. 그런데 왜 호떡이라고 했을까?
호(胡)란 지난날, 중국에서 북방의 이민족을 이르던 말로 오랑캐를 뜻하는 말이다.
조선은 우리나라를 침입한 청나라를 낮추어 보고 병자호란(丙子胡亂)이나 정묘호란(丁卯胡亂)이라고 하기도 했다. 호란 중국을 뜻하는 말로 중국에서 온 밀을 호밀(胡밀)이라고 했고, 중국의 군인을 호병(胡兵 : 박씨전, 임경업전 등)이라고 했다. 즉, 호떡이란 '중국인이 만든 떡' 또는 '중국의 떡'이란 의미이다.
몇 개의 자료를 찾아봤는데, 대체로 저 정도의 설명이다. 분명 우리 전통음식 가운데 호떡의 기원이 된다고 할만한 음식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규합총서에 등장하는 <토란병>은 찹쌀가루와 토란을 넣어 반죽해서 참기름에 지져내는 떡이다. 또 규합총서에 나오는 <상화> 는 밀가루 빵 안에 팥소와 꿀을 넣어서 만드는 것인데, 호떡보다 호빵에 가깝기는 하지만, 팥소와 꿀의 조합은 호떡속과 꽤나 비슷하다. 그리고 이런 음식을 그렇게 귀하지 않게 먹었을 것은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고대사회에서의 <떡>은 훨씬 존재감이 큰 음식이었다. 옛 조리서를 보면 목차에 <떡>은 반드시 들어가있다. 일제시대 까지도 노동자들이 점심식사로 떡을 사먹었다는 류의 표현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호떡은 이러한 떡과 약간 경우가 다르다. 호떡은 단일품목으로서 전국에 퍼져나가 방방곡곡 유행하게 된 음식이다. 그런데 한국식 호떡은 중국식 호떡과 다르다. 중국의 여러 딤섬 가운데에는 호떡 비슷한 넘이 없다고는 말 못하겠지만, 중국식 만두 및 호떡의 대세는 아무것도 안 들어있거나 또는 돼지고기 만두소 같은게 들어있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나라에서 한국식으로 변형되어, 흑설탕을 넣는 것으로 바뀐 것이다.
비슷한 경로를 거쳐서 들어온 짜장면은 실제로는 일제시대가 아닌 6.25가 지난 후에야 유행한 음식이다. 짜장면이 제대로 유행하기 전, 중국에서 건너온 음식의 대명사는 <호떡> 이었다. 물론 <탕수육>도 있고 <우동>도 있었지만, 그것들은 요리집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던 반면, 호떡은 삼천리 방방곡곡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우동은 일본음식이지만 중국요리집에서 더 많이 팔았던 것 같다.
(4)당면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당면의 기원은 <제민요술>에서 찾을 수 있고 <음식지미방>에도 기록되어 있지만, 본격적으로 상품화된 것은 1912년 평양에서 일본인이 그전부터 소규모 당면공장을 운영하던 중국인으로부터 기술을 배워 대량생산을 시작하면서이다. 그 후 1920년 우리나라의 양재하란 사람이 황해도 사리원에 광흥공창을 개설하고 다수의 중국인을 고용해 천연동결에 의한 대량생산을 시작한 이후 평양의 일본인 공장은 경쟁에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는다.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P271)
결국 당면을 먹게 된 것은 일제시대 이후라는 뜻이다. 특히 1920년대에는 공장간 경쟁이 생길 정도로 많은 양의 당면 소비가 있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1600~1700년대의 잡채는 육류나 당면을 쓰지 않고 여러 나물을 재료로 쓰는 일종의 잡생숙채(雜生熟菜)였으며, 잡채에 당면이 들어간 것은 1900년대가 지나『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39년)』부터 사용했으며,『조선요리제법(1942년)』에서는 재료 중에 당면을 제일로 꼽고 있다. 당면은 녹두나 감자녹말을 반죽하여 국수로 뽑아 천연동결법으로 만든 것이고 우리가 지금 먹는 당면 잡채는 1930년 이후부터 만들기 시작하였다.
출처 : Tong - 살다보면 언젠가는님의 기본통통
(3)호떡의 역사
호떡은 밀가루 반죽에 설탕을 넣어 기름에 부치는 음식이다. 이것은 한국에 살던 중국 사람들이 자장면처럼 생계를 위해 만들어서 팔던 음식이다. 그런데 왜 호떡이라고 했을까?
호(胡)란 지난날, 중국에서 북방의 이민족을 이르던 말로 오랑캐를 뜻하는 말이다.
조선은 우리나라를 침입한 청나라를 낮추어 보고 병자호란(丙子胡亂)이나 정묘호란(丁卯胡亂)이라고 하기도 했다. 호란 중국을 뜻하는 말로 중국에서 온 밀을 호밀(胡밀)이라고 했고, 중국의 군인을 호병(胡兵 : 박씨전, 임경업전 등)이라고 했다. 즉, 호떡이란 '중국인이 만든 떡' 또는 '중국의 떡'이란 의미이다.
몇 개의 자료를 찾아봤는데, 대체로 저 정도의 설명이다. 분명 우리 전통음식 가운데 호떡의 기원이 된다고 할만한 음식은 존재한다. 예를 들면, 규합총서에 등장하는 <토란병>은 찹쌀가루와 토란을 넣어 반죽해서 참기름에 지져내는 떡이다. 또 규합총서에 나오는 <상화> 는 밀가루 빵 안에 팥소와 꿀을 넣어서 만드는 것인데, 호떡보다 호빵에 가깝기는 하지만, 팥소와 꿀의 조합은 호떡속과 꽤나 비슷하다. 그리고 이런 음식을 그렇게 귀하지 않게 먹었을 것은 짐작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고대사회에서의 <떡>은 훨씬 존재감이 큰 음식이었다. 옛 조리서를 보면 목차에 <떡>은 반드시 들어가있다. 일제시대 까지도 노동자들이 점심식사로 떡을 사먹었다는 류의 표현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호떡은 이러한 떡과 약간 경우가 다르다. 호떡은 단일품목으로서 전국에 퍼져나가 방방곡곡 유행하게 된 음식이다. 그런데 한국식 호떡은 중국식 호떡과 다르다. 중국의 여러 딤섬 가운데에는 호떡 비슷한 넘이 없다고는 말 못하겠지만, 중국식 만두 및 호떡의 대세는 아무것도 안 들어있거나 또는 돼지고기 만두소 같은게 들어있는 것이다. 그것이 우리나라에서 한국식으로 변형되어, 흑설탕을 넣는 것으로 바뀐 것이다.
비슷한 경로를 거쳐서 들어온 짜장면은 실제로는 일제시대가 아닌 6.25가 지난 후에야 유행한 음식이다. 짜장면이 제대로 유행하기 전, 중국에서 건너온 음식의 대명사는 <호떡> 이었다. 물론 <탕수육>도 있고 <우동>도 있었지만, 그것들은 요리집에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던 반면, 호떡은 삼천리 방방곡곡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었다. (우동은 일본음식이지만 중국요리집에서 더 많이 팔았던 것 같다.
(4)당면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당면의 기원은 <제민요술>에서 찾을 수 있고 <음식지미방>에도 기록되어 있지만, 본격적으로 상품화된 것은 1912년 평양에서 일본인이 그전부터 소규모 당면공장을 운영하던 중국인으로부터 기술을 배워 대량생산을 시작하면서이다. 그 후 1920년 우리나라의 양재하란 사람이 황해도 사리원에 광흥공창을 개설하고 다수의 중국인을 고용해 천연동결에 의한 대량생산을 시작한 이후 평양의 일본인 공장은 경쟁에 이기지 못하고 문을 닫는다.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P271)
결국 당면을 먹게 된 것은 일제시대 이후라는 뜻이다. 특히 1920년대에는 공장간 경쟁이 생길 정도로 많은 양의 당면 소비가 있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1600~1700년대의 잡채는 육류나 당면을 쓰지 않고 여러 나물을 재료로 쓰는 일종의 잡생숙채(雜生熟菜)였으며, 잡채에 당면이 들어간 것은 1900년대가 지나『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1939년)』부터 사용했으며,『조선요리제법(1942년)』에서는 재료 중에 당면을 제일로 꼽고 있다. 당면은 녹두나 감자녹말을 반죽하여 국수로 뽑아 천연동결법으로 만든 것이고 우리가 지금 먹는 당면 잡채는 1930년 이후부터 만들기 시작하였다.
출처 : Tong - 살다보면 언젠가는님의 기본통통
키워드
추천자료
우리나라 대중가요 가사의 변천사에 대하여
우리나라의 전통예절
우리나라의 학생운동의 역사와 주요 사건들
우리나라 전통주 - 술의 어원, 우리 술의 역사, 종류, 지역별 전통주
[목조건축]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구조, 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특징, 전통목조건축(목조건...
[욕구이론]욕구와 동기이론[머레이의 욕구이론,통제(선택)이론과 욕구,욕구위계이론,A형행동...
우리나라 수산업 현황과 문제점, 그 후 발전가망(대책)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 개념, 역할과 기능, NGO(시민단체, 비정부기구) 활동양식, 인권단...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의 조선시대 구제사업에 대해 서술
우리나라 보육프로그램(생활주제프로그램, 활동중심통합보육프로그램) 교육목표.
우리나라my country의 아동복지 발달과정,전망,과제,발전방향
보건교육사 (Ⅰ. 보건교육사의 역할 1. 보건교육사의 개념 2. 보건교육사의 활동 내용 3. 보건...
우리나라의 노인문제 노인문제의 양상(현대 노인문제와 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