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화(林和) 시 연구 (프로문학과 프로시, 임화의 활동, 1시기~3시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화(林和) 시 연구 (프로문학과 프로시, 임화의 활동, 1시기~3시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926년~1933년 (1시기)
  1) 초기시의 양상
  2) 단편서사시
 2. 1930년대 시대적 상황과 임화의 사상(2시기)
  1) 당시 시대 상황과 임화 문학
 3. 임화의 광복 이후의 활동 (3시기)
  1) 월북하기 전까지의 임화 (광복 이후 ~ 1947년)
  2) 월북한 이후의 임화 (1947년 ~ 6.25 이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느냐」는 영웅적 투쟁을 강조하는 다른 시들에 비해 감정의 기복이 매우 넓고 시인의 내면적인 목소리가 살아 있다. 「우리 오빠와 화로」에서 보면 정감이 개인적 차원에서 표출된 구절이 많은데 이 시에서도 이러한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 시는 임화가 카프 시대에 쓴 시를 연상케 한다. 작중화자가 여동생인 「우리 오빠와 화로」와 유사하게 「너 어느 곳에 있느냐」에서도 어린 딸이 등장하고 있고, 말 또한 진술의 단면을 띤 서술형 서사적인 데가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을 두고 일부 평론계에서는 '완숙한 금자탑적 작품'이라는 칭송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그의 딸 혜란에 대한 부성의 절절한 목소리를 깔고 있다는 점에서 걸작으로 손꼽았다. 하지만 「너 어느 곳에 있느냐」에서 임화는 딸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만을 표현한 것이 아니라 10, 12, 14연을 통해 영웅적 인민군대가 형제적 중국 인민 지원 부대와 함께 남으로 폭풍처럼 내려가 남쪽에 있는 혜란에게 이를 것이며, 참고 견디기 어려워도 전력을 다해 승리할 때까지 싸워야 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 이러한 측면에서 「너 어느 곳에 있느냐」는 전쟁을 수행 중인 북쪽 인민들의 전의를 부추기고 강인한 전투의욕을 고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책, 224p.
Ⅲ. 결론
이상으로 서론에서 언급한 전개방향에 따라 임화와 그의 문학경향을 작품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풍의 시를 통해 마르크스주의 등 계급 문학의 기초를 구축한 초기 시와 단편서사시 등으로 구체화 할 수 있는 1기시. 일제 등의 시대적 압박 속에 점차 사상적, 문학적 분출에 있어 소극적 성향을 띄었던 2기시. 광복과 월북이라는 임화 자신의 삶의 배경으로 인해 그 시대적 이데올로기가 눈에 띄는 3기시.
이러한 임화 문학의 흐름을 알아봄으로써 우리는 임화가 가지는 문학적 성향과 그의 이데올로기, 더 나아가 20년대와 30년대 카프의 흐름에 대해서도 알 수가 있었다.
임화가 1947년 월북하여 1953년 북한에서 작고한 그의 삶의 배경과, 카프와 신경향으로 대표되는 프로문학의 선봉장 역할을 담당한 문학적 성격 탓에 우익 세력의 연장선상에서 건설된 남한의 문학정서에 조금은 동 떨어진 듯한 느낌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데올로기의 개념이 점차 무색해져가는 오늘날 우리는 임화와 그 문학작품을 그의 사상적 성향으로 판단하기 보다는 한국 문학사에 끼친 영향력을 토대로 평가하는 것이 옳다 하겠다. 이러한 점을 통해 임화는 당대 수많은 문인과 지성인들을 매료시켰던 프로문학이라는 한국 근대 문학사의 큰 흐름으로 주도해왔다는 점에서 사상을 떠나 매우 긍정적으로 검토될 만하다. 한 세기가 지난 오늘날의 근대문학 분석에 있어서도 그의 프로문학은 도저히 축소시켜 평가될 수 없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수많은 지성인과 문학인들의 마음을 매료시킨 프로문학의 선구자인 임화는 식민지 조선의 지성사 정신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임화를 단순히 사상적 성향이 뚜렷한 문학인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한국 문학사의 큰 흐름을 주도하고 동시에 문학사의 발전을 도모한 민족의 큰 문학인, 지식인으로 평가하고 수용함이 옳을 것이다.
<참고문헌>
임정택, 「임화 전기시의 변모 양상 연구」, 울산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1
김정훈, 「임화 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1996
전성은, 「임화 시의 전개양상」,한남교육대학원, 2002
이탄, 「한국 현대시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김용직,『임화 문학연구』, 세계사, 1991
김외곤,『문학과 문화의 경계선에서』, 새물결, 2002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0.13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