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화도의 개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화도의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춘화도의 개념 ………………………………… 3쪽

2. 춘화도가 등장하게 된 사회적 배경 ………… 4쪽
⑴ 향락적인 사치 풍조와 유흥의 발달 ……………… 4쪽
⑵ 춘화의 수요자와 공급자인 중인계층……………… 4쪽
⑶ 중국, 일본의 방만한 성문화와 춘화의 유입 ……… 4쪽

3. 춘화도를 그림 작가들 ………………………… 5쪽
⑴ 단원 김흥도 …………………………………… 5~6쪽
⑵ 혜원 신윤복 …………………………………… 7~8쪽
⑶ 작자 미상의 춘화들……………………………… 8쪽

4. 나라별 춘화도의 특징(한·중·일) …………… 9~10쪽

5. 춘화도를 통해 본 선조들의 성문화………… 10쪽

6. 춘화도의 의의 ………………………………… 10~11쪽

7. 그 밖의 선조들의 성풍속 ………………… 11~13쪽

본문내용

기에 춘화는 널리 퍼진 문화였지만, 유통과정을 보면 대부분 은밀하고 조심스러웠다. 그 당시의 제도들을 보더라도 조선시대사람들이 청렴하지만은 않은 것 같은데 말이다. 숨기려하기에 춘화도는 보는이들에게 더 자극적이고, 충격적으로 보여졌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그런 인식이 강했기에 우리춘화에서만 나타나는 은유적인 표현이 발달했을지도 모른다. 강압적이고 폐쇄적인 사회적 분위기에서 화가들이 표현한 것은 여성과 남성의 성기나 비밀스런 손짓, 의미등을 그림속에 넣었고, 현대의 우리들이 보기엔 아름답게만 보이는 산수화와 풍속화들이 선조들에겐 볼을 붉히게하는 그림인 것이다. 그만큼 선조들에게도 우리의 생각보다 더 파격적이고 욕망적인 성의식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는 바이다.
⑵조선후기 풍속화 : 반사회적 대중예술
춘화는 큰 개념으로 보면 풍속화에 속한다. 풍속화는 인가의 생활상을 대상으로 삼은 그림을 일컬으며 그 의미에는 회화에서의 사실주의 개녀과 달리 민중의 생산활동과 생활주변의 일상사를 세속적인 것으로 생각한 중세 지식층들의 사상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이는 어느 시대나 마찬가지로 사회가 어수선하면 그에 대항하는 단체가 발생하게 되는데, 조선시대에는 사대부들의 허례허식을 비판하고 꼬집는 시조나 그림 등이 다수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로 인해 당대 사대부들은 이를 속된 것이라는 의미로 ‘속화’라 부르기도 하였다. 또, 권력있는 계층에 의해 고발적인 내용의 작품 대다수가 사라지거나 종적을 감추어졌다. 이처럼 한국의 춘화는 약간은 다른 성격을 지니지만 풍속화에 속하며, 앞에서 말한바와 같은 의미와 목적을 지닌 반사회적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6. 춘화도의 의의
‘춘화’ 이름에서부터 은유적이고도 동양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실제 수준있는 동양의 춘화는 잡다한 도색물과는 느낌부터 다르다. 조선시대 춘화의 성격을 종합해 보면 몇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건강하다는 점이다. 우수한 조선시대 춘화의 어디에도 변태적이거나 부조화적인 성은 발견할 수 없다. 이는 성을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고, 생명의 원천으로 받아들인 결과로 해석된다.모든 춘화들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단원 김홍도의 도장이 있는 춘화첩은 거의 모든 장면에서 자연 경물에 음양적 성격을 부여해놓고 있다. 이러한 도상적 특징은 한국 춘화에서만 발견되는 유일한 예이며, 그것은 바로 도교적 자연관과 우주관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춘화는 흔히 포르노그라피로 치부된다. 그러나 인물화나 풍경화와 마찬가지로 옛사람들의 문화나 질병까지도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얼굴에 담긴 반점이나 낯빛으로 춘화의 모델들이 어떤 질병에 걸렸는지를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춘화를 단순히 포로노물이라고 죄악시하고 단죄하기보다는 옛 조상들의 성문화를 엿보는 역사자료로 여기는 발상의 전환도 한 번쯤 시도해볼 필요가 있지 않은가 싶다.
7. 그 밖의 선조들의 성풍속
⑴ 남근석 이태호,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1998, 180쪽
-정의: 남자의 성기모양을 한 자연암석이나,
암석을 조각하여 세운 것을 말하는데,
사람들이 섬기는 민간신앙 중 성기숭배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용도: 음력 정월 초사흘이면 마을 사람들이 모여 <남근석>
농사의 풍요와 액을 막기 위한 제사를 올리는데,
아이낳기를 소망하는 여인이 기도를 하면 아들이
생긴다는 말이 있다.

-의미: 농경사회에서 풍부한 생산력의 바탕이 되었던 성(性)이 남근석으로 만들어지고
신성시되어, 이처럼 민족의 고유신앙이 되고 있다.
⑵ 여근석 이태호, 미술로 본 한국의 에로티시즘, 1998, 184쪽
-정의: 남근석과 비슷한 정의와 용도,의미를
갖는 것으로 여자의 성기모양의
암석을 말한다.
<여근석과 남근석>
⑶축첩제도 정성희, 조선의성풍속,1998,24~26쪽
-정의: 고려말의 다처 풍속을 변형된 형태로 지속된 결혼제도로, 국가나 사회에서 첩을 두는 것을 허용하는 제도이다.
-목적: ① 나름 명분이라고 말한 것은 자손의 번성이었다. 하지만 자손에 집착 하는 것은 유교적이고, 중국적인 인식이었다.
② 첩을 얻으면 음란함을 막을 수 있다. →첩을 두려는 명분일 뿐이었다.
-의미: 사실상 대게 남자들은 재물만 있으면 먼저 첩을 두고 즐기는 것을 인생최고
의 낙으로 생각함. 실제로도 7~8명의 첩을 두어도 이상히 여기지 않았다.
⇒ 이 제도는 남자들의 자유로운 성생활을 인정하고, 여성들의 성을 종속하고 억압한 불평등한 제도였다.
⑷ 간통 정성희, 조선의성풍속, 1998, 137~148쪽
(이번 조사를 통해서 알게 된 새로운 사실중 하나이다. 조상들이 살던 시대에도
불륜이 일어났고, 그에 따른 처벌도 있었다고 한다.)
-현재의 정의: 배우자가 있는 남녀가 배우자 이외의 남녀와 갖는 불법적인 성관계.
-조선시대의 정의: 남녀 모두 기혼을 막론하고 혼외 성관계를 가지는 것을 말함.
즉, 처녀와 총각사이의 애정관계도 문제가 되었다.
-처벌 3종류:① 화 간 : 두 남녀가 서로 협의하에 성관계를 가지는 것.
② 조 간 : 상대방을 유혹하여 성관계를 갖는 것.
③ 강 간 : 상대방의 의사가 무시된 강제적인 간통.
⇒ 정의부터 까다로워서 지금보다 더 폐쇄적일 것이다 라고 추측해볼 수도 있겠지만,
엄중히 간통을 다룰만큼 조선시대에는 자주보기만 해도 장인과 사위, 근친상간, 양인과 천인등 제약없이 간통이 일어나곤 했을 만큼 문란함을 엿볼 수 있다.
⑸자유부인 정성희, 조선의성풍속, 1998, 149쪽
-정의: 조선시대초기에는 여성들이 남자 못지않게 자유분방한 생활을 누리게 된다.
즉, 유부녀가 여러명의 남자들과 간통을 저지르게 되는데 그런 여성을 일컷는다.
-사례: ① 39명과 간통한 [유감동]
② 조선조 최대의 섹스 스캔들의 [어을우동]
<어을우동 마당놀이>
:남자들을 제압한 이미지
⇒ 사례의 두 여자는 사대부출신의 유부녀로 정욕이 남달랐으며, 음행으로 인해
남편에게 버림받자 스스로를 창기라 여기며, 자유로운 여자의 삶을 살기로 한다.
이는 남성에 비해 성적인 면에서 억눌려있던 여성들의 욕망과 분노가 결국 분출된
조선초기의 사회모습을 두 여성의 사례를 통해 볼 수 있는 것이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10.14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