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의) 문학은 작가와 독자간에 의사를 소통하는 행위임을 안다.
2. (작가의 재개념화) 작가는 독자에게 자신의 사상과 정서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자임을 안다.
3. (작품의 재개념화) 작품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을 안다.
4. (독자의 재개념화) 독자는 작품의 수용자이면서 생산자임을 안다.
5. (사회 문화적 맥락의 재개념화) 시대와 상황에 따라 작품의 의미나 가치가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6. (태도) 문학 작품을 즐겨 읽고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2. (작가의 재개념화) 작가는 독자에게 자신의 사상과 정서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자임을 안다.
3. (작품의 재개념화) 작품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음을 안다.
4. (독자의 재개념화) 독자는 작품의 수용자이면서 생산자임을 안다.
5. (사회 문화적 맥락의 재개념화) 시대와 상황에 따라 작품의 의미나 가치가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6. (태도) 문학 작품을 즐겨 읽고 국어 문화 창조에 이바지하려는 태도를 지닌다.
본문내용
스러운 사실은 소통이론과 수행평가, 그리고 활동 과정 중심의 교육 과정은 매우 친화적인 관계에 있다는 점이다. 아울러 수준별 교육 과정의 의미를 문학 영역의 특성에 걸맞게 조작적으로 재정의하고 재개념화할 수 있다면, 그 길이 그리 멀어 보이지는 않는다.
참고문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국어과 수행 평가 워크숍』, 1998. 8. 1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1993 및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 개정안, 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국어과 교육 과정』, 교육부, 1997.
권오현, 『문학소통이론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김대행,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과 교육의 지향과 과제,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 구성을 위한 세미나.
김대행, 국어과 교육 과정 분석과 수준별 교육 과정 개발(교육 과정연구14-2, 1996.
김중신, 문학 교육 과정과 평가의 원리, 문학 교육 과정의 연구와 실천 방향, 한국국교육연구회, 1996.
노명완,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국어교육 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1990.
박영목 외,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 연구(2)』, 한국교육개발원, 1991.
박인기, 교육 과정의 기술 실제에 비추어 본 문학 지도와 평가 - 제6차 교육 과정 고등학교 ‘문학’의 기술과 해설」, 『문학 교육 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출판부, 1996.
박인기, 문학 교육 과정의 평가, 문학 영역 교육 과정 내용의 체계화 연구,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연구소, 1996.
박인기, 문학 교육 과정의 평가, 우한용 외, 문학 교육 과정론, 삼지원, 1997.
박인기, 「시교육과 평가」,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백순근, 학력평가를 위한 새로운 대안--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개발 통권97호, 1995.
석문주 외,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교육과학사, 1997.
장상호, 교육학 탐구 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연구91-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1.
한국교육개발원교육 과정개정연구회,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허경철 외, 고등학교 교과별 국가수준 평가 기준 개발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1992.
허경철 외, 고등학교 국어, 중학교 수학 교육 과정 상세화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5.
허숙, 교육 과정 탐구 관점과 교육 과정 평가, 윤팔중 외, 교육 과정 이론의 쟁점, 교육과학사, 1987.
황정규,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84.
Waller, Gary, "Working within the Paradigm Shift: Poststructuralism and the College Curriculum", ADE Bulletin 81, 1985, p. 6. 및 "Polylogue", in Diane F. Sadoff & William E. Cain ed, Teaching Contemporary Theory to Undergraduates, MLA, 1994.
참고문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국어과 수행 평가 워크숍』, 1998. 8. 15.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 1993 및 초중등학교 교육 과정 총론 개정안, 1997.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국어과 교육 과정』, 교육부, 1997.
권오현, 『문학소통이론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김대행,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과 교육의 지향과 과제,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 구성을 위한 세미나.
김대행, 국어과 교육 과정 분석과 수준별 교육 과정 개발(교육 과정연구14-2, 1996.
김중신, 문학 교육 과정과 평가의 원리, 문학 교육 과정의 연구와 실천 방향, 한국국교육연구회, 1996.
노명완,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국어교육 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과, 1990.
박영목 외,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 연구(2)』, 한국교육개발원, 1991.
박인기, 교육 과정의 기술 실제에 비추어 본 문학 지도와 평가 - 제6차 교육 과정 고등학교 ‘문학’의 기술과 해설」, 『문학 교육 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출판부, 1996.
박인기, 문학 교육 과정의 평가, 문학 영역 교육 과정 내용의 체계화 연구, 서울대 사대 국어교육연구소, 1996.
박인기, 문학 교육 과정의 평가, 우한용 외, 문학 교육 과정론, 삼지원, 1997.
박인기, 「시교육과 평가」, 김은전 외, 『현대시교육론』, 시와시학사.
백순근, 학력평가를 위한 새로운 대안--수행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개발 통권97호, 1995.
석문주 외, 학습을 위한 수행평가, 교육과학사, 1997.
장상호, 교육학 탐구 영역의 재개념화, 교육학연구91-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1.
한국교육개발원교육 과정개정연구회,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허경철 외, 고등학교 교과별 국가수준 평가 기준 개발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1992.
허경철 외, 고등학교 국어, 중학교 수학 교육 과정 상세화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5.
허숙, 교육 과정 탐구 관점과 교육 과정 평가, 윤팔중 외, 교육 과정 이론의 쟁점, 교육과학사, 1987.
황정규,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84.
Waller, Gary, "Working within the Paradigm Shift: Poststructuralism and the College Curriculum", ADE Bulletin 81, 1985, p. 6. 및 "Polylogue", in Diane F. Sadoff & William E. Cain ed, Teaching Contemporary Theory to Undergraduates, MLA, 1994.
추천자료
98년도 수능 언어영역 문학이론 분석입니다.
제7차 국어과 문학 영역 교육과정과 소설 교육의 방향
[수학과교육][측정영역]수학과(수학교육) 측정영역학습지도 개념과 배경, 수학과(수학교육) ...
특별활동 행사활동영역 정의, 특별활동 행사활동영역 운영방침, 특별활동 행사활동영역 연간...
특별활동 봉사활동영역의 의미, 특별활동 봉사활동영역의 유형, 특별활동 봉사활동영역의 현...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표현생활영역의 의미와 목표, 유치원교육과정(유아교육과정) ...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건강, 사회영역 내용과 하위영역 내용을 쓰시오
미술과교육 표현활동영역의 학습요소와 수업과정, 미술과교육 표현활동영역의 내용, 미술과교...
누리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의 내용범주에서 3세 4세 5세별 내용이 각각 강조 하고 있는 바를 ...
0~2세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 중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영역의 필요성과 성격, 목표를 기술하...
[보육과정] 0~2세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 중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영역의 필요성과 성격 목...
[국어과교육]3-4학년 읽기 영역의 내용과 현행 교과서 상황 (국어과 교육의 목표, 읽기영역 ...
누리과정 자연탐구영역 내용범주 중 과학적 탐구하기의 내용과 연령별 세부내용을 교사가 지...
(생활영역과 흥미영역) 주제 전개의 과정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생활영역관련 내용 파악과 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