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애착의 개념
2. 애착의 유형(안정, 불안정, 혼돈애착)
3. 신체를 이용한 애착형성 방법
4. 사물을 이용한 애착형성 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애착의 개념
2. 애착의 유형(안정, 불안정, 혼돈애착)
3. 신체를 이용한 애착형성 방법
4. 사물을 이용한 애착형성 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향이 있으며, 놀이활동에 있어 교사가 항상 곁에 있을 때 교사를 신뢰하게 된다. 따라서 교사는 아이들과 놀이활동을 같이 진행하면서 아이들과 애착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 영아의 리드를 따라야 한다.
영아가 사물을 던지거나 부서트릴 때, 대부분의 교사는 ‘안돼, 하지마’등 강압적으로 말을 하게 된다. 그러나 영아는 교사가 자신의 탐색과 놀이를 방해한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교사의 행동은 영아가 스스로를 표현하는 노력을 방해하고 있는 것인데, 영아들이 상호작용하려 노력할 때, 교사는 강압적으로 특정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미소로 영아의 리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라. 숨박꼭질
6~12개월 아이들은 보존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에 숨박꼭질을 매우 즐겨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두손으로 자신의 얼굴을 가렸다가 보이기를 반복하게 된다면 아이는 이를 매우 신기하게 생각하고 꺄르르 웃게 되는데, 이러한 숨박꼭질은 아이들과의 안정적 애착형성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아이들의 보존개념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마. 분유나 이유식을 준다
아이들은 분유나 이유식을 먹을 주는 사람을 자신의 보육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동은 영아와의 안정적 애착형성에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교사는 아이를 앉고 눈을 마주친 채 아이들에게 분유나 이유식을 제공해 줌으로서 영아와 안정적 애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바. 놀이활동에 있어 아이들의 주도권을 인정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이 놀이활동에 있어 영아에게 주도권을 주기 보다는 놀이활동 자체를 규제하려고 든다. 이는 영아와의 애착관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는 아이가 스스로 놀이감을 선택하고 놀이활동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Ⅲ. 결론
보울비는 인생 초기의 경험 즉, 애착이 인간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이로 유추해보았을 때 청소년들의 방황이나 성인들의 사회성 결핍 문제는 결국 인생 초기의 안정애착 형성에 실패에 기인하지 않았나 생각해보았고, 영아들이 올바른 안정애착 형성을 통하여 정서적으로 건강한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교사는 영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더욱 배양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애착 존 보울비 저, 김창대 역, 나남, 2014.10.02
영유아발달 이영, 이정희 외 3명 저, 학지사, 2014.03.13
다. 영아의 리드를 따라야 한다.
영아가 사물을 던지거나 부서트릴 때, 대부분의 교사는 ‘안돼, 하지마’등 강압적으로 말을 하게 된다. 그러나 영아는 교사가 자신의 탐색과 놀이를 방해한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교사의 행동은 영아가 스스로를 표현하는 노력을 방해하고 있는 것인데, 영아들이 상호작용하려 노력할 때, 교사는 강압적으로 특정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미소로 영아의 리드를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라. 숨박꼭질
6~12개월 아이들은 보존개념이 부족하기 때문에 숨박꼭질을 매우 즐겨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두손으로 자신의 얼굴을 가렸다가 보이기를 반복하게 된다면 아이는 이를 매우 신기하게 생각하고 꺄르르 웃게 되는데, 이러한 숨박꼭질은 아이들과의 안정적 애착형성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아이들의 보존개념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마. 분유나 이유식을 준다
아이들은 분유나 이유식을 먹을 주는 사람을 자신의 보육자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고, 나아가 이러한 행동은 영아와의 안정적 애착형성에 큰 도움을 준다. 따라서 교사는 아이를 앉고 눈을 마주친 채 아이들에게 분유나 이유식을 제공해 줌으로서 영아와 안정적 애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바. 놀이활동에 있어 아이들의 주도권을 인정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이 놀이활동에 있어 영아에게 주도권을 주기 보다는 놀이활동 자체를 규제하려고 든다. 이는 영아와의 애착관계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는 아이가 스스로 놀이감을 선택하고 놀이활동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Ⅲ. 결론
보울비는 인생 초기의 경험 즉, 애착이 인간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하였다. 이로 유추해보았을 때 청소년들의 방황이나 성인들의 사회성 결핍 문제는 결국 인생 초기의 안정애착 형성에 실패에 기인하지 않았나 생각해보았고, 영아들이 올바른 안정애착 형성을 통하여 정서적으로 건강한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교사는 영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더욱 배양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애착 존 보울비 저, 김창대 역, 나남, 2014.10.02
영유아발달 이영, 이정희 외 3명 저, 학지사, 2014.03.13
추천자료
[발달 이론]조건 형성 이론 . 사회 학습 이론. 욕구 위계 이론. 인간 중심 이론. 애착 이론
[교유심리학] 애착의 형성과 발달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애착의 형성과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기술하기
국자감-아동발달-아동발달에서 애착이 미치는 영향을 애착발달이론과 관련
유아기에 불안정한 애착관계를 형성한 경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
애착의 형성 단계
[가족복지론] 모성보호제도와 육아휴직제도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고, 애착관계 형성의 부...
애착의 정의와 특성, 이론, 발달 단계를 살펴보고 애착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
영아기 안정애착 형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사영아간 안정애착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
[심리학개론] 애착에 문제를 보이는 아동의 심리치료방법을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기술 [심리...
본인의 발달과정에서 영아기의 부모와의 관계, 애착관계가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를 거쳐 ...
애착 형성은 자녀의 성격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과정이다. 자녀와 안정적 애착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본인의 발달과정에서 영아기의 부모와의 관계, 애착관계가 유아기,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