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험적 가족치료 개요
2. 주요 인물 소개
3. 주요개념
4. 정상가족과 역기능가족
5. 치료 목표
6. 치료 기법
7. 가족치료과정
8.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경험적 가족치료 개요
2. 주요 인물 소개
3. 주요개념
4. 정상가족과 역기능가족
5. 치료 목표
6. 치료 기법
7. 가족치료과정
8.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모습에 만족하시는지요?
혹시, 아니면 다른 모습으로 변하기를 원하시나요?
부: 생각해보니까 저만 우리 집에서 나쁜 사람인 거 같네요.. 좀 바꿨으면 싶은데.
상: 그럼, 아버님. 이번에는 어머님과 아버님의 자세를 한 번 바꿔서 역할을 보면 어떨까요? 서로 역할을 바꾸어보면 아버님과 어머니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부: 해 볼께요.. 모 : 끄덕,,
상: 그럼 두 분의 조각상 모양부터 바꾸어 보겠습니다. 아버님은 회유형 조각상을 하시구요. 어머님은 비난자조각상을 해보세요.
(서로 포즈를 바꾼다, 잘 안될 때 상담자가 교정 해준다.)
상: 어머님이 아버님이 되었다고 생각하시고 평소에 아버님이 말하는 대로 해봐도 되고 어머니가 지금 이 자세로 하고 싶은 말을 한번 해보세요.
모 : (자신없게)야.. 니는 대학도 안 나온 주제에..
부: (갑자기 흥분하며) 야야야! 내가 언제 그랬노? 이게 입만 살아가지고. 이걸 그냥 확!(때리려는 시늉)
모: 내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된다 했잖아..
상: 아버님, 지금은 가족을 위해 서로 노력하는 상담시간이니깐 조금만 자제해주시고 회유형의 자세에서 어머님의 입장을 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어머님. 조금 더 자신있게 자유롭게 표현해보시겠어요?
모 : 야. 니 때매 내 인생 종쳤다. 대학도 안 나온 주제에 머 안다고
종알거리노 제발 알짱거리지 마라.
상: (아버지를 보며) 지금 어떤 느낌이 드세요?
부: 솔직히 말해서 아까는 저래 말 안했다고 했는데.. 저렇게 말했던거 사실이고요... 좀 부끄럽고요.. 제가... 집사람한테 너무 막 대했는거 같네요.. 원래는 내 맘은 그게 아닌데.. 집사람한테 잘해주고 싶은데.. 회사에서 스트레스 받으면 그거 다 저 사람한테 분풀이하고.. 손도 대게 되고.. 내가 무시했던 것도 많았습니다.
상: 네, 아버님이 가지고 계신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 같아 미안하신가 봐요..
부: 예....
상: 어머님은 어떤 기분이 드세요?
모: (잠시 조용....)
저 사람 뉘우치는 모습 보니까 마음이 뭉클거리기도 하고 저 사람도 사회생활 하면서 스트레스 많이 받았을 텐데 내가 좀 더 신경써줘야 했나 싶기도 하고 그래요...
상: 그럼 이제는 어머니와 아버님이 하고 싶은 말을 해 볼께요..
부: 야... 미안하다..
상: 아버님, ‘야’라는 호칭보다는 조금 더 부드러운 ‘여보’나 ‘당신’이라는 호칭을 써 보시는게 좋을듯한데.
부: 여보.. 미안하다.. 솔직히 나는 당신이 아도 좋지만, 나도 좀 신경 써 줬으면 좋겠다. 내가 니 싫어서 니한테 막대한건 아니고.. 회사 생활 니도 함 해봐라.. 얼마나 스트레스 받는지.. 이런 내 마음도 좀 알아줬으면 좋겠다.. 그라고.. 인제부터는 잘하께.
모: 나도 잘하께예..
(시간 조금 흐른 후)
상: 아버님의 마음이 어머님에게 잘 전달된 것 같습니다. 아버님과 어머님이 서로의 입장이 되어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 것 같아 참 보기 좋습니다. 가족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셔서 가능했던 좋은 시간이었어요.. 다음 시간에는 우리 가족이 어떻게 변하면 좋을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집에 가셔서 곰곰이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장시간 수고 하셨습니다.
가족들: 감사합니다.
1단계: 가족의 동의를 얻는 단계
앉아서 설명을 듣고 있으면 부담을 점점 느끼게 되므로 일어나게 한다.
2단계: 네가지 역기능적 의사소통 표현해보기
3단계 활동을 위해 미리 안내하는 멘트임
가족들을 계속 격려, 지지한다.
3단계: 자신에게 맞는 역기능 의사소통 조각상 표현하기
위계질서를 표현하기 위한 위, 아래 방향 설정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거리 설정을 위한 질문
정서적 거리 설정위한 질문
조각상이 완성되면 그 자세를 유지하며 자신의 현재의 감정과 느낌을 경험하도록 한다.
4단계: 활동 후 느낀점과 체험 나누기
상훈의 현 위치에서 느낀 점을 이야기 함
상훈의 입장에서 미안하다고 느낀 것을 에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돕는다.
가족들이 표현한 조각작품의 의미를 설명한다.
변화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질문
역할연기기법을 통해 서로의 입장이 되어 자연스럽게 갈등장면을 연출하게 할 수 있다.
역할연기 계속, 가족원 서로의 입장, 느낌을 이해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V. Satir, The New People 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 Behavior Books, Inc, 1988.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1987.
V. Satir, 김만두 역,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77.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Virginia Satir, John Banmen, Jane Gerber, Maria Gomori 저, 한국 버지니아 사티어 연구회 역, 사티어 모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0.
김용태,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0.
김유숙,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998.
김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종옥 역,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1998.
조흥식 외, 가족복지학, 학지사, 2006.
신은주, “아내학대의 실태 및 '가정폭력 방지법(가칭)'”, 사회복지연구, 평택대학교, 1995.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2002.
송성자, 정문자,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4.
송정아 외12인, 행복한 치유자, 한국가정사역연구소 편, 서울: 청우, 2000.
이원숙, “쉼터 거주 아내학대 피해여성을 위한 지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2집, 2001.
한재희,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 교육아카데미, 2004.
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 용태 (2000).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김유숙 (1998).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김종옥역 (1998).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송 성자 (2002).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혹시, 아니면 다른 모습으로 변하기를 원하시나요?
부: 생각해보니까 저만 우리 집에서 나쁜 사람인 거 같네요.. 좀 바꿨으면 싶은데.
상: 그럼, 아버님. 이번에는 어머님과 아버님의 자세를 한 번 바꿔서 역할을 보면 어떨까요? 서로 역할을 바꾸어보면 아버님과 어머니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부: 해 볼께요.. 모 : 끄덕,,
상: 그럼 두 분의 조각상 모양부터 바꾸어 보겠습니다. 아버님은 회유형 조각상을 하시구요. 어머님은 비난자조각상을 해보세요.
(서로 포즈를 바꾼다, 잘 안될 때 상담자가 교정 해준다.)
상: 어머님이 아버님이 되었다고 생각하시고 평소에 아버님이 말하는 대로 해봐도 되고 어머니가 지금 이 자세로 하고 싶은 말을 한번 해보세요.
모 : (자신없게)야.. 니는 대학도 안 나온 주제에..
부: (갑자기 흥분하며) 야야야! 내가 언제 그랬노? 이게 입만 살아가지고. 이걸 그냥 확!(때리려는 시늉)
모: 내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된다 했잖아..
상: 아버님, 지금은 가족을 위해 서로 노력하는 상담시간이니깐 조금만 자제해주시고 회유형의 자세에서 어머님의 입장을 이해해보시길 바랍니다. 어머님. 조금 더 자신있게 자유롭게 표현해보시겠어요?
모 : 야. 니 때매 내 인생 종쳤다. 대학도 안 나온 주제에 머 안다고
종알거리노 제발 알짱거리지 마라.
상: (아버지를 보며) 지금 어떤 느낌이 드세요?
부: 솔직히 말해서 아까는 저래 말 안했다고 했는데.. 저렇게 말했던거 사실이고요... 좀 부끄럽고요.. 제가... 집사람한테 너무 막 대했는거 같네요.. 원래는 내 맘은 그게 아닌데.. 집사람한테 잘해주고 싶은데.. 회사에서 스트레스 받으면 그거 다 저 사람한테 분풀이하고.. 손도 대게 되고.. 내가 무시했던 것도 많았습니다.
상: 네, 아버님이 가지고 계신 마음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 것 같아 미안하신가 봐요..
부: 예....
상: 어머님은 어떤 기분이 드세요?
모: (잠시 조용....)
저 사람 뉘우치는 모습 보니까 마음이 뭉클거리기도 하고 저 사람도 사회생활 하면서 스트레스 많이 받았을 텐데 내가 좀 더 신경써줘야 했나 싶기도 하고 그래요...
상: 그럼 이제는 어머니와 아버님이 하고 싶은 말을 해 볼께요..
부: 야... 미안하다..
상: 아버님, ‘야’라는 호칭보다는 조금 더 부드러운 ‘여보’나 ‘당신’이라는 호칭을 써 보시는게 좋을듯한데.
부: 여보.. 미안하다.. 솔직히 나는 당신이 아도 좋지만, 나도 좀 신경 써 줬으면 좋겠다. 내가 니 싫어서 니한테 막대한건 아니고.. 회사 생활 니도 함 해봐라.. 얼마나 스트레스 받는지.. 이런 내 마음도 좀 알아줬으면 좋겠다.. 그라고.. 인제부터는 잘하께.
모: 나도 잘하께예..
(시간 조금 흐른 후)
상: 아버님의 마음이 어머님에게 잘 전달된 것 같습니다. 아버님과 어머님이 서로의 입장이 되어 서로의 마음을 이해하게 된 것 같아 참 보기 좋습니다. 가족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셔서 가능했던 좋은 시간이었어요.. 다음 시간에는 우리 가족이 어떻게 변하면 좋을 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집에 가셔서 곰곰이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장시간 수고 하셨습니다.
가족들: 감사합니다.
1단계: 가족의 동의를 얻는 단계
앉아서 설명을 듣고 있으면 부담을 점점 느끼게 되므로 일어나게 한다.
2단계: 네가지 역기능적 의사소통 표현해보기
3단계 활동을 위해 미리 안내하는 멘트임
가족들을 계속 격려, 지지한다.
3단계: 자신에게 맞는 역기능 의사소통 조각상 표현하기
위계질서를 표현하기 위한 위, 아래 방향 설정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거리 설정을 위한 질문
정서적 거리 설정위한 질문
조각상이 완성되면 그 자세를 유지하며 자신의 현재의 감정과 느낌을 경험하도록 한다.
4단계: 활동 후 느낀점과 체험 나누기
상훈의 현 위치에서 느낀 점을 이야기 함
상훈의 입장에서 미안하다고 느낀 것을 에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돕는다.
가족들이 표현한 조각작품의 의미를 설명한다.
변화의 동기를 가지고 있는지 질문
역할연기기법을 통해 서로의 입장이 되어 자연스럽게 갈등장면을 연출하게 할 수 있다.
역할연기 계속, 가족원 서로의 입장, 느낌을 이해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V. Satir, The New People Making, Palo Alto, California: Science & Behavior Books, Inc, 1988.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1987.
V. Satir, 김만두 역, 가족치료의 이론과 기술, 한국사회복지연구소, 1977.
V. Satir, 성민선 역, 사람 만들기, 서울: 홍익제.
Virginia Satir, John Banmen, Jane Gerber, Maria Gomori 저, 한국 버지니아 사티어 연구회 역, 사티어 모델,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0.
김용태,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00.
김유숙,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998.
김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종옥 역,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1998.
조흥식 외, 가족복지학, 학지사, 2006.
신은주, “아내학대의 실태 및 '가정폭력 방지법(가칭)'”, 사회복지연구, 평택대학교, 1995.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2002.
송성자, 정문자,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4.
송정아 외12인, 행복한 치유자, 한국가정사역연구소 편, 서울: 청우, 2000.
이원숙, “쉼터 거주 아내학대 피해여성을 위한 지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2집, 2001.
한재희, 상담패러다임의 이론과 실제, 교육아카데미, 2004.
유숙, 가족상담, 학지사, 2000.
김 용태 (2000).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김유숙 (1998).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서울 : 학지사 김종옥역 (1998).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송 성자 (2002).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해리(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이론
교정복지실천 사례-정신분석이론과 체계적 가족치료이론 및 기법의 적용 사례와 수복적 사법...
사회복지상담 가족치료이론-정신분석적, 보웬의 다세대, 미누친의 구조적, 사티어의 의사소통...
아내학대가족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영화 속에 나타난 보웬의 다세대가족치료이론을 찾아보고 영화 속에서 어떻게 적응했는지 찾...
가족에서 일어나는 문제점과 경험적가족치료의 빙산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시오
아내학대가족(정의, 실태, 문제점, 피해자서비스, 가정폭력) PPT 파워포인트 프레젠테이션
가족대상실천기법(보웬,세대간가족치, 미누친,구조적가족치료, 사티어, 경험적가족치료) PPT ...
보웬의 가족치료이론-다세대가족치료,(통찰〈행위, 이론〈기법),자기분화,삼각관계,핵가족의 ...
역기능 가족개입을 위한 3가지 모델을 비교 서술하시오(해결중심 가족치료, 구조적 가족치료,...
사티어의 빙산탐색모델를 활용한 개인의 경험수준 파악(Stair, 경험적가족치료, 대처방식, 심...
사티어 빙산탐색모델를 활용한 개인의 경험수준 파악(Stair, 경험적가족치료, 자기자신탐색)
[정신분석가족치료] 정신분석학적 가족치료의 기법, 정신분석적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평가
가족치료에 대한 여러 이론 중 학습자 본인이 생각할 때 한국가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현실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