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금제에는 여자에 대한 금제가 보일 뿐 남자에 대한 것이 없어서
여자의 저고리에 해당하는 것 같다.
내의: 반비(반소매 윗옷)속이나 표상(겉에 입는 치마)속에 입는 상의로 생각된다. 내의의 형태는 알
수 없다.
반비: 반소매의 상의(윗옷)으로서 내의 위에 입는 옷이다.
표의: 포(두루마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분에 관계 없이 남녀 모두 입었다.
표: 오늘날의 숄 또는 스카프와 비슷한 것으로 목 뒤에서 가슴 앞으로 길게 드리웠던, 일종의 목도리였
다. 4두품 여자까지는 두를 수 있었으나 평인은 두를 수 없었다.
여자(하의)
고(바지): 흥덕왕의 복식금제에 남자의 바지뿐만 아니라 여자의 바지에 대해서도 규제하고 있는 것
으로 보아 여자가 바지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상(치마): 치마에는 내상과 표상의 구분이 있어 신라보다 복식의 구조가 복잡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표상은 상의의 가슴 위로 올려입는 치마이고 내상은 표의나 단의 속에 입었던 치마로 생각된다
5. 고려시대 http://user.chol.com/~juyada/한국 정통의상과 장신구
고려의 복식은 문헌이나 유물이 거의 없는데, 인종 때 고려를 다녀간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 국
왕도 평상시에는 조건과 백저포를 착용하여 민서(서민)와 구별이 없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포는
가선(덧댄 선)이 없는 흰 모시 두루마기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서민남자
고려 상류층 복식은 중국 복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일반 서민의 복식은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풍속을 그대로 반영하며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남녀귀천의 차이 없이 백저포에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남자 서민복은 포(두루마기), 유(저고리), 고(바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려의 유는 오늘날의 저고리
보다 약간 길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은 귀족층은 두 가닥 띠의 건을 착용하였으나 서민은 사대오건
(네 가닥 띠의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서민여자
여자 서민들은 삼국시대 기본 복식인 상(치마)과 유(저고리)를 계속 입어 치마, 저고리가 되었다. 이
명칭은 고려 말에 생긴 용어이다. 치마, 저고리 위에 포를 입었다. 귀부녀에서 서민 처녀, 아이에
이르기까지 다 같았다고 했으나 귀부녀보다 옷감의 질이 나쁘고 길이가 짧으며 폭이 좁았다고 본다.
방배동 출토 목우상에서 여자 서민들이 착용했던 유와 상을 볼 수 있다. 유의 길이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길이이다.
여자의 저고리에 해당하는 것 같다.
내의: 반비(반소매 윗옷)속이나 표상(겉에 입는 치마)속에 입는 상의로 생각된다. 내의의 형태는 알
수 없다.
반비: 반소매의 상의(윗옷)으로서 내의 위에 입는 옷이다.
표의: 포(두루마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신분에 관계 없이 남녀 모두 입었다.
표: 오늘날의 숄 또는 스카프와 비슷한 것으로 목 뒤에서 가슴 앞으로 길게 드리웠던, 일종의 목도리였
다. 4두품 여자까지는 두를 수 있었으나 평인은 두를 수 없었다.
여자(하의)
고(바지): 흥덕왕의 복식금제에 남자의 바지뿐만 아니라 여자의 바지에 대해서도 규제하고 있는 것
으로 보아 여자가 바지를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상(치마): 치마에는 내상과 표상의 구분이 있어 신라보다 복식의 구조가 복잡해진 것을 알 수 있다.
표상은 상의의 가슴 위로 올려입는 치마이고 내상은 표의나 단의 속에 입었던 치마로 생각된다
5. 고려시대 http://user.chol.com/~juyada/한국 정통의상과 장신구
고려의 복식은 문헌이나 유물이 거의 없는데, 인종 때 고려를 다녀간 송나라의 서긍이 쓴 '고려도경'에 국
왕도 평상시에는 조건과 백저포를 착용하여 민서(서민)와 구별이 없었다고 한다. 이것으로 보아 포는
가선(덧댄 선)이 없는 흰 모시 두루마기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서민남자
고려 상류층 복식은 중국 복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일반 서민의 복식은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풍속을 그대로 반영하며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남녀귀천의 차이 없이 백저포에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남자 서민복은 포(두루마기), 유(저고리), 고(바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려의 유는 오늘날의 저고리
보다 약간 길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은 귀족층은 두 가닥 띠의 건을 착용하였으나 서민은 사대오건
(네 가닥 띠의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서민여자
여자 서민들은 삼국시대 기본 복식인 상(치마)과 유(저고리)를 계속 입어 치마, 저고리가 되었다. 이
명칭은 고려 말에 생긴 용어이다. 치마, 저고리 위에 포를 입었다. 귀부녀에서 서민 처녀, 아이에
이르기까지 다 같았다고 했으나 귀부녀보다 옷감의 질이 나쁘고 길이가 짧으며 폭이 좁았다고 본다.
방배동 출토 목우상에서 여자 서민들이 착용했던 유와 상을 볼 수 있다. 유의 길이는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길이이다.
추천자료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역사 인식 문제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와 역사인식에 관한 고찰
[역사이야기] 8장 실증주의와 현재주의 11장 종교로본 인간의 역사
[역사] 역사란 무엇인가 [카(carr edward hallett)]
(역사 이야기-장의식저) 제11장 인간으로 본 종교의 역사 요약 정리,비평
[중국역사학]중국의 역사보고서(내용 정리 포함)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 왜곡배경, 대응방안, 한국의 대응, 역사와 진실
[역사의이해] 역사와영화의만남
인쇄술의 역사, 유래, 문명, 발전, 동양의 인쇄술, 발명, 역사, 서양의 인쇄술, 동서양의 인...
사회복지시설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현대 사회복지시설의 동향을 대해 논하시오...
(역사란무엇인가 감상) 카의 역사란무엇인가 저자 E.H. 카
[역사교육] 교육제도에 나타난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나아갈 길
한반도 역사를 중국 역사에 대비하여 간략하게 논하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