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의 역사7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옷의 역사7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만든 늑건(허리띠)을 매었다. 이 허리띠는 사이사이에 금실과 푸른실로 수를 놓았다. 중국의 황제 색인 황색포를 착용하여 조선시대의 왕이 황색을 입을 수 없었던 경우와 비교해 보면 비교적 자주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 평상복
: 왕이 집무에서 벗어났을 때의 차림이다. 연복, 편복이라고도 한다. 서민과 똑같이 백 저포(흰색 포)를 입고 포백대를 허리에 둘렀는데 백저포는 고려의 기본적인 복식으로 남녀상하가 모두 입었던 옷이다. 길이가 길고 넓은 소매일 때는 포로, 길이가 짧고 좁은 소매일 때는 의로 구별된다. 머리에는 검은색 건을 쓰고 이를 신었다.
② 왕비
왕비복은 색이 홍색이며 그림을 그리고 수를 놓았고 서민은 하지 못했다는 '고려도경' 의 기록에 의거하여 불화 관경서분변상도의 왕비의 옷을 왕비복으로 추정한다.
한편 고려 말 명나라에서 공민왕비의 적의(왕비복)를 받았다. 왕비복은 청색 비단으로 지은 적의에 상(치마), 중단, 폐슬, 대대, 혁대, 패옥, 수, 청말(청색 버선), 청석(청색 신), 칠휘이봉관 등을 함께 착용하였다.
③ 백관
고려시대 백관복에는 제복, 조복, 공복, 상복이 있었다.
- 제복
: 의종조의 제도에 따르면 백관 제복은 각 계급에 따라 칠류관(7줄로 된 관)과 일곱 문 양의 옷에서부터 술이 없는 관과 문양이 없는 옷까지 있었다.
- 조복
: 조복에 대하여 자세한 제도는 알 수 없고 송나라의 제도를 따랐을 것으로 본다.
- 공복
: 공복은 문무백관이 조정에 나갈 때 입는 예복이며 집무복으로도 착용하였다. 둥근 깃 과 커다란 소매가 달린 포를 입었으며 복두를 쓰고 대(허리 띠), 화(신)를 착용하였으 며 손에는 홀을 들었다. 포의 색, 대와 홀의 재료에 따라 신분이 구별되었다.
- 상복
: 상복에 대해 뚜렷이 문헌에 나타난 바가 없으나 고려 공신 정몽주상에서 각이 아래로 향한 사모에 단령포를 입고 대를 띤 상복의 예를 볼 수 있다. 둥근 옷깃 때문에 단령, 원령이라고도 한다.
④ 사인
사인이란 일반적으로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를 말하지만 사인 복식은 관직에 오르지 않은 사람들만이 아니라 관직자일지라도 집안에 기거하거나 평거시에 착용하는 의복을 포함하여 말한다. 즉 문무백관의 편복에서부터 아직 과거에 합격하지 않은 진사의 양 반복이 모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 반수포(답호)
: '고려도경' 제19권에서, 왕도 평소에는 조건(검은색 건)을 쓰고, 소저포를 착용하였고 백관도 사택에 있을 때는 이와 같은 편복을 입고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삼국 이래 별 변화 없이 내려온 전통 복식은 형태나 색에 있어 왕은 물론 백관, 사민 사이의 구 별이 없었다고 본다. 소저포는 반소매의 반수포로 이중 깃이고 옆이 터졌다.
- 철릭
: 고려시대에 원나라에서 들어왔다. 의(윗옷)와 상(치마)을 따로 재단하여 봉재한 옷이 다. 허리에 선을 넣어 장식한 주름진 철릭을 요선철릭이라고 한다. 세련된 이중 깃 과 곧게 뻗은 주름선, 소매배래선 등은 섬세하고 정교한 고려 복식의 아름다움을 느 낄 수 있다.
- 자의
: 앞이 짧고 뒤가 긴 형태의 예복이다.
- 중의
: 자의 안에 입었던 옷으로 소매는 자의의 소매 길이보다 더 길다. 예복은 중의 의 소매를 겉으로 내어 입었다.
- 장수의
: 자의와 중의에 비해 전체적인 치수는 작으나 중의로서 겉옷 안에 입었을 가능성이 있 다. 소매의 중간은 다른 천으로 덧대었는데 이는 천이 모자란 탓이라 여겨지며 소매 는 길어 손을 덮는 길이이다.
⑤ 귀부녀
- 유(저고리)
: 수월관음도 공양자들을 보면 옅은 황색 저고리에 홍색 상(치마)를 입고 있다. 저고리 겨드랑이 양옆이 트여져 있으며 허리에 대(띠)를 매지 않은 것으로 보아 앞 여밈 부 분에 고름을 매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저고리는 앞 시대의 대가 고름으로 바뀌어 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저고리의 길이가 차츰 짧아졌음을 볼 수 있다.
저고리와 치마라는 용어는 고려 말에 생긴 것이다.
- 포(두루마기)
: 치마, 저고리 위에 포를 덧입었다.
- 상(치마)
: 엷고 짙은 황색 치마를 즐겨 입었으며 귀부녀의 치마의 길이는 매우 길어 보행시 겨 드랑이에 끼고 다녔다고 한다.
- 고(바지)
: 바지는 무늬가 있는 비단으로 만든 통 넓은 것을 입었는데 생초로 안을 대어 옷이 몸 에 붙지 않게 하였다.
⑥ 장신구
- 말(버선)과 이(신)
: 버선이나 신의 형태가 발의 형태와 비슷하여 조선시대와 비슷하다.
- 머리, 기타 장신구
: 머리는 틀어올려 붉은 비단으로 묶고 작은 비녀를 꽂았다. 고려 귀부녀의 머리 장식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몽수, 족두리, 화관이 있다. 몽수는 개두라고도 하는데 부인들이 외출할 때 착용하던 것으로 머리 위에서 드리워 얼굴만 내놓고 나머지는 땅에 끌리게 하고 다녔다. 동곳은 틀어 올린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끼워 고정하는 장신구이다. 비치개는 여인들이 머리 가르마를 탈 때 쓰고 올린 머리를 고착시키기 위해 보이지 않게 꽂았던 것이다. 대개 은으로 만들었으며 족두리비녀로도 사용했다. 비녀는 쪽 진 머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꽂는 장신구이다.
⑦ 서민(남)
고려 상류층 복식은 중국 복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일반 서민의 복식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풍속을 그대로 반영하며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다. 고려시대에는 남녀귀천의 차이 없이 백저포에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남자 서민복은 포(두루마기), 유(저고리), 고(바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고려의 유는 오늘날의 저고리보다 약간 길었을 것으로 보인다. 건은 귀족층은 두 가닥 띠의 건을 착용하였으나 서민은 사대오건(네 가닥 띠의 검은 건)을 착용하였다.
한편 주인(뱃사람)은 머리에 죽관(대나무 관모)을 썼다.
⑧ 서민(녀)
여자 서민들은 삼국시대 기본 복식인 상(치마)과 유(저고리)를 계속 입어 치마, 저고리 가 되었다. 이 명칭은 고려 말에 생긴 용어이다. 치마, 저고리 위에 포를 입었다. 귀부녀에서 서민, 처녀, 아이에 이르기까지 다 같았다고 했으나 귀부녀보다 옷감의 질이 나쁘고 길이가 짧으며 폭이 좁았다고 본다.
1) 한국 생활사 박물관 _사계절 출판사_
2) http://user.chol.com/~juyada/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10.2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3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