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쌀의 원산지
2.우리나라에 벼농사는 어떻게 전파
3.이앙법에 의한 조선사회의 변화
4.식민지시대의 일본의 쌀 수탈정책
5.박정희 시대의 혼분식장려 운동과 통일벼생산
6.우루과이 라운드
2.우리나라에 벼농사는 어떻게 전파
3.이앙법에 의한 조선사회의 변화
4.식민지시대의 일본의 쌀 수탈정책
5.박정희 시대의 혼분식장려 운동과 통일벼생산
6.우루과이 라운드
본문내용
.
정부는 혼분식 장려운동과 함께 다수확 벼 품종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마침내 ‘기적의 볍씨’ IR667로 불리던 통일벼를 개발해내어 전국의 논이란 논에는 반강제적으로 통일벼가 심어졌고 마침내 77년 쌀 자급을 이루었고 그해 다시금 쌀막걸리가 다시 등장했고 수출 1백억달러를 돌파 했다고 합니다. 그 와중에 혼분식 운동도 역사의 뒷전으로 사라졌다고 합니다.
(2)통일벼
우리나라는 1971년 세계 최초로 인디카품종과 자포니카품종간 원연 교잡에 의해 통일벼를 개발하였다. 통일벼는 그 생산량이 일반벼 품종보다 40% 가까이 많아 우리나라 단군 역사이래 최대 숙원이었던 식량자급을 달성하였고 보리고개에서 해방시켜 주는등 우리민족의 주린 배를 채워주었다. 육성기간은 1965~1971년이며 통일벼에 대표적인 개량 품종중 장성벼는 병충해에 강한 작물로 일본 및 외국에서도 큰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통일벼의 장점
1960년대 우리나라 농업사정은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1960년대 후반에 전국 평균 쌀 수량은 약 300kg/10ha 수준으로 전국 쌀 생산량은 360만톤 정도밖에 되지 않았서 만성적인 식량부족에 굶어죽는 사람들도 많았을 뿐더러 2~3차 산업 발달에도 큰 지장을 주었다. 게다 부족한 쌀을 수입하려니 경제 사정마저 더욱 어려워져서 말 그대로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 되었는데 이에 정부에서는 1971년 통일벼를 개발 하게 되었다.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의 출현으로 빈곤의 상징이던보릿고개는 옛말이 되었고 통일벼 덕분에 77년에는 쌀 생산량이 유사 이래 최고인 660만t을 기록했고, ha당 수확량이 4.94t으로 세계 최고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누구나 세 끼 쌀밥을 먹을 수 있는 시대를 가능하게 한 눈부신녹색혁명이었다고 한다.
-htt:100empas.com/padise/2190454
-htt://100naver.com/100.php?id=87893두산백과사전
-최규진 교수님 홈페이지 자료실에 있는 발표문 모음 > 쌀의 역사 > 쌀에 사회사 자 료.hwp
6.우르과이 라운드 (Uruguay Round)
(1)우루과이 라운드란?
1986년 9월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각료회의에서 개시된 GATT의 8번째 다자간 무역 협상을 일컫는다. GATT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함께 전후 미국 주도의 세계 자본주의를 떠받치는 기둥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절대 우위에 기초한 국제 경제 질서가 붕괴되고 미국, 일본, 유럽 공동체(EC : 오늘날의 유럽연합, EU) 등으로 다극화 되었다.
(3)우르과이 라운드 주요안건
① GATT를 공산품과 원자재외에도 서비스의 국제 무역에까지 적용범위 확장
② 지적재산권문제 , 농업 보조금삭감문제 그리고 위반국에 대한 재제능력확대
(2)우루과이 라운드의 영향
UR협상에서 농업 분야는 각국이 가장 대립을 보였던 분야이다. 현재 쌀의 경우 국제가격에 비해 국내가격이 4배 가량 높은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농업의 피해는 클 수밖에 없을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는 1995~2004년 동안 총 1조 6500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식량 자급률을 살펴보면 쌀의 경우 관세화 유예 조치로 단기적으로는 크게 하락하지 않겠지만, 쌀을 제외한 품목의 경우 2000년 41~99 %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농업의 경우 가격 경쟁력의 불리함과 더불어 농업 보조조차도 기대할 수 없게 되어 농업의 경쟁력은 더욱 하락할 수밖에 없다.
(3)우리나라의 현재의 상황과 대책
①현재의 상황
쌀 시장 추가 개방 협상을 앞두고 농민들은 많은 혼란을 격고 있다. 수입쌀은 국내산 쌀에 비해 가격이 절반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저렴하다. 또한 품질도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쌀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방되기 시작하면 우리 농민들은 당장 농기구를 던져버리고 길바닥에 나 앉을 것이다.
②대책
쌀시장 개방에 대한 대책 : “경쟁력 재고”
대책은 역시 품종개량과 고급화에 있다. 국토의 면적으로 볼 때, 쌀 생산력을 중국 혹은 미국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대한 한국인들에게 최고의 브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는 수준으로 우리 쌀의 수준을 끌여올려야 할 것이다.
-WTO 체제하에 한국 농업의 활로 (김성훈 , 1996 , 16~17p, 76~77p)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1&docid=369161
정부는 혼분식 장려운동과 함께 다수확 벼 품종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마침내 ‘기적의 볍씨’ IR667로 불리던 통일벼를 개발해내어 전국의 논이란 논에는 반강제적으로 통일벼가 심어졌고 마침내 77년 쌀 자급을 이루었고 그해 다시금 쌀막걸리가 다시 등장했고 수출 1백억달러를 돌파 했다고 합니다. 그 와중에 혼분식 운동도 역사의 뒷전으로 사라졌다고 합니다.
(2)통일벼
우리나라는 1971년 세계 최초로 인디카품종과 자포니카품종간 원연 교잡에 의해 통일벼를 개발하였다. 통일벼는 그 생산량이 일반벼 품종보다 40% 가까이 많아 우리나라 단군 역사이래 최대 숙원이었던 식량자급을 달성하였고 보리고개에서 해방시켜 주는등 우리민족의 주린 배를 채워주었다. 육성기간은 1965~1971년이며 통일벼에 대표적인 개량 품종중 장성벼는 병충해에 강한 작물로 일본 및 외국에서도 큰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통일벼의 장점
1960년대 우리나라 농업사정은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1960년대 후반에 전국 평균 쌀 수량은 약 300kg/10ha 수준으로 전국 쌀 생산량은 360만톤 정도밖에 되지 않았서 만성적인 식량부족에 굶어죽는 사람들도 많았을 뿐더러 2~3차 산업 발달에도 큰 지장을 주었다. 게다 부족한 쌀을 수입하려니 경제 사정마저 더욱 어려워져서 말 그대로 빈곤의 악순환이 계속 되었는데 이에 정부에서는 1971년 통일벼를 개발 하게 되었다. 다수확 품종인 통일벼의 출현으로 빈곤의 상징이던보릿고개는 옛말이 되었고 통일벼 덕분에 77년에는 쌀 생산량이 유사 이래 최고인 660만t을 기록했고, ha당 수확량이 4.94t으로 세계 최고기록을 세웠다고 한다. 누구나 세 끼 쌀밥을 먹을 수 있는 시대를 가능하게 한 눈부신녹색혁명이었다고 한다.
-htt:100empas.com/padise/2190454
-htt://100naver.com/100.php?id=87893두산백과사전
-최규진 교수님 홈페이지 자료실에 있는 발표문 모음 > 쌀의 역사 > 쌀에 사회사 자 료.hwp
6.우르과이 라운드 (Uruguay Round)
(1)우루과이 라운드란?
1986년 9월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각료회의에서 개시된 GATT의 8번째 다자간 무역 협상을 일컫는다. GATT는 국제통화기금(IMF)과 함께 전후 미국 주도의 세계 자본주의를 떠받치는 기둥의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미국의 절대 우위에 기초한 국제 경제 질서가 붕괴되고 미국, 일본, 유럽 공동체(EC : 오늘날의 유럽연합, EU) 등으로 다극화 되었다.
(3)우르과이 라운드 주요안건
① GATT를 공산품과 원자재외에도 서비스의 국제 무역에까지 적용범위 확장
② 지적재산권문제 , 농업 보조금삭감문제 그리고 위반국에 대한 재제능력확대
(2)우루과이 라운드의 영향
UR협상에서 농업 분야는 각국이 가장 대립을 보였던 분야이다. 현재 쌀의 경우 국제가격에 비해 국내가격이 4배 가량 높은데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농업의 피해는 클 수밖에 없을것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농산물 시장개방에 따른 피해는 1995~2004년 동안 총 1조 6500억 원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식량 자급률을 살펴보면 쌀의 경우 관세화 유예 조치로 단기적으로는 크게 하락하지 않겠지만, 쌀을 제외한 품목의 경우 2000년 41~99 %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농업의 경우 가격 경쟁력의 불리함과 더불어 농업 보조조차도 기대할 수 없게 되어 농업의 경쟁력은 더욱 하락할 수밖에 없다.
(3)우리나라의 현재의 상황과 대책
①현재의 상황
쌀 시장 추가 개방 협상을 앞두고 농민들은 많은 혼란을 격고 있다. 수입쌀은 국내산 쌀에 비해 가격이 절반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저렴하다. 또한 품질도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쌀 시장이 본격적으로 개방되기 시작하면 우리 농민들은 당장 농기구를 던져버리고 길바닥에 나 앉을 것이다.
②대책
쌀시장 개방에 대한 대책 : “경쟁력 재고”
대책은 역시 품종개량과 고급화에 있다. 국토의 면적으로 볼 때, 쌀 생산력을 중국 혹은 미국수준으로 끌어 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대한 한국인들에게 최고의 브랜드로 자리잡을 수 있는 수준으로 우리 쌀의 수준을 끌여올려야 할 것이다.
-WTO 체제하에 한국 농업의 활로 (김성훈 , 1996 , 16~17p, 76~77p)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1&docid=369161
추천자료
쌀에 대해...
쌀[rice]에 대하여
[베트남][베트남 지형][베트남 기후][베트남 정치][노무관리][전통 상례][호치민][쌀국수]베...
우리나라의 쌀문화) 한국 쌀문화의 변천단계와 영양적 특성 및 기능, 쌀의 생산과 소비 및 건강
쌀시장개방에 대해..
만3,4,5세) <연시계획안, 연시준비 (이야기 나누기)> 추수 - 쌀이 우리에게 오는 과정
농림수산식품부(농림부)의 조직, 농림수산식품부(농림부)의 정보화촉진, 농림수산식품부(농림...
[생산기술, 재생산기술, 항체생산, 단백질생산]생산기술과 재생산기술, 생산기술과 항체생산,...
[기술변화, 제2차세계대전, 자동화, 경영교육, 클라이언트컴퓨터]기술변화와 제2차세계대전, ...
[일본문화][일본음식문화]일본문화와 일본음식문화, 일본식생활문화, 일본문화와 일본쌀문화,...
2014년 1학기 기초미시경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대형마트규제 효과, 쌀시장개방 효과)
베트남 식문화사-음식문화의 특징,식사예절,식사모습,식기류,조리도구,베트남과 쌀,브랜드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