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신문을 읽는 동안 나를 가만히 내버려두면 어떻겠니. 그러면 신문을 다 읽고 나서 나와 놀면 되잖아. 어때? ” 라고 제의했다. 자녀는 이에 동의했다. 몇일 후 자녀가 엄마에게 “ 아버지를 괴롭히지 마세요. 지금은 아빠가 쉬는 시간이에요.”라고 말하는 소리가 들렸다.
4) 사례 4
확실이(8살), 똑순이(6살), 민수(4살)는 자기의 방을 정리하지 않고 어수선하게 늘어놓아 부모의 분노를 사고 있다. 확실이와 똑순이는 학교에 간 사이에 막내인 민수가 방에 들어와서 어지럽혀 놓았다고 불평한다. 민수는 누나들 방엔 2층 침대가 있어서 좋다고 말한다. 엄마와 아버지는 민수의 말을 듣고, 민수가 정말로 2층 침대를 대신할 수있는 방법을 고안해 많은 제안이 만들어졌다.
결국 민수는 부모들이 아기용침대 밑에다 침낭을 놓아줘서 그 안에서 잘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고 결정했다. 민수는 침낭 속에서 3일 밤을 잤는데 4일째 되던 날엔 스스로가 어린이용 침대위로 다시 올라와서 자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민수는 그 침대 위에서 잠을 잤는데 침대 아래의 침낭은 그가 2개의 침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그대로 놔두었다. 이런 일이 있은 후로 민수는 누나 방엘 들어가지 않으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5) 사례 5
2살아이는 몇 달 전부터 다른 사람보다 1시간이나 일찍 일어나서 부모의 잠자리로 들어오곤 했다. 제 3의 방법 해결책은 모든 사람에게 만족을 가져다 주었다. 즉, 2살박이는 일어나서 거실에서 장난감을 가지고 혼자 놀다가 자명종이 울리면 그제서야 부모의 침실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6) 사례 6
2살짜리 소년은 엄마와 함께 지나가는 상점의 진열장마다 멈추어서 들여다보려고 했다. 엄마는 상점이 문을 닫기 전에 그곳에 도착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었다. 엄마는 너는 진열장을 보고 싶겠지만 보고 싶은대로 다 보면서 가면 상점에 시간내로 갈 수 없게 돼. 지금 서둘러서 가면, 엄마가 돌아오는 길에 네가 원하는 대로 다 보게 해줄께” 라고 말했다. 자녀는 동의했다.
7) 사례 7
몇달된 유아가 야채를 먹일 때마다 그것을 뱉아냈다. 아버지는 아기가 특별히 사과 소스와 같은 과일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사과소스 속에 야채를 조금씩 섞어서 먹이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하자 아기는 더이상 뱉아내질 않았다. 아버지는 아기가 사과소스없이 야채를 먹게 될 때까지 사과소스 속에 넣는 야채의 양을 증가시켜 갔다.
4) 사례 4
확실이(8살), 똑순이(6살), 민수(4살)는 자기의 방을 정리하지 않고 어수선하게 늘어놓아 부모의 분노를 사고 있다. 확실이와 똑순이는 학교에 간 사이에 막내인 민수가 방에 들어와서 어지럽혀 놓았다고 불평한다. 민수는 누나들 방엔 2층 침대가 있어서 좋다고 말한다. 엄마와 아버지는 민수의 말을 듣고, 민수가 정말로 2층 침대를 대신할 수있는 방법을 고안해 많은 제안이 만들어졌다.
결국 민수는 부모들이 아기용침대 밑에다 침낭을 놓아줘서 그 안에서 잘 수 있도록 해주면 좋겠다고 결정했다. 민수는 침낭 속에서 3일 밤을 잤는데 4일째 되던 날엔 스스로가 어린이용 침대위로 다시 올라와서 자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민수는 그 침대 위에서 잠을 잤는데 침대 아래의 침낭은 그가 2개의 침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그대로 놔두었다. 이런 일이 있은 후로 민수는 누나 방엘 들어가지 않으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5) 사례 5
2살아이는 몇 달 전부터 다른 사람보다 1시간이나 일찍 일어나서 부모의 잠자리로 들어오곤 했다. 제 3의 방법 해결책은 모든 사람에게 만족을 가져다 주었다. 즉, 2살박이는 일어나서 거실에서 장난감을 가지고 혼자 놀다가 자명종이 울리면 그제서야 부모의 침실로 들어올 수 있게 되었다.
6) 사례 6
2살짜리 소년은 엄마와 함께 지나가는 상점의 진열장마다 멈추어서 들여다보려고 했다. 엄마는 상점이 문을 닫기 전에 그곳에 도착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었다. 엄마는 너는 진열장을 보고 싶겠지만 보고 싶은대로 다 보면서 가면 상점에 시간내로 갈 수 없게 돼. 지금 서둘러서 가면, 엄마가 돌아오는 길에 네가 원하는 대로 다 보게 해줄께” 라고 말했다. 자녀는 동의했다.
7) 사례 7
몇달된 유아가 야채를 먹일 때마다 그것을 뱉아냈다. 아버지는 아기가 특별히 사과 소스와 같은 과일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사과소스 속에 야채를 조금씩 섞어서 먹이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하자 아기는 더이상 뱉아내질 않았다. 아버지는 아기가 사과소스없이 야채를 먹게 될 때까지 사과소스 속에 넣는 야채의 양을 증가시켜 갔다.
키워드
추천자료
맞벌이 부부의 자녀교육(가족문제)
’부모-자녀간의 진로문제 갈등‘에 대한 개입에는 심리사회 모델을 이용한 개입 [가계도, 생태...
이혼의 개념과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및 이혼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편부모아동문제]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심리, 정서적문제
가족환경의 변화특성 중 다문화 가족의 증가현상에 대해 원인, 현상 및 당면한 문제점에 대해...
가족과공동체_ 이혼의 젠더 구조,이혼가정,이혼 자녀 양육,사회문제
[사회문제] 저출산(低出産) 관련 인구변화 현황 - 인구수와 인구동태의 변화, 인구구조의 변...
발달장애인(發達障碍人)의 성(性)과 성적인 삶 - 성적존재로서 지적장애인, 지적장애인의 사...
가족과 생활환경-무자녀가족,무자녀가족의 정의,무자녀가족의 현황 및 특성,무자녀가족 선호...
[다문화사회복지] 북한이탈주민의 문제와 욕구(적응의 어려움, 취업과 경제생활의 어려움, 자...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가족 아동 및 청소년 개념, 다문화가족 자녀의 현황, 다문화가족 아...
[이혼가정아동] 이혼가정아동의 특성 및 문제, 이혼가정 자녀의 치료와 상담
다문화가정의 개념과 유형 및 문제점, 다문화가정의 부모자녀관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
이혼가족(이혼가정)의 문제점 - 이혼가족의 경제적-심리사회적 문제 이혼이 자녀(아동)에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