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식이란?
2. 무성생식
1) 정의
2) 무성생식의 종류
3. 무성생식의 장단점과 보완
4. 유성생식
5. 유성생식의 장단점
6. 유성생식과 생활사
7. 출처
2. 무성생식
1) 정의
2) 무성생식의 종류
3. 무성생식의 장단점과 보완
4. 유성생식
5. 유성생식의 장단점
6. 유성생식과 생활사
7. 출처
본문내용
전체를 일반적으로 유성생식이라고 한다.
꽃등에의 교미
사자의 교미
5. 유성생식의 장단점
유성생식은 무성생식에 비해서 번잡한 과정을 필요로 하며, 또한 적절한 짝이 없으면 생식을 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생물이 생활사 도중에 유성생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유성생식이 무언가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장점은 유전자가 매 세대마다 뒤섞임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유전적 다양성이 커지면 한 가지 유전자만을 가지고 있는 무성생식 번식에 비해 수많은 유전자를 동시에 가져서, 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진화의 가능성을 크게 열어 놓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생물은 유성생식 과정과 무성생식 과정을 같이 가져서, 환경이 유리한 경우에는 무성생식으로 빠른 증식을 하다가 환경이 불리하게 바뀌게 되면 유성생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6. 유성생식과 생활사
동물 중에서는 유성생식만을 통해서 생식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전체 생물을 놓고 보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같이 사용하는 생물이 많다. 단세포 생물에도 유성생식과 비슷한 접합을 하는 효모 같은 생물체가 있어서, 이들은 주위 환경이 좋을 때는 무성생식으로 분열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통해서 다양한 유전자를 만들어 낸다. 식물은 많은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무성생식을 이용하는 기간이 생활사 중에 존재한다. 바다에 사는 조류나, 이끼 같은 선태식물이나 고사리 같은 양치식물은 무성생식으로 성장하여 포자로 번식하는 기간이 있다. 종자식물도 정확하게 따지면 밑씨, 즉 종자라는 기관이 곧 생식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생활사에 무성생식 과정이 있다고 봐야 한다. 또는 잔디의 지하줄기처럼 환경이 좋을 때는 여러 가지 영양생식 방법을 이용하여 무성생식을 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하기도 한다. 동물의 경우에도 물벼룩이나 일부의 개미처럼 암컷 혼자서 무성생식, 즉 단위생식(또는 단성생식)을 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유성생식을 하는 생활사를 유성세대, 무성생식을 하는 생활사를 무성세대라고 한다.
7. 출처
· 『네이버 두산백과』
· Jane B. Reece 외 3명, 『생명과학 : 개념과 현상의 이해』, ( 교보문고, 2011, p. 486~487 )
꽃등에의 교미
사자의 교미
5. 유성생식의 장단점
유성생식은 무성생식에 비해서 번잡한 과정을 필요로 하며, 또한 적절한 짝이 없으면 생식을 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생물이 생활사 도중에 유성생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유성생식이 무언가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장점은 유전자가 매 세대마다 뒤섞임으로써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유전적 다양성이 커지면 한 가지 유전자만을 가지고 있는 무성생식 번식에 비해 수많은 유전자를 동시에 가져서, 환경 변화에 따른 적응이 수월하게 된다. 또한 진화의 가능성을 크게 열어 놓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생물은 유성생식 과정과 무성생식 과정을 같이 가져서, 환경이 유리한 경우에는 무성생식으로 빠른 증식을 하다가 환경이 불리하게 바뀌게 되면 유성생식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6. 유성생식과 생활사
동물 중에서는 유성생식만을 통해서 생식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전체 생물을 놓고 보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같이 사용하는 생물이 많다. 단세포 생물에도 유성생식과 비슷한 접합을 하는 효모 같은 생물체가 있어서, 이들은 주위 환경이 좋을 때는 무성생식으로 분열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통해서 다양한 유전자를 만들어 낸다. 식물은 많은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무성생식을 이용하는 기간이 생활사 중에 존재한다. 바다에 사는 조류나, 이끼 같은 선태식물이나 고사리 같은 양치식물은 무성생식으로 성장하여 포자로 번식하는 기간이 있다. 종자식물도 정확하게 따지면 밑씨, 즉 종자라는 기관이 곧 생식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생활사에 무성생식 과정이 있다고 봐야 한다. 또는 잔디의 지하줄기처럼 환경이 좋을 때는 여러 가지 영양생식 방법을 이용하여 무성생식을 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하기도 한다. 동물의 경우에도 물벼룩이나 일부의 개미처럼 암컷 혼자서 무성생식, 즉 단위생식(또는 단성생식)을 하다가 환경이 나빠지면 유성생식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유성생식을 하는 생활사를 유성세대, 무성생식을 하는 생활사를 무성세대라고 한다.
7. 출처
· 『네이버 두산백과』
· Jane B. Reece 외 3명, 『생명과학 : 개념과 현상의 이해』, ( 교보문고, 2011, p. 486~487 )
추천자료
과학과 생명의 형이상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윤리와 과학,철학,정치,여성,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고찰
생명 과학의 발전과 새로운 사회윤리
[생명의 과학]과학의 윤리적 책임
생명 과학의 두 얼굴
생명윤리. 과학의 양면성에 비추어 볼때, 우리는 과학의 범위를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까?
[생명윤리학] 생명 과학의 발전과 새로운 사회윤리
유아 생명 과학교육, 가을 곡식인 옥수수 알을 이용하여 팝콘을 만들어요(모의 수업 교육 활...
[유아 생명 과학 활동] 똑같은 냄새를 찾아요, 만4세(6세) 모의수업 교육 활동 계획안
2012년 2학기 인간과과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3 (온생명론과 인간의 역할)
과학기술의 이중성 및 생명 윤리
과학기술과 환경문제 [생명공학기술 정의]
생명복제의 문제점,배아복제의 연구사례,배아복제의 개선방안,과학_기술적 측면,제도적 측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