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체역학] 레이놀즈수 실험 보고서
실험 목적
이론
1. Reynolds Number ( )
2. 유체흐름 (층류, 천이영역, 난류)
실험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실험 목적
이론
1. Reynolds Number ( )
2. 유체흐름 (층류, 천이영역, 난류)
실험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039
천이영역
2000
34
58.8235294
15.47988
3619.1
천이영역
2000
33
60.6060606
15.949
3728.77
난류
경계값
2000
32
62.5
16.44737
3845.293
난류
2000
31
64.5161290
16.97793
3969.335
난류
2000
30
66.6666667
17.54386
4101.646
난류
고찰
우리 3조는 이번에 레이놀드 실험을 했다. 실험을 다하고 나서 레이놀드 수 를 계산해보니 이론값이랑 우리가 실험을 해서 나온 실험값이랑 큰 차이가 났다. 왜 이렇게 오차가 날까??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생각을 해본 결과
첫째, 레이놀드 실험장치를 수평계로 수평을 맞춘다고 맞췄지만 정말 정확하게 수평을 맞추지 못했다.
둘째, 실험장치에 색소액이 나오는 곳이 조금 막혀 색소액이 나왔다 안나왔다 하여 정확한 실험이 어려웠고 또, 육안으로 층류와 난류를 정확히 구분하기 힘들었다.
셋째, 레이놀드 실험장치는 굉장히 예민하여 조그마한 충격에도 관 안에있는 물이 흔들려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조원들이 실험장치를 관찰하고 기록하러 이동하면서 실험장치에 충격이 많이 가해진 듯 하다. 조심했어야 했는데 이 부분에서 많이 신경을 못 썼던거 같다.
넷째, 비커 눈금이 정확하게 2L 일때 시간을 재고 계산을 해야 하는데 눈대중으로 물이 2L쯤 왔을 때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못했다. 실험을 하면서 오차를 조금 줄여보고자 비커를 1L 로 바꿔 시간을 단축시켜 결과를 도출해보기도 했지만 그렇게 큰 차이는 보지 못했다.
다섯 번째, 수온을 측정하는데 온도계를 물 안에 넣어 눈으로 온도계를 보고 근사치의 온도로 결정하여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동점성계수가 나오지 못해 정확한 결과값을 내지 못했다.
이번 실험에서 어떻게든 이론값이랑 유사하게 나오게 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해 아쉬운 점이 많았다. 그리고 이번 실험을 하면서 정말 작은 충격, 미세한 것 들로 이렇게 값이 크게 차이가 날수도 있구나 라는걸 새삼스레 느끼고 실험을 할 때 실험환경과 변수들을 신중히 고려하면서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음번에 또 레이놀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이번에 실험하면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내가 배우고 발견한 결점들을 수정, 보완해서 정말 이론값과 거의 일치한 실험값을 얻어내고 싶다.
참고문헌
유체역학 (문운당) , 네이버 백과사전
천이영역
2000
34
58.8235294
15.47988
3619.1
천이영역
2000
33
60.6060606
15.949
3728.77
난류
경계값
2000
32
62.5
16.44737
3845.293
난류
2000
31
64.5161290
16.97793
3969.335
난류
2000
30
66.6666667
17.54386
4101.646
난류
고찰
우리 3조는 이번에 레이놀드 실험을 했다. 실험을 다하고 나서 레이놀드 수 를 계산해보니 이론값이랑 우리가 실험을 해서 나온 실험값이랑 큰 차이가 났다. 왜 이렇게 오차가 날까??
라는 의문점을 가지고 생각을 해본 결과
첫째, 레이놀드 실험장치를 수평계로 수평을 맞춘다고 맞췄지만 정말 정확하게 수평을 맞추지 못했다.
둘째, 실험장치에 색소액이 나오는 곳이 조금 막혀 색소액이 나왔다 안나왔다 하여 정확한 실험이 어려웠고 또, 육안으로 층류와 난류를 정확히 구분하기 힘들었다.
셋째, 레이놀드 실험장치는 굉장히 예민하여 조그마한 충격에도 관 안에있는 물이 흔들려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는데 조원들이 실험장치를 관찰하고 기록하러 이동하면서 실험장치에 충격이 많이 가해진 듯 하다. 조심했어야 했는데 이 부분에서 많이 신경을 못 썼던거 같다.
넷째, 비커 눈금이 정확하게 2L 일때 시간을 재고 계산을 해야 하는데 눈대중으로 물이 2L쯤 왔을 때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못했다. 실험을 하면서 오차를 조금 줄여보고자 비커를 1L 로 바꿔 시간을 단축시켜 결과를 도출해보기도 했지만 그렇게 큰 차이는 보지 못했다.
다섯 번째, 수온을 측정하는데 온도계를 물 안에 넣어 눈으로 온도계를 보고 근사치의 온도로 결정하여 계산을 했기 때문에 정확한 동점성계수가 나오지 못해 정확한 결과값을 내지 못했다.
이번 실험에서 어떻게든 이론값이랑 유사하게 나오게 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해 아쉬운 점이 많았다. 그리고 이번 실험을 하면서 정말 작은 충격, 미세한 것 들로 이렇게 값이 크게 차이가 날수도 있구나 라는걸 새삼스레 느끼고 실험을 할 때 실험환경과 변수들을 신중히 고려하면서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다음번에 또 레이놀드 실험을 하게 된다면 이번에 실험하면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내가 배우고 발견한 결점들을 수정, 보완해서 정말 이론값과 거의 일치한 실험값을 얻어내고 싶다.
참고문헌
유체역학 (문운당) , 네이버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