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실험이론
3.기구 및 장치
4.실험방법
5.주의사항
6.실험결과
7.결과 및 토의
2.실험이론
3.기구 및 장치
4.실험방법
5.주의사항
6.실험결과
7.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43
실험2. 원형 도선에서의 자기장
거리 x(cm)
자기장 B(mT)
0
0.063
1
0.051
2
0.037
3
0.026
4
0.014
실험3. 솔레노이드 코일에서의 자기장(R=2.13, l=13.135, n=964)
거리 y(cm)
자기장 B(mT)
0
9.12
1
9.1
2
8.79
3
8.32
4
7.51
5
6.5
6
5.3
7
4.3
7.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직선, 원형,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자기장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그런데 실험에 적지 않게 어려움이있었다. 자기장 값이 잘 나오지 않았다. 우리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했을까? 라는 생각 끝에 각자의 핸드폰을 끄고 실험을 하였다. 크게는 아니였지만 그래도 오차가 많이 줄어들었다. 핸드폰의 자기장이 결과 값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자기장 실험은 항상 신중의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그래서 그런지 두 번째 실험 빼고는 오차가 굉장히 적게 나왔다. 위의 결과 값을 분석해 보면 자기장은 거리에 반비례해서 거리의 값이 커질수록 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자기장과 거리는 반비례한다.
8. 참고문헌
김병배 외 5명, 대학물리학실험 (북스힐, 2009), p 331-338)
실험2. 원형 도선에서의 자기장
거리 x(cm)
자기장 B(mT)
0
0.063
1
0.051
2
0.037
3
0.026
4
0.014
실험3. 솔레노이드 코일에서의 자기장(R=2.13, l=13.135, n=964)
거리 y(cm)
자기장 B(mT)
0
9.12
1
9.1
2
8.79
3
8.32
4
7.51
5
6.5
6
5.3
7
4.3
7.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직선, 원형, 솔레노이드에 흐르는 자기장을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그런데 실험에 적지 않게 어려움이있었다. 자기장 값이 잘 나오지 않았다. 우리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했을까? 라는 생각 끝에 각자의 핸드폰을 끄고 실험을 하였다. 크게는 아니였지만 그래도 오차가 많이 줄어들었다. 핸드폰의 자기장이 결과 값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자기장 실험은 항상 신중의 신중을 기울여야 한다. 그래서 그런지 두 번째 실험 빼고는 오차가 굉장히 적게 나왔다. 위의 결과 값을 분석해 보면 자기장은 거리에 반비례해서 거리의 값이 커질수록 값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자기장과 거리는 반비례한다.
8. 참고문헌
김병배 외 5명, 대학물리학실험 (북스힐, 2009), p 331-33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