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 소개
2) 연구 목적
2. 본론
1) 영화 속 인물의 내면 갈등과 해결
2) 놀란 감독 작품이 주는 사회적 메시지
3. 결론
1) 연구에 대한 요약 정리
*참고 문헌 및 자료
1) 연구 소개
2) 연구 목적
2. 본론
1) 영화 속 인물의 내면 갈등과 해결
2) 놀란 감독 작품이 주는 사회적 메시지
3. 결론
1) 연구에 대한 요약 정리
*참고 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감독은 이러한 캐릭터들을 통하여 상실-치유 이 두 관계를 순서대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로 두는 것이 아니라 결핍과 충족, 두려움과 그 것의 극복, 죄의식 등의 감정들을 영화 속에 뒤섞어 놓음으로써 상실감을 채우는 것이 목표가 되고 여기서 전개되는 모든 과정들 자체 또한 이상이 될 수 있음을 말한다. 여기서 관객들은 결핍을 충족시키려는 우리들의 모습과 닮아 있는 캐릭터들을 통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된다. 놀란 감독의 캐릭터들이 좀 더 친근하게 느껴지는 것은 그 캐릭터들이 우리와 똑같은 사람의 이상형이여서 그런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감독의 캐릭터들은 비현실성을 그리고 있으나 그 내면의 고민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과 같다. 결국 감독은 캐릭터 들이 가지고 벗어나고 싶은 상실감이 그들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이며 우리의 모습도 그와 같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놀란 감독은 이렇게 말한다. ‘우린 아침에 일어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으로 그 날 하루도 살아가기를 원한다. 하지만 여러 가지 사소한 방식들에서, 그렇게 하루를 살 순 없다. 브루스 웨인 같은 캐릭터가 매력적인 것이 그런 이유다. 그는 우리 모두가 삶에서 겪는 사소하고 잘잘한 갈등들을 좀 더 큰 스케일로 보여 준다’
결 론
1) 요약 정리
이들은 상실감을 가진 고독한 남자들이었으며 자신들 내면의 결핍을 충족시키고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것이 이상 그 자체인 사람들이었다. 지극히 현실적인 캐릭터들 이지만 현실 속에서 자신들이 만들어낸 세계에 고립된 인물들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물들은 상실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범인을 잡고, 연구를 하고, 싸우고, 영웅이 되면서 끊임없이 노력을 하지만 결국 자신들의 세계를 만들며 그 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계속 진실들을 시험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인공들이 맞서는 적들이 자기 자신에게 있음을 말하고 있다. 두려움, 분노, 결핍, 죄의식 등의 감정들이 내면적 상실에서 비롯되엇지만 이러한 점들이 또한 인물들로 인해 영화를 이끌어 간다.
놀란 감독은 어떤 것을 정의 내리고 규정짓는 것보다는 과정과 이야기 자체를 주목하는 감독이다. 그래서 상실감에서 비롯된 결핍에 몸부림치는 캐릭터들을 통하여 사람들이 당연시 여겼던 가치관들에 대해서 관객에게 물음을 던지면서 생각을 이끌어 내고 교감한다. 그리고 캐릭터가 변화하는 과정자체를 주목하고 스토리도 이에 맞물려 따라간다. 그는 그의 다양한 캐릭터들을 통하여 이야기의 어떤 결과보다는 관객과의 교감 자체를 즐기며 상실을 채워나가는 과정을 스토리로 만들어 나갔으며 그 스토리를 보고 관객들에게 공감시켜 나갔다. 결국에는 그러한 교감은 관객과 캐릭터의 감정이입을 폭넓게 만들어 주었고 그의 영화들은 걸작이라는 반열에 오르게 만들었다.
* 참고 문헌
- <라캉과 영화 이론> / 토드 맥고완,실라 컨클 엮음, 김상호 옮김
-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 김상준 지음
- 네이버 매거진 커버스토리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 글: 김형석
- 씨네 21 <광활함 안의 폐쇄성, 과잉 안의 결핍> / 글: 남다은
감독의 캐릭터들은 비현실성을 그리고 있으나 그 내면의 고민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들과 같다. 결국 감독은 캐릭터 들이 가지고 벗어나고 싶은 상실감이 그들을 살아가게 하는 동력이며 우리의 모습도 그와 같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놀란 감독은 이렇게 말한다. ‘우린 아침에 일어나면, 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으로 그 날 하루도 살아가기를 원한다. 하지만 여러 가지 사소한 방식들에서, 그렇게 하루를 살 순 없다. 브루스 웨인 같은 캐릭터가 매력적인 것이 그런 이유다. 그는 우리 모두가 삶에서 겪는 사소하고 잘잘한 갈등들을 좀 더 큰 스케일로 보여 준다’
결 론
1) 요약 정리
이들은 상실감을 가진 고독한 남자들이었으며 자신들 내면의 결핍을 충족시키고 트라우마에서 벗어나는 것이 이상 그 자체인 사람들이었다. 지극히 현실적인 캐릭터들 이지만 현실 속에서 자신들이 만들어낸 세계에 고립된 인물들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물들은 상실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범인을 잡고, 연구를 하고, 싸우고, 영웅이 되면서 끊임없이 노력을 하지만 결국 자신들의 세계를 만들며 그 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계속 진실들을 시험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주인공들이 맞서는 적들이 자기 자신에게 있음을 말하고 있다. 두려움, 분노, 결핍, 죄의식 등의 감정들이 내면적 상실에서 비롯되엇지만 이러한 점들이 또한 인물들로 인해 영화를 이끌어 간다.
놀란 감독은 어떤 것을 정의 내리고 규정짓는 것보다는 과정과 이야기 자체를 주목하는 감독이다. 그래서 상실감에서 비롯된 결핍에 몸부림치는 캐릭터들을 통하여 사람들이 당연시 여겼던 가치관들에 대해서 관객에게 물음을 던지면서 생각을 이끌어 내고 교감한다. 그리고 캐릭터가 변화하는 과정자체를 주목하고 스토리도 이에 맞물려 따라간다. 그는 그의 다양한 캐릭터들을 통하여 이야기의 어떤 결과보다는 관객과의 교감 자체를 즐기며 상실을 채워나가는 과정을 스토리로 만들어 나갔으며 그 스토리를 보고 관객들에게 공감시켜 나갔다. 결국에는 그러한 교감은 관객과 캐릭터의 감정이입을 폭넓게 만들어 주었고 그의 영화들은 걸작이라는 반열에 오르게 만들었다.
* 참고 문헌
- <라캉과 영화 이론> / 토드 맥고완,실라 컨클 엮음, 김상호 옮김
-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 김상준 지음
- 네이버 매거진 커버스토리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 글: 김형석
- 씨네 21 <광활함 안의 폐쇄성, 과잉 안의 결핍> / 글: 남다은
추천자료
로리타(Lolita) 영화의 감상과 비평-1997년 애드리안 라인 감독
영화 피아노 ( 감독 제인 캠피온 ) 감상문
김기덕 감독의 작품세계 - 그의 영화를 중심으로
[영화 감상문] 히치콕 감독의 이창을 보고..
영화학의 관점에서 본 임권택 감독의 ‘안개마을’
김기덕 감독의 ‘시간’ 영화의상 분석
[영화감상문]팀버튼 감독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영화감상문]김기영 감독의 하녀를 보고나서
[영화감상문] 강우석 감독의「글러브(G-Love)」를 보고
난징영화분석,난징,영화분석,난징분석,루추안감독
[영화 감상문]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아이즈 와이드 셧 (Eyes Wide Shut)> 감상
[영화감상문] 할매꽃 (문정현 감독) (영화감상평)
[영화감상문] 천 카이거 감독의 ‘투게더’를 보고(그들의 특별한 사랑이 세상을 움직인다)
[영화 비평] 천주정-지아 장 커 감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