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삶에 대한 문학의 힘
- 도스토옙스키의 문학 세계
- 수용소 문학
- 은유와 이심전심의 소통도구, 詩
- 도스토옙스키의 문학 세계
- 수용소 문학
- 은유와 이심전심의 소통도구, 詩
본문내용
인문예술적 창의경영
모듈 3: 문학 읽기
➢ 삶을 새롭게 들여다보기 위한 창문 열기
1. 삶에 대한 문학의 힘
╋━━━━━━━━━━─────────
【내면 여행의 연료와 표지판 제공】
≪ 그 림 ≫
▶ 삶을 새롭게 들여다 보는 창문열기
• 소설을 통해 지난 삶을 돌아보고, 지금 삶을 위로 받으며, 다가올 삶을 모색함
• 들여보는 경험을 통해 비슷한 존재를 만나 공감과 함께 새 삶의 가능성 발견
▶ 자신의 내면과 인간에 대한 이해도 증진
- 대리경험을 통한 내면여행 기회 제공
• 작중인물들을 통해 내가 표출하지 못했던 잠재된 욕망, 분노, 고뇌, 사랑의 감정을 맞닥뜨리면서 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공유하는 내적 세계에 눈뜸
• 시간적ㆍ공간적ㆍ상황적 한계로 이 세상 모든 경험을 다 할 수 없는 우리에게 삶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의미있는 삶’의 화두를 던져줌
- 타인에 대한 소통력 강화
• 다른 이의 슬픔과 고뇌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그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손을 뻗칠 줄 모르는 사람은 삶의 진정한 감정을 갖지 못한 인조인간임
• 문학은 나와 타인이 똑같은 인간이기에, 기쁨과 환희의 순간보다 고뇌와 상처받음이 주일상인 우리 삶에서 서로를 어루만지며 인간다움을 잃지 않게 북돋워주는 힘을 키우게 하는 연마장을 제공
【슬픈 감정 치유로 삶의 용기 북돋움】
≪ 그 림 ≫
▶ 물방울 속에서 세상보기
• 일상에 익숙해졌다 여기는 사람들에게 문학적 삶의 이야기를 통해 계속 놀라게 함으로써 ‘삶의 秘倚性’을 깨쳐줌
• 인물이 처한 다면적 상황을 물방울 속에서 보는 것처럼 다각도로 보여줌
▶ 소설 읽기가 주는 효용
- 다양한 캐릭터들 대면
• 등장하는 여러 개성의 인간군상들을 통해 세상사람들을 이해하는 간접적인 눈을 얻을 수 있음
- 삶의 파노라마적 모습 발견
• 그런 삶들을 보며 내 삶과 비교해 비슷할 때는 공감과 위안을 얻고, 다를 때는 새 삶을 탐색하게 됨
- 역경 극복에서 삶의 용기 터득
• 역경을 만난 인물들이 피해가거나 타인의 조력을 얻기도 하고, 정면대응하다 비장하게 무너질 수도 있지만, 끝내 극복하여 최후의 승자가 되는 것을 볼 때 나도 저런 삶을 살고 싶다는 용기를 얻음
- 카타르시스 제공 기능
• 자신을 버리면서 무엇인가를 지켜내는 주인공과 사랑하는 것을 잃어버릴 수 밖에 없는 주인공의 운명을 보면서 자신이 진 무거운 감정 덩어리를 내려놓아 감정이 순화되는 카타르시스적 치유를 얻음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시】
그 사람을 가졌는가
만리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 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도
‘저 맘이야’ 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사양하며
‘너 만은 제발 살아다오’ 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 못할 이 세상을 두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 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 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 함석헌 -
모듈 3: 문학 읽기
➢ 삶을 새롭게 들여다보기 위한 창문 열기
1. 삶에 대한 문학의 힘
╋━━━━━━━━━━─────────
【내면 여행의 연료와 표지판 제공】
≪ 그 림 ≫
▶ 삶을 새롭게 들여다 보는 창문열기
• 소설을 통해 지난 삶을 돌아보고, 지금 삶을 위로 받으며, 다가올 삶을 모색함
• 들여보는 경험을 통해 비슷한 존재를 만나 공감과 함께 새 삶의 가능성 발견
▶ 자신의 내면과 인간에 대한 이해도 증진
- 대리경험을 통한 내면여행 기회 제공
• 작중인물들을 통해 내가 표출하지 못했던 잠재된 욕망, 분노, 고뇌, 사랑의 감정을 맞닥뜨리면서 같은 인간이기 때문에 공유하는 내적 세계에 눈뜸
• 시간적ㆍ공간적ㆍ상황적 한계로 이 세상 모든 경험을 다 할 수 없는 우리에게 삶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의미있는 삶’의 화두를 던져줌
- 타인에 대한 소통력 강화
• 다른 이의 슬픔과 고뇌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 그에게서 연민을 느끼고 손을 뻗칠 줄 모르는 사람은 삶의 진정한 감정을 갖지 못한 인조인간임
• 문학은 나와 타인이 똑같은 인간이기에, 기쁨과 환희의 순간보다 고뇌와 상처받음이 주일상인 우리 삶에서 서로를 어루만지며 인간다움을 잃지 않게 북돋워주는 힘을 키우게 하는 연마장을 제공
【슬픈 감정 치유로 삶의 용기 북돋움】
≪ 그 림 ≫
▶ 물방울 속에서 세상보기
• 일상에 익숙해졌다 여기는 사람들에게 문학적 삶의 이야기를 통해 계속 놀라게 함으로써 ‘삶의 秘倚性’을 깨쳐줌
• 인물이 처한 다면적 상황을 물방울 속에서 보는 것처럼 다각도로 보여줌
▶ 소설 읽기가 주는 효용
- 다양한 캐릭터들 대면
• 등장하는 여러 개성의 인간군상들을 통해 세상사람들을 이해하는 간접적인 눈을 얻을 수 있음
- 삶의 파노라마적 모습 발견
• 그런 삶들을 보며 내 삶과 비교해 비슷할 때는 공감과 위안을 얻고, 다를 때는 새 삶을 탐색하게 됨
- 역경 극복에서 삶의 용기 터득
• 역경을 만난 인물들이 피해가거나 타인의 조력을 얻기도 하고, 정면대응하다 비장하게 무너질 수도 있지만, 끝내 극복하여 최후의 승자가 되는 것을 볼 때 나도 저런 삶을 살고 싶다는 용기를 얻음
- 카타르시스 제공 기능
• 자신을 버리면서 무엇인가를 지켜내는 주인공과 사랑하는 것을 잃어버릴 수 밖에 없는 주인공의 운명을 보면서 자신이 진 무거운 감정 덩어리를 내려놓아 감정이 순화되는 카타르시스적 치유를 얻음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시】
그 사람을 가졌는가
만리길 나서는 길 처자를 내맡기며
맘 놓고 갈 만한 사람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 다 나를 버려 마음이 외로울 때도
‘저 맘이야’ 하고 믿어지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탔던 배 꺼지는 시간 구명대 서로 사양하며
‘너 만은 제발 살아다오’ 할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잊지 못할 이 세상을 두고 떠나려 할 때 ‘저 하나 있으니’ 하며
빙긋이 웃고 눈을 감을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온 세상의 찬성보다도 ‘아니’ 하고 가만히 머리 흔들 그 한 얼굴 생각에
알뜰한 유혹을 물리치게 되는 그 사람을 그대는 가졌는가
- 함석헌 -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의 작가 자식부,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와 자식부, 일본고전문학 원씨물어(겐지모노가타리)의...
문학토론(문학토의, 독서토론, 독서토의)의 개념과 종류, 문학토론(문학토의, 독서토론, 독서...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 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 할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문...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 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 할 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할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문...
북한문학 이해의 필요성과 북한 문학의 특징 (북한문학을 바라보는 우리의 태도, 수령형상문...
가사문학(가사) 노처녀가, 권주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남정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가사문학(가사작품)과 개화가사, 서민가사, 가사문학(가사작품)과 전쟁가사, 의병가사, 가사...
가사문학(가사) 화전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처사가 작품분석, 가사문학(가사) 연행가 ...
시문학(시작품, 시)과 일제시대, 시문학(시작품, 시)과 8.15광복, 시문학(시작품, 시)과 사실...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아동문학, 한일문학(한국 일본 문학)과 자연주의문학, 한일문학(...
아동문학 교육과 관련한 주요이론을 반응중심 문학활동과 통합적 문학활동의 개념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