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목차
Ⅰ. F.C.M 공법 개요 및 특징
1. F.C.M 공법 개요
2. F.C.M 공법 특징
3. F.C.M 교량의 종류 및 특징
Ⅱ. F.C.M 공법 시공 순서
1. 주두부 시공 순서
2. Typical Segment 시공순서
Ⅲ. 처짐(CAMBER) 관리
1. Camber 개요
2. Camber 계산
3. Camber 관리도
4. Form Traveller 처짐 관련 사항
5. Additional Camber 량
6. Correction Value
7. Camber 관리 - Graph 작성
8. Camber 관리 - 주요사항
1. F.C.M 공법 개요
2. F.C.M 공법 특징
3. F.C.M 교량의 종류 및 특징
Ⅱ. F.C.M 공법 시공 순서
1. 주두부 시공 순서
2. Typical Segment 시공순서
Ⅲ. 처짐(CAMBER) 관리
1. Camber 개요
2. Camber 계산
3. Camber 관리도
4. Form Traveller 처짐 관련 사항
5. Additional Camber 량
6. Correction Value
7. Camber 관리 - Graph 작성
8. Camber 관리 - 주요사항
본문내용
1.1 Camber(처짐) 관리 개요
- FCM에서는 Cantilever가 길어짐에 따라 처짐이 심해지므로 적절한 Tendon 배치로 하향
처짐을 보정해 나가며 시공하는 것이 관건이다.
- 이에 각 단계별로 처짐 발생 요소를 고려하고, 완공 후에 가해지는 사하중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완공 시 원하는 계획고를 갖도록 조절하는 것이 Camber 관리이다.
- FCM에서는 Cantilever가 길어짐에 따라 처짐이 심해지므로 적절한 Tendon 배치로 하향
처짐을 보정해 나가며 시공하는 것이 관건이다.
- 이에 각 단계별로 처짐 발생 요소를 고려하고, 완공 후에 가해지는 사하중들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완공 시 원하는 계획고를 갖도록 조절하는 것이 Camber 관리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