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년).
⑬ 1970년:‘사회복지사업법’제정→공공복지행정을 통해 민간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지원과 지도.감독을 할 수 있는 근거 마련
⑭ 1970년대까지: 사회복지행정이 대학 교과목으로 채택된 점으로 보아 어느 정도 행정의 필요성은 인정 되었다고 보이지만, 민간사회복지 기관에서는 체계적인 조직 운영이나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함
3) 사회복지행정의 체계화와 본격화(1980년대 이후)
① 1980년대 이후: 사회문제의 증가와 민주화의 진행으로 사회복지관련 법률들의 신설과 개정 및 사회복지 관련 기관의 급속 증가→민간사회복지 전반의 큰 변화 초래
② 1982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채택→사회복지사의 전문직으로서의 기본 요소 구비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전문가 책임과 역할인식 시작
③ 1987년:‘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의 시행→공공복지행정의 체계 마련
④ 1991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복지사무전담기구’(사회복지사무소)설치의 법적 근거 마련
⑤ 1992년:‘사회복지직렬’의 설치→전문직에 의한 공공복지행정의 기초 마련
⑤ 1995년: 전국 5개 지역의 보건소에 사회복지기능 통합→‘보건복지사무소’시범운영.
⑥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사회복지시설을 3년에 1회 이상 평가하도록 의무화(효율성, 효과성, 책임성 등을 높이는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
⑦ 1998년:‘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설립.
⑧ 1999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의 창립 및 전문 학술지 발간
⑨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과 행정환경의 변화
⑩ 2003년: 제1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 국가시험’실시
⑪ 2004년: ‘사회복지사무소’시범사업 실시
⑫ 2005년: 시.군.구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운영→사회복지 부문의 중요 사항의 심의기능, 서비스 부문 간 연계 강화기능 수행
⑬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보건복지가족부’로 조직 개편
⑭ 2010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조직 개편
▶ 사회복지행정의 역사가 짧은 이유
우리나라에서의 사회복지행정의 역사가 짧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경제에 대한 욕구와 인식이 더 강하게 작용을 하였음.
사회복지를 단순하게 인식
사회전체적인 구조가 사회복지를 통한 분배보다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구조 우선으로 흘러감.
사회복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부족
⑬ 1970년:‘사회복지사업법’제정→공공복지행정을 통해 민간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지원과 지도.감독을 할 수 있는 근거 마련
⑭ 1970년대까지: 사회복지행정이 대학 교과목으로 채택된 점으로 보아 어느 정도 행정의 필요성은 인정 되었다고 보이지만, 민간사회복지 기관에서는 체계적인 조직 운영이나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함
3) 사회복지행정의 체계화와 본격화(1980년대 이후)
① 1980년대 이후: 사회문제의 증가와 민주화의 진행으로 사회복지관련 법률들의 신설과 개정 및 사회복지 관련 기관의 급속 증가→민간사회복지 전반의 큰 변화 초래
② 1982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의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채택→사회복지사의 전문직으로서의 기본 요소 구비와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전문가 책임과 역할인식 시작
③ 1987년:‘사회복지전문요원제도’의 시행→공공복지행정의 체계 마련
④ 1991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복지사무전담기구’(사회복지사무소)설치의 법적 근거 마련
⑤ 1992년:‘사회복지직렬’의 설치→전문직에 의한 공공복지행정의 기초 마련
⑤ 1995년: 전국 5개 지역의 보건소에 사회복지기능 통합→‘보건복지사무소’시범운영.
⑥ 1997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사회복지시설을 3년에 1회 이상 평가하도록 의무화(효율성, 효과성, 책임성 등을 높이는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
⑦ 1998년:‘사회복지공동모금회’ 설립.
⑧ 1999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의 창립 및 전문 학술지 발간
⑨ 2000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시행과 행정환경의 변화
⑩ 2003년: 제1회‘사회복지사 1급 자격 국가시험’실시
⑪ 2004년: ‘사회복지사무소’시범사업 실시
⑫ 2005년: 시.군.구에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운영→사회복지 부문의 중요 사항의 심의기능, 서비스 부문 간 연계 강화기능 수행
⑬ 2008년: 보건복지부에서 ‘보건복지가족부’로 조직 개편
⑭ 2010년: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조직 개편
▶ 사회복지행정의 역사가 짧은 이유
우리나라에서의 사회복지행정의 역사가 짧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경제에 대한 욕구와 인식이 더 강하게 작용을 하였음.
사회복지를 단순하게 인식
사회전체적인 구조가 사회복지를 통한 분배보다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구조 우선으로 흘러감.
사회복지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기초 연구 부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