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명문학교 웰튼
2. 존 키팅 선생님과 카르페 디엠
3. 사회의 성공과 인생의 성공
4. 마치며
2. 존 키팅 선생님과 카르페 디엠
3. 사회의 성공과 인생의 성공
4. 마치며
본문내용
람은 없다. 심지어 자살하는 사람도 깊은 불행으로부터 피하여 좀 더 행복하기 위해 한다. 이것은 인간에 국한된 것이 아닌, 좀더 근본적으로 생물적인 목적이다. 모든 생물은 행복을 추구한다. 그러니깐 사회적 성공을 할 수 있는가 없는가의 기준보다는 더 근본적인 기준이 되는 것이다.
이 기준위에서 비교한다면, 사회적 성공은 어떤가? 행복을 충족시켜 주는가? 그런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우리가 알고있듯이 고도로 발달된 문명의 도시에서 부유하고 명망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인생은 행복과 비례하지 않는다. 모두가 알아주는 대기업의 훌륭한 일자리에서 돌연 퇴사하여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찾아가는 사례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오히려, 생활수준이 낮은 후진국 사람들, 혹은 오지의 사람들은 행복에 대한 만족도가 크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개인적 성공은 우리들이 지향해야 할 근본적인 목적에 좀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마치며
이 영화는 아마도 앞으로 몇 십년 후에까지도 두고두고 회자될 것 같다. 그만큼 우리의 교육현실은 바뀌기 힘들며 키팅 선생의 교육관은 우리가 이상적으로 지향해야 할 한 부분으로 계속 남아 있을 것같다.
그리고 약간 뜬금없는 이야기지만 인터넷에서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가 무슨 뜻인지 찾아보았는데 어이없게도 번역자의 오역이라고 한다. 의역하면 “고전 시 동호회”정도 된다고 하는데 번역자가 곧이 곧대로 번역을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오역에서 나온 제목이 좀더 영화의 타이틀을 낭만적으로 바꾸어주지 않았나 싶다. 오히려 좀 더 시적으로 말이다.
이 기준위에서 비교한다면, 사회적 성공은 어떤가? 행복을 충족시켜 주는가? 그런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우리가 알고있듯이 고도로 발달된 문명의 도시에서 부유하고 명망있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인생은 행복과 비례하지 않는다. 모두가 알아주는 대기업의 훌륭한 일자리에서 돌연 퇴사하여 자신이 하고싶은 일을 찾아가는 사례는 많은 것을 시사한다. 오히려, 생활수준이 낮은 후진국 사람들, 혹은 오지의 사람들은 행복에 대한 만족도가 크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개인적 성공은 우리들이 지향해야 할 근본적인 목적에 좀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마치며
이 영화는 아마도 앞으로 몇 십년 후에까지도 두고두고 회자될 것 같다. 그만큼 우리의 교육현실은 바뀌기 힘들며 키팅 선생의 교육관은 우리가 이상적으로 지향해야 할 한 부분으로 계속 남아 있을 것같다.
그리고 약간 뜬금없는 이야기지만 인터넷에서 ‘죽은 시인의 사회(Dead poets society’가 무슨 뜻인지 찾아보았는데 어이없게도 번역자의 오역이라고 한다. 의역하면 “고전 시 동호회”정도 된다고 하는데 번역자가 곧이 곧대로 번역을 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오역에서 나온 제목이 좀더 영화의 타이틀을 낭만적으로 바꾸어주지 않았나 싶다. 오히려 좀 더 시적으로 말이다.
추천자료
<죽은 시인의 사회>와 <위험한 아이들>에서 살펴본 교사의 자질과 역할, 교육방법에 대한 고찰
죽은 시인에 사회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죽은 시인의 사회』로 바라본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죽은 시인 사회와 현대교육의 문제점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난 뒤
'죽은 시인의 사회' 속 수업 비평문
영화 “죽인 시인의 사회” 감상문
영화 “죽인 시인의 사회”를 통한 영시 감상문
N.H.클라인바움 - 죽은 시인의 사회
죽은 시인의 사회 -Bernstein의 코드 이론 관점으로 분석-
죽은 시인의 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