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바이스(Levi`s)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바이스(Levi`s)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리바이스 탄생계기 ------------------------------------------------------------2

2.리바이스의 이름 유래 ---------------------------------------------------------2

3.리바이스 뒷주머니 로고 유래----------------------------------------------------2

4.허리가죽 로고의 의미 ---------------------------------------------------------2

5.리바이스의 연혁--------------------------------------------------------------3

6.Levi Strauss & co.의 위기------------------------------------------------------3

7.시장변화를 따라가지 못한 마케팅 믹스----------------------------------------------4

8.경쟁사 분석-----------------------------------------------------------------5

9.SWOT 분석-----------------------------------------------------------------5

10.4P 분석-------------------------------------------------------------------8

11.STP 분석-----------------------------------------------------------------10
12.Levi's Korea의 성공---------------------------------------------------------12

13.Levi's의 과제--------------------------------------------------------------13

* 참고자료-------------------------------------------------------------------14

본문내용

성을 추구하는 신세대들의 특성을 그대로 패션에 반영함.
Positioning
(1) Levi's 501
- 신세대 소비층은 패셔너블한 감도와 럭셔리 브랜드의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경험한 세대로 고급스러움 과 감도 지향적인 요소가 적절히 믹스된 스타일을 구매하고자 함.
- 요즈음 대학생들 사이에선 '비싸더라도 이왕이면 명품 브랜드를 사겠다.' 는 소비문화가 생성되어 명 품 소비 증가.
- 이런 흐름과 발맞추어 대학생의 대표적인 트랜드라 할 수 있는 청바지에도 명품 필요.
- 리바이스는 501은 최고의 품질을 추구하는 명품 청바지라는 수준에 위치화하기 위한 정책을 가지고 입을수록 그 사람만의 멋이 자연스럽게 베어 나오는 질 좋은 최고급 데님 원단만을 사용하는 바지라 는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노력.
- 제품의 럭셔리한 분위기 연출과 패션 마니아나 연예인들이라면 누구나 하나쯤은 501을 가지고 있다 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501을 청바지의 명품 트랜드로 포지셔닝함.
(2)엔지니어드 진
- 청바지를 입은 젊은 남자와 여자는 각자 정면을 바라보면서 뜀. 그 기세로 벽을 뚫어버린 이들은 숲 속의 나무 끝까지 달려 올라감. 그리고 허공에 닿음. 몸과 마음의 구속을 모두 거부하는 젊은이들의 질주가 보는 이들의 가슴까지 시원하게 해줌.
- 이는 리바이스의 2002년 가을 광고 '오디세이'편으로 기능성을 강조한 리바이스 청바지 신제품 '엔지 니어드 진'의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
- 최근 리바이스는 기존의 전통적이고 오래된 이미지를 벗고 새로운 감각으로 진의 다양함과 함께 미래 지향적인 패션을 선도해 나가고자 함.
- 평범함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는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신세대들의 특성을 그대로 패션에 반영하고자 함.
- 기존 브랜드력을 바탕으로,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의 엔지니어드 진을 2000년 상반기에 출시하였는데, 몸의 움직임을 따라 옆선이 돌아가도록 재단한 점을 부각하여 미래지향적이라는 이미지를 주고자 함.
- 리바이스는 엔지니어드 진을 통하여 traditional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바꾸는데 주력. 리바이스는 유행을 앞서가는 청바지라는 포지션을 얻고자 함.
12. Levi's Korea의 성공
- 외환위기 이후 급격한 매출 감소와 국내 브랜드들의 선전으로 심각한 경영악화를 겪음.
- 2001년 이후 국내 소비자들만의 특성을 찾아 그에 따른 마케팅 변화를 꾀함.
- 젊은이들에게 Levi's가 젊음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의 하나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마케팅 활동을 벌 인 결과 2001년 51%, 2002년 51%, 2003년 45%의 매출 신장을 기록하며 진 업계 브랜드 파워 1위로써 그 입지 구축.
- 이렇게 본래 Levi's 가 가지고 있었던 기본인식에 대해 조금은 변화ㆍ발전된 기본인식을 이끌어내어 Levi's Korea의 재도약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마케팅 도구는 광고.
★ Levi's Korea의 강력한 현지화 추진
- 한국모델과 한국감독이 만든 국내 Levi’s 광고 제작.
- 1999년 상반기에 한국 자체 개발과 디자인으로 탄생한 Levi’s 신제품의 성공.
- 2003년에는 한국시장을 위한 디자인 팀이 독자적으로 구성.
- Engineered Jeans 제품과 Type1제품 등 모든 청바지를 국내에서 전량 생산.
★ 마케팅의 다변화를 추구
- 젊은이들을 타겟으로 다양한 문화 마케팅.
- Engineered Jeans 제품 홍보를 위한 “춤 문화 행사”의 일환으로 5월 1일을 ‘501 데이’로 선포 2003년 미국 본사 창립 150주년 기념으로 Levi’s Rock 콘서트 개최.
- 고객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맞춤 마케팅.
13. Levi's의 과제
(1) 강점과 기회를 극대화
★ Levi's 코리아의 성공으로 우리나라 시장의 성장이 두드러지자 Levi's는 세계에서 5번째의
디자인 팀을 우리나라에 신설.
- 한국만을 위한 디자인 팀을 운영.
- 디자인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욕구와 의견이 받아 들어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는 것.
★ 국내 소비자들의 요구와 체형에 맞는 청바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고 이의 극대화로
고객의 만족을 높이는 것은 마케팅의 주요 전략일 되어야 할 것.
★패션의 유행 흐름에 민감한 국내 환경을 감안하여 엔지니어 진의 편안함을 유지시키면서
유행을 선도할 수 있는 청바지의 생산을 꾀하여야 할 것.
- 현재 운영하고 있는 컨슈머 패널 외에도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여야 할 것.
(2) 약점과 위기를 최소화
★ 리바이스의 오랜 전통은 정체되어있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우려가 있음.
- 젊은이들을 주 표적으로 삼는 현 상황에서 위험한 것으로 진의 선두 브랜드이면서 항상
변화하는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심어야함.
-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전통과 변화라는 둘의 이미지가 확실히 인식되어야
리바이스의 Old image는 사라질 수 있을 것.
★ 국내 특성상 early adopter 족으로 대변되는 Presumer 집단에 대한 마케팅에 노력을 기울임.
- 새로운 상품의 시장 런칭 이전 그들을 통한 자연스러운 입소문으로의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 이와 연계하여 인터넷을 통한 유통시장을 개척함으로써 불법 수입, 이미테이션의 인터넷
유통에 대응하여야 할 것.
(3) 시장 변화 읽기
★ 시간이 흐르면 고객도 변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함.
- 시대의 흐름, 시장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를 추구하는 고객들의 마인드를 읽지 못하면,
어느 기업이든 결국 소비자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되고, 기업은 시장에서 퇴출 당하게 됨.
★ 기업이 가진 경쟁우위 요소 발전
- 치열한 시장 경제 안에서 특화된 장점을 발전 시켜야 함.
<참고자료>
★ 인터넷 사이트
http://www.levi.co.krhttp://www.levi.comhttp://myhome.naver.com/levis6/main.htm
★ 도서
<파워브랜드 50, 기업의 파워는 브랜드에서 나온다> Dearlove, Des 저, 세종연구원 (2000)
★ 기타자료
김영구 | 1998.09.02 |주간경제 482호
패션채널
  • 가격1,6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1.22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