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참고문헌 --------------------------- P.3 ~ 5
* 연구목적
1.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정의
2.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진단
3.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증상
4.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치료 및 간호중재
<2> 간호과정 -------------------------- P.6 ~ 15
1. 간호 사정
2. 임상 관찰 및 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연구목적
1.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정의
2.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진단
3.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증상
4. ‘Acute Lymphoblastic Leukemia’의 치료 및 간호중재
<2> 간호과정 -------------------------- P.6 ~ 15
1. 간호 사정
2. 임상 관찰 및 검사
3. 약물
4. 간호진단
⚫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간 건조 · 발적 (2점)
치아 : 적은 양의 치태, 약간 박리 (2점)
총점 : 7점 ⇒ 경증 구내염
*6~10점 : 경증 구내염
3. 침습적인 시술 : 골수검사 · 요추천자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WBC
-
1.4
▼
4. CBC 검사결과
<목표>
1. 감염지표 (WBC 등)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된다.
2. Diarrhea를 하루에 3회 이하로 본다.
3. 구내염의 증상이 완화되도록 한다.
간호계획
1. 감염의 전신적 · 국소적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2.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3. 대상자의 Condition을 회복한다.
4. 감염관리 · 통제에 주의한다.
5. 침습적 시술 부위의 Dressing이 깨끗하게 유지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한다.- BT check
체온 상승 시, 체온을 하강시킨다.
2. 대상자에게 다음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증상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① 38℃ 이상의 체온 상승이 2~3시간 지속
② 오한(온몸이 춥고 떨림)이 있을 때
③ 물 같은 설사를 하루에 3회 이상하면서 구강 섭취가 어려울 때
④ 소변을 볼 때 통증
⑤ 식은땀이 날 때
⑥ 상처부위나 주사자리에 부종, 발적, 통증이 있을 때
⑦ 배변 후 항문 자리가 아플 때
⑧ 입안이 헐어서 음식을 삼키지 못할 때
3. 충분한 수분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고단백, 고칼로리 음식과 섬유소가 적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바나나, 오렌지, 감자 등을 섭취하여 설사로 인해 부족해 질 수 있는 나트륨 · 칼륨 성분을 보충한다.
우유, 치즈, 요플레 같은 발효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처음에는 장이 쉴 수 있도록 물이나 미음을 먹이고, 차츰 양을 늘려가되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4. 평상시에도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도록 한다.
음식 섭취 후 입안을 헹구어 줄 것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대상자가 처방된 가글링 용액으로 입안과 목을 잘 헹구도록 교육한다. - 하루에 4회 이상 (식후 3번, 자기 전)
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과 주스(토마토, 오렌지, 자몽 등)을 피할 것을 교육한다.
6. 자주 손을 씻도록 한다. 특히, 용변을 본 후, 외출 후 꼭 씻도록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는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마스크를 사용하도록 한다.
여드름이나 종기를 짜거나 긁지 않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하거나 갈라지지 않도록 로션이나 오일을 바르도록 한다.
생화나 화분에 담겨진 식물들을 방안에 두지 않도록 한다. - 세균이나 곰팡이가 많아진다.
음식은 꼭 익혀서 먹이고 물은 꼭 끓여서 먹는다. 생야채, 날고기, 회, 생과일 금한다.
7. 2~3일에 한 번 침습적 시술부위 Dressing을 포피돈으로 깨끗이 소독한다.
평가
대상자는 간호사가 교육한 내용을 잘 수행하였다.
1. 병동 내에서만 생활하였으며, 돌아다닐 때에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2. 처방된 가글링 용액으로 하루 4번 정도 입안과 목을 헹구었다고 대상자가 말했다.
2/11 : 대상자는 계속 WBC 수치가 떨어져서 이식병동으로 옮겨 격리조치 되셨다.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방어 (Ineffective Protection) / 감염위험성 (Risk for infection)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주사부위에서 피가 잘 안 멈춰요. 피가 계속 나는데요.”
<객관적 자료>
1. CBC 검사결과 : PLT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낮음.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PLT
81
▼
26
▼
2. 2/10 : 수혈 처방됨 PLT pheresis
3. 대상자의 팔이나 다리에서 멍이 관찰된다.
<목표>
대상자는
특별한 출혈 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1. 이전의 주사부위에서 출혈이 있는지 사정한다.
2. 혈종이나 반흔 등 출혈 증상을 사정한다.
3. 가능한 침습적 처치는 피한다.
4. 환자에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할 것을 교육시킨다.
4. 필요 시, 수혈 시작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1. Rounding 하면서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몸 전체를 사정한다.
2. IM, IV 등의 주사를 피하고 C-line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고 처방된 수액을 주입한다.
3. 수혈 후 15분 동안 대상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발적 · 오한 · 발열 · 구토 ·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 오전에 수혈. 양족 팔 · 다리 전체에 skin rash & urticaria ⇒ Pemiramin IA IV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Notify 한다.
평가
이전 주사부위의 출혈이 오래 지속되나, 대상자의 몸 전체에 혈종이나 반흔 등의 출혈 증상은 없다.
처방된 약물 주입 후, skin rash & urticaria 증상이 완화되었다.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Risk for bleeding)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 몸에 힘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RBC Count
3.10
▼
2.59
▼
HB
10.4
▼
8.8
▼
HCT
31.1
▼
26.9
▼
MCV
100.4
△
103.9
△
RDW
18.4
△
18.9
△
1. CBC 검사결과
2. 대상자가 계속 침상에 누워 잠을 자고 있다.
간호사가 깨워도 계속 잔다.
<목표>
대상자는
일상적인 활동을
할 정도의 Condition을 회복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불필요한 활동을 가능한 줄인다.
2. 대상자의 기분을 환기시킬 수 있는 여과활동을 권유한다.
3.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먹도록 한다.
평가
대상자는 계속 축축 늘어지며 침상에 누워 잠만 자며, “힘이 없다.”라는 말만 계속 반복한다.
2/11 : 대상자는 계속 WBC 수치가 떨어져서 이식병동으로 옮겨 격리조치 되셨다.
3) 빈혈로 인한 피로 (Fatigute)
★ 참고문헌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3~5
성인간호학 수문사 (김금순 외) p3~5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p4, p13~15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p12
KMLE 의학용어사전 p12
치아 : 적은 양의 치태, 약간 박리 (2점)
총점 : 7점 ⇒ 경증 구내염
*6~10점 : 경증 구내염
3. 침습적인 시술 : 골수검사 · 요추천자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WBC
-
1.4
▼
4. CBC 검사결과
<목표>
1. 감염지표 (WBC 등)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된다.
2. Diarrhea를 하루에 3회 이하로 본다.
3. 구내염의 증상이 완화되도록 한다.
간호계획
1. 감염의 전신적 · 국소적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2.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의 증상에 대해 교육한다.
3. 대상자의 Condition을 회복한다.
4. 감염관리 · 통제에 주의한다.
5. 침습적 시술 부위의 Dressing이 깨끗하게 유지된다.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한다.- BT check
체온 상승 시, 체온을 하강시킨다.
2. 대상자에게 다음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증상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① 38℃ 이상의 체온 상승이 2~3시간 지속
② 오한(온몸이 춥고 떨림)이 있을 때
③ 물 같은 설사를 하루에 3회 이상하면서 구강 섭취가 어려울 때
④ 소변을 볼 때 통증
⑤ 식은땀이 날 때
⑥ 상처부위나 주사자리에 부종, 발적, 통증이 있을 때
⑦ 배변 후 항문 자리가 아플 때
⑧ 입안이 헐어서 음식을 삼키지 못할 때
3. 충분한 수분을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고단백, 고칼로리 음식과 섬유소가 적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바나나, 오렌지, 감자 등을 섭취하여 설사로 인해 부족해 질 수 있는 나트륨 · 칼륨 성분을 보충한다.
우유, 치즈, 요플레 같은 발효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처음에는 장이 쉴 수 있도록 물이나 미음을 먹이고, 차츰 양을 늘려가되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4. 평상시에도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도록 한다.
음식 섭취 후 입안을 헹구어 줄 것을 대상자에게 교육한다.
대상자가 처방된 가글링 용액으로 입안과 목을 잘 헹구도록 교육한다. - 하루에 4회 이상 (식후 3번, 자기 전)
산이 많이 함유된 음식과 주스(토마토, 오렌지, 자몽 등)을 피할 것을 교육한다.
6. 자주 손을 씻도록 한다. 특히, 용변을 본 후, 외출 후 꼭 씻도록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는 가급적 피하도록 한다.
마스크를 사용하도록 한다.
여드름이나 종기를 짜거나 긁지 않도록 한다.
피부가 건조하거나 갈라지지 않도록 로션이나 오일을 바르도록 한다.
생화나 화분에 담겨진 식물들을 방안에 두지 않도록 한다. - 세균이나 곰팡이가 많아진다.
음식은 꼭 익혀서 먹이고 물은 꼭 끓여서 먹는다. 생야채, 날고기, 회, 생과일 금한다.
7. 2~3일에 한 번 침습적 시술부위 Dressing을 포피돈으로 깨끗이 소독한다.
평가
대상자는 간호사가 교육한 내용을 잘 수행하였다.
1. 병동 내에서만 생활하였으며, 돌아다닐 때에는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2. 처방된 가글링 용액으로 하루 4번 정도 입안과 목을 헹구었다고 대상자가 말했다.
2/11 : 대상자는 계속 WBC 수치가 떨어져서 이식병동으로 옮겨 격리조치 되셨다.
1)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비효과적인 방어 (Ineffective Protection) / 감염위험성 (Risk for infection)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주사부위에서 피가 잘 안 멈춰요. 피가 계속 나는데요.”
<객관적 자료>
1. CBC 검사결과 : PLT수치가 정상수치보다 낮음.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PLT
81
▼
26
▼
2. 2/10 : 수혈 처방됨 PLT pheresis
3. 대상자의 팔이나 다리에서 멍이 관찰된다.
<목표>
대상자는
특별한 출혈 증상이 없다.
간호계획
1. 이전의 주사부위에서 출혈이 있는지 사정한다.
2. 혈종이나 반흔 등 출혈 증상을 사정한다.
3. 가능한 침습적 처치는 피한다.
4. 환자에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할 것을 교육시킨다.
4. 필요 시, 수혈 시작하고 부작용을 관찰한다.
간호수행
1. Rounding 하면서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몸 전체를 사정한다.
2. IM, IV 등의 주사를 피하고 C-line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고 처방된 수액을 주입한다.
3. 수혈 후 15분 동안 대상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발적 · 오한 · 발열 · 구토 ·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한다.
: 오전에 수혈. 양족 팔 · 다리 전체에 skin rash & urticaria ⇒ Pemiramin IA IV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Notify 한다.
평가
이전 주사부위의 출혈이 오래 지속되나, 대상자의 몸 전체에 혈종이나 반흔 등의 출혈 증상은 없다.
처방된 약물 주입 후, skin rash & urticaria 증상이 완화되었다.
2) 혈소판 감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Risk for bleeding)
간호사정
간호목표
<주관적 자료>
1. “ 몸에 힘이 없어요.”
<객관적 자료>
검사명
검사결과
2/3
2/10
RBC Count
3.10
▼
2.59
▼
HB
10.4
▼
8.8
▼
HCT
31.1
▼
26.9
▼
MCV
100.4
△
103.9
△
RDW
18.4
△
18.9
△
1. CBC 검사결과
2. 대상자가 계속 침상에 누워 잠을 자고 있다.
간호사가 깨워도 계속 잔다.
<목표>
대상자는
일상적인 활동을
할 정도의 Condition을 회복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불필요한 활동을 가능한 줄인다.
2. 대상자의 기분을 환기시킬 수 있는 여과활동을 권유한다.
3.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먹도록 한다.
평가
대상자는 계속 축축 늘어지며 침상에 누워 잠만 자며, “힘이 없다.”라는 말만 계속 반복한다.
2/11 : 대상자는 계속 WBC 수치가 떨어져서 이식병동으로 옮겨 격리조치 되셨다.
3) 빈혈로 인한 피로 (Fatigute)
★ 참고문헌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3~5
성인간호학 수문사 (김금순 외) p3~5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p4, p13~15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p12
KMLE 의학용어사전 p12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quadriplegia][사지마비]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Osteomyelitis][골수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Ulcerative Colitis][궤양성대장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AMI][급성골수성백혈병]케이스 스터디(Case Study),[AMI]문헌고찰
[성인간호학][Cholangitis][담관염]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SAH][지주막하출혈]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Subarachnoid Hemorrhage]
[성인간호학][투석간호][투석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간호과정,간호진단
[성인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ICU 케이스]
[성인간호] 담관염, 담낭염 케이스 스터디 CBDstone with cholangitis case
[아동간호학] 급성편도염 Acute Tonsilitis 실습 케이스스터디
뇌줄중케이스,중환자실실습,중환자실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