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시 보는 ‘근대’
가. 근대의 개념
나. 갈등과 진통
다. 서구의 근대화
라. 한국의 근대 형성에 대한 이론
마. 근대의 수혜
2. 근대와 일상의 접속
가. 근대화 과정의 특성
나. 일상생활사
3. ‘근대’를 어찌할 것인가
참고문헌
가. 근대의 개념
나. 갈등과 진통
다. 서구의 근대화
라. 한국의 근대 형성에 대한 이론
마. 근대의 수혜
2. 근대와 일상의 접속
가. 근대화 과정의 특성
나. 일상생활사
3. ‘근대’를 어찌할 것인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근대성이 합리성과 보편성이란 이름으로 인간 내면의 본성 억압, 여성과 주변집단 소외, 제3세계에 부담을 떠넘겼으므로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 탈근대론의 입장은 한국이 이미 근대 기획이 완성되었다는 발상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재론의 여지 있으며, 노동계급 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비판받기도 함.
라. 1990년대에 들어 환경· 성차· 인권· 평화 등의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많아짐. 생태론적 환경운동은 근대과학기술에 대한 비판, 여성운동은 민족주의나 근대 질서에 대한 비판.
마. 문제의 핵심은 근대는 무엇이며 그 근대를 어찌할 것인가임. 오늘날 우리는 근대의 완성과 극복이라는 동시적이고 이중적인 과제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성해야 할 근대성이란 무엇이고 근대를 극복한 세계는 어떤 사회일지에 대한 답은 쉽지 않은 문제임. 근대와 일상의 삶을 접목시켜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
참고문헌
김창남 저,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조수동, 김주완 외 저,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1
이정호, 이필렬 외 저, 문화와 교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9
유종호, 김우창 외 저, 문화예술과 현실, 민음사 2014
라. 1990년대에 들어 환경· 성차· 인권· 평화 등의 문제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들 많아짐. 생태론적 환경운동은 근대과학기술에 대한 비판, 여성운동은 민족주의나 근대 질서에 대한 비판.
마. 문제의 핵심은 근대는 무엇이며 그 근대를 어찌할 것인가임. 오늘날 우리는 근대의 완성과 극복이라는 동시적이고 이중적인 과제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완성해야 할 근대성이란 무엇이고 근대를 극복한 세계는 어떤 사회일지에 대한 답은 쉽지 않은 문제임. 근대와 일상의 삶을 접목시켜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
참고문헌
김창남 저,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조수동, 김주완 외 저,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1
이정호, 이필렬 외 저, 문화와 교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9
유종호, 김우창 외 저, 문화예술과 현실, 민음사 2014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로 보는 현대가족의 특성
건설공학개론(건축구조의 역사)
한국 근대 신문만화의 성격- 1909년~1910년 《대한민보(大韓民報)》의 삽화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도시공동체 운동의 다양성과 활성화 방안
[지역사회복지][지역복지][사회복지][지역사회복지정책]지역사회복지의 방법과 실천 및 과제 ...
학교규율의 목적과 통제의 메커니즘, 역사적 고찰 , 문제제기와 대안
온라인 저널리즘은 익명성으로 인해 대안언론으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는 전제로 익명성...
[종이][한국종이][종이접기][종이비행기][종이생산][닥종이]종이의 전파, 종이의 변천사, 종...
한국경제사 과제_식민지 근대화론과 그 비판
서구의 모던 Modern, 동아시아 모던, 일본의 번역주의, 만들어진 모던, 한국의 근대, 근대성 ...
교육철학에 대한 심층 고찰
[1960년대][미국역사][노동운동][한국경제성장][근대화][음악감상실]1960년대의 미국역사, 19...
한국 디자인사 (제 1장 - 한국의 근대화와 디자인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