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통적 인간관의 붕괴와 근세 기계론적 세계관의 등장
1) 전통 형이상학
2) 근세 이후 자연
3) 근세의 서구 자본주의
4) 근세 물질문명의 발달
5) 위와 같은 근세에 대한 반성
6) 생태주의적 세계관 재등장
3. 동서양의 생태주의적 세계관
1) 유종주의 인간관과 세계관
2) 서구 사유의 생태주의적 사고방식
3) 생철학이 강조하는 직관
4) 불교
5)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os)
6) 동서양에 생태주의적 세계관
4. 인간의 참된 욕망
1) 노자
2) 우주적 연대와 욕망
3) 현대 사회
4) 진정한 인간의 욕망
참고문헌
2. 전통적 인간관의 붕괴와 근세 기계론적 세계관의 등장
1) 전통 형이상학
2) 근세 이후 자연
3) 근세의 서구 자본주의
4) 근세 물질문명의 발달
5) 위와 같은 근세에 대한 반성
6) 생태주의적 세계관 재등장
3. 동서양의 생태주의적 세계관
1) 유종주의 인간관과 세계관
2) 서구 사유의 생태주의적 사고방식
3) 생철학이 강조하는 직관
4) 불교
5) 아낙시만드로스(Anaximandros)
6) 동서양에 생태주의적 세계관
4. 인간의 참된 욕망
1) 노자
2) 우주적 연대와 욕망
3) 현대 사회
4) 진정한 인간의 욕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리, 자연과의 불화를 본질적으로 거부하는 것임. 인간과 자연은 존재론적으로 연속된 하나이고, 인간과 자연 사이에는 총체적인 조화와 유대의 원리가 작동. 개체적 인간들이 배타척이고 경쟁적인 이기심을 바탕으로 싸우고 해치고 시기하는 것은 부질없는 비본래적 태도이며 자연을 정복하고 개발하는 것은 문명의 발달이 아니라 재앙인 셈임.
4. 인간의 참된 욕망
1) 노자
- 무위자연은 아무 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 순리에 거스르는 인위적인 행위를 하지 말라는 것임.
2) 우주적 연대와 욕망
- 인간과 자연의 우주적 연대를 도모한다는 것은 욕망 자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개체적 사고방식의 왜곡에서 비롯된 왜곡된 욕망을 버리고 본래적 욕망, 우주적 욕망에 충실 하는 것을 의미함.
3) 현대 사회
- 권력의 이성. 자본의 이성이 자유라는 미명하에 인간을 자연과 대적하게 하고, 자폐적 욕망을 마치 참된 욕망인 양 왜곡하고 있음. 그리고 현대인은 그 욕망의 탐닉을 행복으로 착각하고 있음. 그러나 그것은 타성과 예속을 낳을 뿐임.
4) 진정한 인간의 욕망
- 생태주의적 세계관에 입각한다면 진정한 인간의 욕망이란 우주적 마음과 연대한 우주적 욕망이며, 그 우주적 욕망에 부응하는 몸부림이야말로 타성과 예속을 깨고 인간을 진정한 자유와 해방으로 이끄는 참된 욕망임.
참고문헌
김창남 저,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조수동, 김주완 외 저,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1
이정호, 이필렬 외 저, 문화와 교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9
유종호, 김우창 외 저, 문화예술과 현실, 민음사 2014
4. 인간의 참된 욕망
1) 노자
- 무위자연은 아무 것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 순리에 거스르는 인위적인 행위를 하지 말라는 것임.
2) 우주적 연대와 욕망
- 인간과 자연의 우주적 연대를 도모한다는 것은 욕망 자체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개체적 사고방식의 왜곡에서 비롯된 왜곡된 욕망을 버리고 본래적 욕망, 우주적 욕망에 충실 하는 것을 의미함.
3) 현대 사회
- 권력의 이성. 자본의 이성이 자유라는 미명하에 인간을 자연과 대적하게 하고, 자폐적 욕망을 마치 참된 욕망인 양 왜곡하고 있음. 그리고 현대인은 그 욕망의 탐닉을 행복으로 착각하고 있음. 그러나 그것은 타성과 예속을 낳을 뿐임.
4) 진정한 인간의 욕망
- 생태주의적 세계관에 입각한다면 진정한 인간의 욕망이란 우주적 마음과 연대한 우주적 욕망이며, 그 우주적 욕망에 부응하는 몸부림이야말로 타성과 예속을 깨고 인간을 진정한 자유와 해방으로 이끄는 참된 욕망임.
참고문헌
김창남 저,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4
조수동, 김주완 외 저, 문화의 이해, 이문출판사 2011
이정호, 이필렬 외 저, 문화와 교양,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9
유종호, 김우창 외 저, 문화예술과 현실, 민음사 2014
추천자료
[철학][인간본성][종교][과학][생각][철학의 방법][일상생활][인간본성]철학에 관한 심층 고...
과학의 시작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법철학 강요, 혹은 자연법 및 국가학 개요』에 대한 맑스의 비판적 논평
[인간과 환경] 자연환경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칸트][형이상학][이성비판]칸트의 사상, 칸트의 도덕철학, 칸트의 도덕과 종교, 칸트의 도덕...
2009년 2학기 철학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사회/자연)
자연주의(Naturalism)의 역사와 철학 및 교육 원리에 대하여 설명
인간과 자연 -.인류문명의 발생과 자연환경
[인간과 자연] 대구분지의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4)도덕-인간이 자연과 밀접하게 관련 맺고 있음을 깨닫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기 위한 실...
교육철학 및 교육사 - 루소의 자연 교육사상과 소크라테스
지질환경과 인간 생활 -화산폭발이 인간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
[법철학] 법 개념에 대한 자연법적 견해(결합명제)와 벌실증주의적 견해(분리명제)에 대하여
[영화감상문] 인간과 자연은 공존할 수 없는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미래 - 원령공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