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과도계 종류와 사용법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과도계 종류와 사용법에 대하여 조사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투과도계 종류
 1. 선형 투과도계
 2. 유공형 투과도계
 3. 기타의 투과도계

2. 사용법
 1. 선형투과도계 배치방법
 2. 띠형투과도계

3. 유공형 투과도계 배치방법

본문내용

Report
제목: 투과도계 종류와 사용법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학습 과목명: 방사선 투과검사
목차
1. 투과도계 종류
2. 사용법
1. 투과도계 종류
1. 선형 투과도계
규격은 KS B 0845 이다.
1-1 선형 투과도계
오른쪽이 제일 큰 선이며 왼쪽으로 0.8씩 곱해주면 값이나온다 왼쪽으론 1.25 를 곱해주면 된다. 선의 개수는 7개이다.
1-2 띠 형 투과도계
같은 크기의 선들이 9개 있다
2. 유공형 투과도계
규격은 ASTM E 1025 이다.
식별번호가 160이하까지는 그림의 네모모양의 투과도계를 사용하고 160초과는 동그란 모양의 투과도계를 사용한다.
3. 기타의 투과도계
3-1 쌍선형 투과도계
13조의 쌍선으로 구성되어있다 BS 3971, EN 462 규격에 의거하여 사용된다.
3-2 유공계단형 투과도계
유렵연합의 EN 462 규격에 의거하여 사용된다.
3-3 API 5L 유공형 투과도계
3-4 API 1104 유공형투과도계
ASTM E 1025와 동일하지만 투과도계 최소 hole의 직경은 1/16‘’ 이하로 하 지 않는다.
2. 사용법
1. 선형투과도계 배치방법
(1) 모재두께별로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 지름값 에 해당하는 투과도계를 선정한 다.
(2) 투과도계는 원칙적으로 시험체 표면의 선원쪽 방향에 놓는다.
(3) 용접부선과 투과도계 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용접부 위에 걸쳐서 놓는다.
(4) 선원쪽에 놓을수 없을시에는 필름쪽에 두고 납글자 “F”를 표시한다.
(단, 투과도계와 필름간 거리 >= 식별 최소 선지름 10배이상 만족)
(5) 유효구간 양 끝에 2개를 놓는다. (2개가 못들어가면 가운데에 1개를 놓는다.)
(6) 최고가는선(식별최소선지름)이 유효구간화살표의 경계면상에 위치하도록 놓는 다.
(7) 투과도계의 가장 가는 선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2. 띠형투과도계
선형 투과도계와 똑같이 사용하면 된다.
3. 유공형 투과도계 배치방법
(1) 원칙적으로 유공형 투과도계는 시험체의 선원측의 대표되는 곳에 놓고 촬영 한다.
(2) 용접부의 경우 용접비드 옆(최소 용접비드에서 약 1/8in 떨어진곳)에 놓고 촬 영한다. 이때 용접 것붙임 두께를 보상하기 위해 용접덧붙임 두께에 해당하 는 심(shim)을 용접부 인접모재위에 놓고 그위에 투과도계를 놓고 촬영한다.
(3) 용접부의 경우 투과두께는 시험체 모재 두께에 용접비드 덧살 두께를 합한 값이 되며 보강판을 사용한 경우에 보강판의 두께는 투과두께에 산정하지 않 는다.
(4) 투과도계를 필름쪽에 놓을 경우 납글자 “F”를 표기하고, 원칙적으로 선원쪽 에 사용해야할 투과도계보다 한단계 낮은 번호를 사용한다.
(5) 시험체의 두께차가 심하여 한 개 이상의 투과도계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한 개는 관찰대상범위에서 가장 밝은 곳을, 다른하나는 관찰대상범위에서 가장 어두운 곳에 위치하여 놓는다.
  • 가격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11.30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7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