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GP렌즈의 특성, 재질, 장단점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RGP렌즈의 특성, 재질, 장단점

2. Prefitting

3. Fitting

4. RGP 렌즈의 동적인 Fitting 평가

5. 특수 콘택트 렌즈의 종류 및 임상 적응

본문내용

각막난시(4D까지)가 있는 환자
구면렌즈 착용 시 중심 이탈, 불편함, 건조감, 지속적인 충혈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경우
장시간 또는 연속 착용을 원하는 환자
원추각막, 각막이식 수술 후, 외상 후 불규칙한 각막을 가진 환자
(3) 비구면 렌즈의 처방원칙
: 비구면 부위가 구면렌즈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편평하기 때문에 각막에 flat하게 맞춰 진다.
구면렌즈보다 steep하게 fitting되어야 한다.
(4) 노안의 교정
1) 노안의 교정 방법
@ 단안시
양안 교정시력이 모두 정상이어야 함
장기간 근거리 작업이나 원거리 작업 중 한가지만을 계속하는 사람은 적당하지 않고, 병행하는 사람에게 적당
[장점]
가장 간단하고 처방에 큰 어려움이 없다
콘택트렌즈에 대한 개념이 있으면 이 방법을 수용하기 쉽다.
시력이 안정적이다
적은 가능성 여부를 조기에 알 수 있다, 저렴하다
[단점]
양안 입체시와 대비가 잘 되지 않고, 안정피로가 심하며
단안 환자에서는 사용 불가, 비교적 한 쪽 눈이 강한 우성이어야 한다 .운전 시 주의
[피팅방법]
우세안과 비 우세안을 구별한 후 비우세안에 나이와 작업거리에 따른 적절한 돋보기 처방
(근시환자의 경우 : 저교정, 원시환자의 경우 : 과교정)
2) 비구면 다중 초점렌즈의 노안 교정 원리
: 편심률이 큰 비구면 렌즈는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굴절력에 변화
3) 노안 콘택트렌즈 처방 시 알아야 할 사항
컴퓨터 사용자는 원근 동시보기 방법이나 비구면 디자인이 가장 적합
잔여난시(residual astigmatism)가 있는 사람은 원근 교대보기 방법이 좋고
각막이 보통보다 편평하거나 가파른 경우 비구면 디자인 좋고
검안렌즈 착용 시 최소 30분이상은 있어야 한다.
[[눈물막평가]]
1. 눈물막의 구성
(1) 지방층
가장 외층인 지방층은 Meibomian과 Zies선에서 분비
수성층의 증발을 막는다
눈물이 넘치는 것을 막는다
균일한 광학면을 제공
(2) 수성층
중간의 수성층은 주누선과 부누선에서 분리된다.
두께는 6.5~7.5um로 세 층 중에서 가장 두껍다
각막에 영양을 공급한다.
lysozyme 등이 항균작용을 한다.
(3) 점액층
가장 내층의 점액층은 결막의 배상세포에서 분비된다.
각막상피를 친수성으로 만들어 눈물이 고루 퍼지게 한다.
점액을 제거한다면 각막은 소수성으로 변하여 각막위 누액이 골고루 퍼지지 못하여 건조반.
정상안의 각막에서 건조반이 각막상피의 탈락 (desquamation)을 도와 상피의 재생을 촉진시킴
@ 누액검사법
1. 눈물프리즘평가
: 그 높이과 질은 현미경으로 관찰
정상적인 높이는 중심부에서 0.2mm
borderline dry eye를 검사하기 좋은 방법
tear meniscus가 충분하지 않으면 수성층이 부족
각막과 접하는 부분이 검은선으로 관찰되면 부분적으로 얇아진 상태
약 1~2분전에 fluorescein을 하부 구결막에 점안 후 slit lamp의 cobalt blue filter로 관찰
meniscus가 가늘면 눈물양이 상당히 부족
2. Tear Break-up Time, TBUT
: 눈물막의 질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눈을 깜박인 후 점액층이 기름에 의해 파괴되면서 dry spot 이 형성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
fluorescein을 점안 후 cobalt blue filter로 낮은 배율의 slit lamp를 이용하여 각막이 평가
여러 개의 점이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을 ‘초’로 측정 초록색으로 염색된 눈물 막에서
검게 나타나 보임
정상적인 평균값은 15~20초, 10초이하이면 콘택트렌즈 고려 6~9초 이하이면 Disposable lens
[유의사항]
1. 검사 바로 전에 안검을 무리하게 자극해서는 안 된다
2. 검사를 하기 전에 환자에게 눈을 여러 번 깜박이게 한다.
3. 검사를 하기 전에 안압측정을 해서는 안된다.
4. 검사를 여러 번 반복한다. (특히 측정값이 낮을 경우)
3. Schirmer tear test
: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 결과의 불일치성, 그리고 신뢰할 수 없는 측정값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 을 가지고 있다
환자의 눈을 위로 보게 하고 스트립의 5mm 접힌 부분이 외 안각에서 대략 1/3에
해당하는 하 안검에 삽입
환자는 자연스레 눈을 감거나 지속적인 상 방향 주시 - 5분 후 스트립을 제거 누액으로
적셔진 양을 측정
측정값이 5분 동안 10mm보다 크거나 1분 동안 6mm보다 크면 정상이다
스트립을 완전히 적시거나 많은 양의 눈물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건조안이 심할 경우 Proparacaine과 같은 국부 마취제를 하부 결막 낭에 점안하여
반사눈물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유의사항]
1. 검사실의 조명을 낮춘다.
2. 위쪽으로 눈을 주시하도록 하여 눈물 양을 측정 스트립은 하부 결막 낭으로 치우쳐 위치,
눈을 깜박이는 동안 각막과 과다한 접촉으로 반사눈물을 피하기 위함.
@ 그 외 검사법
1. Phenol rad thread 검사법
: Phenol red 염료에 담가진 70mm 면실이 사용
Schirmer 검사법과 방법이 동일
2. Rose Bengal
: 죽거나 변성된 상피세포를 염색
하안부에 얼룩이 발생하는 건성각결막염의 진단에 유익
1%의 Rose bengal 한 방울을 결막 낭에 점안 후 식염수로 외안부를 씻어내고
slit lamp의 백색광으로 관찰 붉은 염색이 나타남.
@ RGP렌즈의 합병증
(1) 렌즈 재질에 의한 합병증
@ 저 산소증 : 상피미세낭포, 각막 내 주름과 각막내선
@ 렌즈의 뒤틀림과 굴곡: 렌즈의 뒤틀림이 생기면 시력저하
(2) 렌즈 피팅에 의한 합병증
@착색 : 주변부 각막 건조증, 기계적 손상에 의한 착색, 결막착색
@염증 : 윤부각막염, 급성 안 충혈
(3) 감염
(4) 콘택트렌즈와 관련된 각막 침윤
@ 무균적 각막 침윤, 원형침윤 웨슬리 링
(5) 안검과 그 부속기의 합병증
@콘택트 렌즈 유두 결막염
@안검하수
@안검염
@안건조증
(6) 환경인자에 의한 합병증
@콘택트렌즈 오염
@지질에 의한 오염
@공기,습도,위도
@환경 독소
(7) 보존액과 관계된 합병증
@급성 독성 반응 - 각막중독
@과민반응
@독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0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