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가축분뇨(축산분뇨)의 특징
1. 물리화학적 특성
2. 비료적 가치
3. 사료적 가치
4. 에너지적 가치
Ⅲ.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자원화
Ⅳ. 가축분뇨(축산분뇨)의 발생량
Ⅴ.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처리과정
1. 가축분뇨의 처리과정
2. 가축분뇨 처리방법별 장단점 비교
3. 퇴비, 액비 처리의 장․단점
Ⅵ. 향후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처리 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Ⅱ. 가축분뇨(축산분뇨)의 특징
1. 물리화학적 특성
2. 비료적 가치
3. 사료적 가치
4. 에너지적 가치
Ⅲ.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자원화
Ⅳ. 가축분뇨(축산분뇨)의 발생량
Ⅴ.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처리과정
1. 가축분뇨의 처리과정
2. 가축분뇨 처리방법별 장단점 비교
3. 퇴비, 액비 처리의 장․단점
Ⅵ. 향후 가축분뇨(축산분뇨)의 처리 방안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서는 퇴비화과정에 소요되는 수분 조절재인 톱밥의 공급이 부족하고 가격이 비싼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체할 수 있는 부자재를 개발하여 수급조절의 안정화를 구축해야 하겠다. 그리고 정부의 지원정책측면에서는 축산분뇨처리시설의 설치예산이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Ⅶ. 결론
현재 분뇨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하수종말처리장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악취제거 방법중에는 활성탄흡착법, 약액세정법, 토양탈취법등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새로운 탈취법의 기술개발로 인해 진보된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 신기술 탈취공법에 대한 특성비교는 상기에 언급되었고 분뇨 및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성분은 암모니아, 아민류, 유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타 여러 복합성분이 미량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 아민류는 활성탄흡착법 적용시 자극성 가스인 관계로 흡착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번번한 활성탄 교체에 의한 운전비용 및 운영상 복잡한 수고가 동반되고 토양 탈취법 적용시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송풍기 압력상승에 의한 전력비용 과다, 토양미생물의 pH관리 및 겨울철 동사 및 활동저하 잦은 잡초제거등 유지관리가 복잡하다.
약액세정법의 기본원리는 산성약품(HCl or H2SO4)에 의한 흡수세정과 알카리약품(NaOH) 및 산화제(NaOCl)에 의한 흡수세정을 병행처리 하는 방법이 기본공정으로 산성가스(유화수소, 멜캅탄류)와 알카리가스(암모니아, 아민류)를 중화반응 및 산화처리가 기본반응 원리이다.
와류믹스식의 산화제(NaOCl) 흡수세정은 산, 알카리 흡수세정이 생략된 상태이며 산화제(NaOCl)가 알카리성이므로 알카리성 가스인 암모니아, 아민류의 제거효율이 떨어지며 암모니아, 아민류의 제거를 위해 산화제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존해야 함으로 약품소모량이 증대된다.
바이오필터에 의한 탈취는 토양탈취법과 유사하고 pH관리, 동절기 가온 및 가습대책(20℃유지, 분무장치), 넓은 부지, 초기 투자비 과다, 높은 압력손실 등의 단점이 있으나, 물의 전기분해 탈취는 자연 친화적이고 전기, 화학적 반응과 산화, 중화, 환원반응에 의한 완벽한 탈취가 이루어지며 투자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설치면적이 적다.
이런 장, 단점을 비교하여 보면 물의 전기분해 탈취 공법이 경제적이고 유독약품을 취급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제거효율이 탁월하고 국산신기술(KT) 인증과 특허 및 실용신안, 상표등록을 받아 설계에 반영시 유리한 점수가 예상되어 탈취공법으로 선정한다.
참고문헌
▷ 김광수(2007), 국내 가축분뇨 해양배출의 현황과 대책, 해양환경.안전학회
▷ 김재호(2008), 가축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 안태웅 외 2명(2007)가축분뇨 관리 및 이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한국수자원학회
▷ 원기술(2008),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
▷ 유덕기(2002), 가축분뇨 자원화를 위한 공동이용 조직에 대한 농가선호도 분석, 집문당
▷ 옥전재(2009), 가축분뇨 자원화물 유출특성 연구, 우송대학교
Ⅶ. 결론
현재 분뇨처리장, 축산폐수처리장, 하수종말처리장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악취제거 방법중에는 활성탄흡착법, 약액세정법, 토양탈취법등이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새로운 탈취법의 기술개발로 인해 진보된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들 신기술 탈취공법에 대한 특성비교는 상기에 언급되었고 분뇨 및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악취의 성분은 암모니아, 아민류, 유화수소, 메르캅탄류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타 여러 복합성분이 미량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 아민류는 활성탄흡착법 적용시 자극성 가스인 관계로 흡착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번번한 활성탄 교체에 의한 운전비용 및 운영상 복잡한 수고가 동반되고 토양 탈취법 적용시 넓은 부지가 필요하고 송풍기 압력상승에 의한 전력비용 과다, 토양미생물의 pH관리 및 겨울철 동사 및 활동저하 잦은 잡초제거등 유지관리가 복잡하다.
약액세정법의 기본원리는 산성약품(HCl or H2SO4)에 의한 흡수세정과 알카리약품(NaOH) 및 산화제(NaOCl)에 의한 흡수세정을 병행처리 하는 방법이 기본공정으로 산성가스(유화수소, 멜캅탄류)와 알카리가스(암모니아, 아민류)를 중화반응 및 산화처리가 기본반응 원리이다.
와류믹스식의 산화제(NaOCl) 흡수세정은 산, 알카리 흡수세정이 생략된 상태이며 산화제(NaOCl)가 알카리성이므로 알카리성 가스인 암모니아, 아민류의 제거효율이 떨어지며 암모니아, 아민류의 제거를 위해 산화제의 강력한 산화력에 의존해야 함으로 약품소모량이 증대된다.
바이오필터에 의한 탈취는 토양탈취법과 유사하고 pH관리, 동절기 가온 및 가습대책(20℃유지, 분무장치), 넓은 부지, 초기 투자비 과다, 높은 압력손실 등의 단점이 있으나, 물의 전기분해 탈취는 자연 친화적이고 전기, 화학적 반응과 산화, 중화, 환원반응에 의한 완벽한 탈취가 이루어지며 투자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설치면적이 적다.
이런 장, 단점을 비교하여 보면 물의 전기분해 탈취 공법이 경제적이고 유독약품을 취급하지 않아 안정적이며 제거효율이 탁월하고 국산신기술(KT) 인증과 특허 및 실용신안, 상표등록을 받아 설계에 반영시 유리한 점수가 예상되어 탈취공법으로 선정한다.
참고문헌
▷ 김광수(2007), 국내 가축분뇨 해양배출의 현황과 대책, 해양환경.안전학회
▷ 김재호(2008), 가축분뇨 자원화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 안태웅 외 2명(2007)가축분뇨 관리 및 이용 실태 및 개선 방향, 한국수자원학회
▷ 원기술(2008),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
▷ 유덕기(2002), 가축분뇨 자원화를 위한 공동이용 조직에 대한 농가선호도 분석, 집문당
▷ 옥전재(2009), 가축분뇨 자원화물 유출특성 연구, 우송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