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여성 특성에 대한 왜곡과 속담
·여성의 종속성, 무능에 관련된 속담
·여성역할의 제한과 관련된 속담
·남아선호사상과 관련된 속담
·부부관계 속 여성과 시집살이에 관련된 속담
·결론
·본론
·여성 특성에 대한 왜곡과 속담
·여성의 종속성, 무능에 관련된 속담
·여성역할의 제한과 관련된 속담
·남아선호사상과 관련된 속담
·부부관계 속 여성과 시집살이에 관련된 속담
·결론
본문내용
2. 여성의 종속성, 무능에 관련된 속담
구타에 관련된 속담
계집 고집 센 것은 도리깨 작대기로 고쳐야 한다.
·여자는 사흘에 한 번씩 맞아야 한다.
·여자와 명태는 맞아야 부드러워진다.
·계집 고집 센 것은 도리깨 작대기로 고쳐야 한다.
인격이 배제된 존재
계집도 팔아먹겠다.
·노름에 미치면 아내도 팔아먹는다.
·계집 바뀐 것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것은 안다.
3. 여성역할의 제한과 관련된 속담
며느리는 부엌에서 얻어야 한다.
·아내가 비록 어질더라도 바깥일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아내는 부엌에서 얻고 남편은 글방에서 얻으랬다.
·여자가 날뛰고 안 망하는 집 없다.
·남자가 부뚜막 살림을 간섭하면 계집을 못 거느린다.
4. 남아선호사상과 관련된 속담
다남은 천복이다.
·계집아이 나면 두 번 운다
·딸은 하나도 많고 아들은 셋도 모자란다.
·아들을 못 낳는 여자는 팔자가 사납다.
·딸은 하나도 많고, 아들은 셋도 모자란다.
·딸 둔 죄인
·딸 다섯 둔 집에는 도둑도 들지 않는다.
구타에 관련된 속담
계집 고집 센 것은 도리깨 작대기로 고쳐야 한다.
·여자는 사흘에 한 번씩 맞아야 한다.
·여자와 명태는 맞아야 부드러워진다.
·계집 고집 센 것은 도리깨 작대기로 고쳐야 한다.
인격이 배제된 존재
계집도 팔아먹겠다.
·노름에 미치면 아내도 팔아먹는다.
·계집 바뀐 것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것은 안다.
3. 여성역할의 제한과 관련된 속담
며느리는 부엌에서 얻어야 한다.
·아내가 비록 어질더라도 바깥일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아내는 부엌에서 얻고 남편은 글방에서 얻으랬다.
·여자가 날뛰고 안 망하는 집 없다.
·남자가 부뚜막 살림을 간섭하면 계집을 못 거느린다.
4. 남아선호사상과 관련된 속담
다남은 천복이다.
·계집아이 나면 두 번 운다
·딸은 하나도 많고 아들은 셋도 모자란다.
·아들을 못 낳는 여자는 팔자가 사납다.
·딸은 하나도 많고, 아들은 셋도 모자란다.
·딸 둔 죄인
·딸 다섯 둔 집에는 도둑도 들지 않는다.
추천자료
여성장애인의 차별실태와 문제점 및 개입방안
여성장애인의 이중차별
여성 운동
여성의 언어 그리고 페미니즘
[장애인복지] 여성 장애인에 대한 복지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
농협 사례를 통해 본 여성노동 차별과 성 고정관념에 관한 조사
여성 장애인 차별, 저의, 개념, 이중 차별, 편견,유형, 실태, 문제점, 대안, 해결 방안, 변화...
여성문제(개념, 미혼모, 성차별, 여성빈곤, 여성부, 모자세대)
남성, 여성 차별, 역차별 사례 : 문화, 제도, 현실 속에서 - 용어정리 역차별, 문화속의 차별...
한국사회문제E형-한국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여러차별과 불평등가운데 사회문제로서 해결해...
[세상읽기와 논술-C형]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여성근로자의 임...
[성 사랑 사회 A형] 한국사회에서 일하는 여성이 겪는 어려움 가운데 여성이라서 겪게 되는 ...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사회문제론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