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OCS(처방전달 시스템)
2. EMR (전자의무기록)
3. NIBP (비침습적 혈압측정)
4. 산소요법/ Pluse oximeters
5. ABGA
6. 감염폐기물 종류 & 관리방법
7. SCD(압축장치)
8. ESWL (체외 충격파 쇄석술)
2. EMR (전자의무기록)
3. NIBP (비침습적 혈압측정)
4. 산소요법/ Pluse oximeters
5. ABGA
6. 감염폐기물 종류 & 관리방법
7. SCD(압축장치)
8. ESWL (체외 충격파 쇄석술)
본문내용
<그림1> Allen's test(알렌 검사)
요골동맥(radial artery)에서 주로 시행→Allen‘s test를 시행하여 ulnar artery가 patent하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그림과 같이 wrist extension 시킨다.
<그림2> 요골동맥에서 동맥 천자
※ 측부 혈행이 없는 동맥(상완동맥;brachial, 족배동맥;dorsalis pedis, 대퇴동맥;common femoral artery) 가능한 피한다. ABGA는 되도록 radial artery로 한다. 응급이 아니면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artery로 시행한다.)
(3) 방법
1) 동맥혈 채취 주사기는 23G needle이 달린 5ml 이내의 것을 사용한다(공기주입 최소화). 먼저 heparin(1:1,000)을 주사기 속에 소량 뽑아 coating 시킨 후 주사기 안의 공기와 heparin을 모두 배출시킨다. heparin을 뽑은 needle은 폐기하고 새로운 needle로 바꿔준다.
※ radial artery는 26G needle도 가능하다
2) Allen's test 후 검지로 radial artery 촉지하여 pulse를 확인하고 알콜솜으로 소독한다.
3) syringe를 연필쥐듯이 잡은 후 주사바늘을 피부와 60° 각도가 되도록 유지하면서 천천히 동맥으로 밀어 넣는다. 동맥을 제대로 천자하였으면 동맥압에 의해 혈액이 주사기의 cylinder를 밀고 주사기 내로 들어온다(동맥압에 의해 cylinder를 당기지 않아도 됨).
※ Hypotension, cardiac arrest pt에서는 동맥압이 낮기 때문에 동맥을 찔렀더라도 cylinder를 당기지(=리거즈)하지 않으면 채혈할 수 없으므로 cylinder를 당겨야 한다
4) 채혈이 끝나면 천자한 동맥부위를 약 5분간 단단히, 그러나 동맥혈을 막지 않을 정도로 누른다. ※ 5분간 누르지 않으면 출혈이 지속되어 혈종이 생기고, 동맥혈류를 차단할 수도 있다
5) 검체를 얻은 후에는 주사기내 기포를 모두 배출시킨 다음 주사바늘을 고무마개에 찔러 공기가 통하지 않게 하고 얼음이 들어 있는 운반용기에 넣어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6) 검체에 환자의 성명이 기록되었는지 확인하고, 검체와 환자를 다시 재확인한다.
(4) 합병증
1) 출혈 (예방방법: 천자 부위를 5분 이상 압박하여 지혈한다)
2) 정맥혈 혼합 (예방방법: cylinder를 당겨 채혈하지 않는다)
3) 공기 혼합 (예방방법: syringe와 주사바늘의 이음매가 잘 끼워져 있지 않아 공기가 들어가거나, 주사기 내부를 heparin으로 묻힌 다음 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키지 않아서 생기므로, 공기가 주사기내에 없도록 한다)
※ 주사기내 공기가 있다면 환자의 PO2 결과는 달라진다.
4) 말초부 허혈 (예방방법: 가능하면 가는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동맥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하고, Allen‘s test를 실시한다)
결과 분석
(1) 측정되는 변수 : pH, PO2, PCO2, Sao2 등
(2) 계산으로 유도되는 변수
bicarbonate(중탄산염), content(total CO2), base excess(염기과잉)
.
(3) 정상 동맥혈가스분석(ABGA)과 정맥혈가스분석(VBGA)
ABGA
VBGA
pH
7.35 - 7.45
7.30 - 7.40
PCO2
35 - 45 mmHg
42 - 48 mmHg
PO2
80 - 100 mmHg
34 - 35 mmHg
bicarbonate
(HCO3-,중탄산염)
22 - 28 mmHg
24 - 30 mmHg
SaO2
98 %
75 %
6.감염폐기물 종류 & 관리방법
1) 의료폐기물의 정의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2) 분류 목적
병원, 치과병원, 의원, 기공소 등에서 치료, 진료, 검사,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감염성 오염물질인 의료폐기물로 인해 인체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이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3) 분류
보관장소는 누구든지 쉽게 볼 수 있도록 표지를 부착하고, 관계자외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법에서 규제하고 있다.
처리방법으로는 소각시설 또는 멸균(배양검사 등을 실시하여 전염력이 있는 병원성세균이 검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함)분쇄시설에서 처리하도록 규제하고 있고, 처리업자에 대한 자격도 법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병원성폐기물은 적출물로 구분하여 보건사회부령에 따라 관리되어 왔지만, 1999년부터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환경부령에 따라 폐기물관리법에 준하여 관리를 받도록 하고 있다.
52병동의 폐기물 분류
일반의료 폐기물 상자
4개
생물 화학 (액상)
2개
위해 의료 (손상성)
3개
7. SCD기 (일련의 압축장치)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s
SCD기 란, 순차 압축 장치로서 깊은 정맥 혈전증 (DVT: Deep vein Thrombosis) 및 입원된 환자에서 폐색전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풍선 압축 소매와 독특한 압력 변조를 포함 하는 간헐적 공기 압축 장치입니다.
8. ESWL (체외 충격파 석쇄술)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외부에서 충격파를 가하여 인체내의 결석을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시술이 간편하고 치료효과가 높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거의 없어 최근에서는 요로결석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이나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결석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 후 충격파를 결석에 집중되도록 맞추어 시술이 시작되는데 시술 중 '딱딱'하는 충격파 발생 소리가 난다. 대개 2000회 내외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결석을 깨뜨리는데 시술 소요시간은 1시간 내외로 소요된다.
쇄석술 후 요석의 배출정도는 요석의 크기와 위치, 구성성분과 신장의 기능 및 해부학적인 구조, 환자의 연령 및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 다르며, 치료성적은 3mm ~ 20mm 크기의 결석의 경우 대체적으로 86-94% 로 보고되고 있다.
요골동맥(radial artery)에서 주로 시행→Allen‘s test를 시행하여 ulnar artery가 patent하다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그림과 같이 wrist extension 시킨다.
<그림2> 요골동맥에서 동맥 천자
※ 측부 혈행이 없는 동맥(상완동맥;brachial, 족배동맥;dorsalis pedis, 대퇴동맥;common femoral artery) 가능한 피한다. ABGA는 되도록 radial artery로 한다. 응급이 아니면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artery로 시행한다.)
(3) 방법
1) 동맥혈 채취 주사기는 23G needle이 달린 5ml 이내의 것을 사용한다(공기주입 최소화). 먼저 heparin(1:1,000)을 주사기 속에 소량 뽑아 coating 시킨 후 주사기 안의 공기와 heparin을 모두 배출시킨다. heparin을 뽑은 needle은 폐기하고 새로운 needle로 바꿔준다.
※ radial artery는 26G needle도 가능하다
2) Allen's test 후 검지로 radial artery 촉지하여 pulse를 확인하고 알콜솜으로 소독한다.
3) syringe를 연필쥐듯이 잡은 후 주사바늘을 피부와 60° 각도가 되도록 유지하면서 천천히 동맥으로 밀어 넣는다. 동맥을 제대로 천자하였으면 동맥압에 의해 혈액이 주사기의 cylinder를 밀고 주사기 내로 들어온다(동맥압에 의해 cylinder를 당기지 않아도 됨).
※ Hypotension, cardiac arrest pt에서는 동맥압이 낮기 때문에 동맥을 찔렀더라도 cylinder를 당기지(=리거즈)하지 않으면 채혈할 수 없으므로 cylinder를 당겨야 한다
4) 채혈이 끝나면 천자한 동맥부위를 약 5분간 단단히, 그러나 동맥혈을 막지 않을 정도로 누른다. ※ 5분간 누르지 않으면 출혈이 지속되어 혈종이 생기고, 동맥혈류를 차단할 수도 있다
5) 검체를 얻은 후에는 주사기내 기포를 모두 배출시킨 다음 주사바늘을 고무마개에 찔러 공기가 통하지 않게 하고 얼음이 들어 있는 운반용기에 넣어 즉시 검사실로 보낸다.
6) 검체에 환자의 성명이 기록되었는지 확인하고, 검체와 환자를 다시 재확인한다.
(4) 합병증
1) 출혈 (예방방법: 천자 부위를 5분 이상 압박하여 지혈한다)
2) 정맥혈 혼합 (예방방법: cylinder를 당겨 채혈하지 않는다)
3) 공기 혼합 (예방방법: syringe와 주사바늘의 이음매가 잘 끼워져 있지 않아 공기가 들어가거나, 주사기 내부를 heparin으로 묻힌 다음 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키지 않아서 생기므로, 공기가 주사기내에 없도록 한다)
※ 주사기내 공기가 있다면 환자의 PO2 결과는 달라진다.
4) 말초부 허혈 (예방방법: 가능하면 가는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동맥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하고, Allen‘s test를 실시한다)
결과 분석
(1) 측정되는 변수 : pH, PO2, PCO2, Sao2 등
(2) 계산으로 유도되는 변수
bicarbonate(중탄산염), content(total CO2), base excess(염기과잉)
.
(3) 정상 동맥혈가스분석(ABGA)과 정맥혈가스분석(VBGA)
ABGA
VBGA
pH
7.35 - 7.45
7.30 - 7.40
PCO2
35 - 45 mmHg
42 - 48 mmHg
PO2
80 - 100 mmHg
34 - 35 mmHg
bicarbonate
(HCO3-,중탄산염)
22 - 28 mmHg
24 - 30 mmHg
SaO2
98 %
75 %
6.감염폐기물 종류 & 관리방법
1) 의료폐기물의 정의
보건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감염 등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폐기물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의 사체 등 보건환경보호상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폐기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2) 분류 목적
병원, 치과병원, 의원, 기공소 등에서 치료, 진료, 검사,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감염성 오염물질인 의료폐기물로 인해 인체에 위해가 될 수 있는 이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함을 목적으로 한다.
3) 분류
보관장소는 누구든지 쉽게 볼 수 있도록 표지를 부착하고, 관계자외의 출입을 제한하도록 법에서 규제하고 있다.
처리방법으로는 소각시설 또는 멸균(배양검사 등을 실시하여 전염력이 있는 병원성세균이 검출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함)분쇄시설에서 처리하도록 규제하고 있고, 처리업자에 대한 자격도 법으로 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병원성폐기물은 적출물로 구분하여 보건사회부령에 따라 관리되어 왔지만, 1999년부터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면서 환경부령에 따라 폐기물관리법에 준하여 관리를 받도록 하고 있다.
52병동의 폐기물 분류
일반의료 폐기물 상자
4개
생물 화학 (액상)
2개
위해 의료 (손상성)
3개
7. SCD기 (일련의 압축장치) Sequential Compression Devices
SCD기 란, 순차 압축 장치로서 깊은 정맥 혈전증 (DVT: Deep vein Thrombosis) 및 입원된 환자에서 폐색전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풍선 압축 소매와 독특한 압력 변조를 포함 하는 간헐적 공기 압축 장치입니다.
8. ESWL (체외 충격파 석쇄술)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외부에서 충격파를 가하여 인체내의 결석을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시술이 간편하고 치료효과가 높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거의 없어 최근에서는 요로결석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사선이나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결석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한 후 충격파를 결석에 집중되도록 맞추어 시술이 시작되는데 시술 중 '딱딱'하는 충격파 발생 소리가 난다. 대개 2000회 내외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결석을 깨뜨리는데 시술 소요시간은 1시간 내외로 소요된다.
쇄석술 후 요석의 배출정도는 요석의 크기와 위치, 구성성분과 신장의 기능 및 해부학적인 구조, 환자의 연령 및 신체활동 정도에 따라 다르며, 치료성적은 3mm ~ 20mm 크기의 결석의 경우 대체적으로 86-94% 로 보고되고 있다.
추천자료
성인 간호학 3 실습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 심근경색증 우선순위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자료 - 봉합사의 종류, 바늘의 종류, 봉합방법, 회복실에서의 퇴실...
야외교육(야외수업)과 야외활동, 야외학습, 야외교육(야외수업)과 야외실습, 야외교육(야외수...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정형외과 실습)
[성인간호학] 경막 외 출혈 EDH (Epidural Hemorrahge) 실습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실습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진단명 : Lt. Ankle triallolar Fx.) 실습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과제>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간호(회복실)
성인간호학 - 응급실, 수술실 실습 레포트 - 폐렴
뇌수막염 (세균성 뇌수막염)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실습)CCU심장계중환자실간호학과실습병원실습CASE발표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소화기 hcc소화기내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간세포암종간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