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조사의 필요성……………………………………………1
2.조사 목적…………………………………………………1
3.조사 계획 수립…………………………………………1
(1) 구체적 필요 정보의 결정…………………………1
(2) 표본추출계획…………………………………………1
(3) 조사수단 - 설문지…………………………………2
(4) 설문 조사 기간………………………………………2
(5) 설문 조사 인원………………………………………2
(6)표본설계………………………………………………2
(7) 조사일정………………………………………………2
4. 자료 분석…………………………………………………3
(1) 인구 통계학적 특성…………………………………3
(2) 요인별 신뢰도 분석…………………………………6
(3) 요인별 상관분석……………………………………10
(4) 가설 검증……………………………………………12
5. 마케팅적 시사점 ………………………………………18
6. 결론…………………………………………………………18
2.조사 목적…………………………………………………1
3.조사 계획 수립…………………………………………1
(1) 구체적 필요 정보의 결정…………………………1
(2) 표본추출계획…………………………………………1
(3) 조사수단 - 설문지…………………………………2
(4) 설문 조사 기간………………………………………2
(5) 설문 조사 인원………………………………………2
(6)표본설계………………………………………………2
(7) 조사일정………………………………………………2
4. 자료 분석…………………………………………………3
(1) 인구 통계학적 특성…………………………………3
(2) 요인별 신뢰도 분석…………………………………6
(3) 요인별 상관분석……………………………………10
(4) 가설 검증……………………………………………12
5. 마케팅적 시사점 ………………………………………18
6. 결론…………………………………………………………18
본문내용
하니 알파값이 0.924로 종전값 0.921보다 높아짐. 다른 변수를 제거해
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구매만족도 변수는
(’satisfaction 2, 3, 4‘)로 결정.
3) 구매의도 신뢰도 분석
알파값이 0.953으로서 기준값 0.7보다 높게 나왔으므로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다른 변수를 제거해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구매의도 변수는 3가지(’purchase 1, 2, 3‘)로 결정.
4) 추천의도 신뢰도 분석
알파값이 0.963으로서 기준값 0.7보다 높게 나왔으므로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다른
변수를 제거해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추천의도 변수는
3가지(’recommendation 1, 2, 3‘)로 결정.
(3) 요인별 상관분석
1) 구매결정요인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choose1, 2, 3’간에는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고, ‘choose5'는 상관계수가 0.144고 유의확률이 0.19로 유의수준 0.01보다 큰 값이다. 그러므로 ’*‘표시를 얻어 상대적으로 낮은 유의한 상관이 있다.
2) 구매만족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3) 구매의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4) 추천의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4) 가설 검증
(1) 가설 1 <구매결정요인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4.728로 나와 ‘choose'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적은 편이고, 유
의 확률은 0.001이므로 p<0.05의 기준, 즉 0.05 유의수준에서 변수들간 차이가 있다는 것
을 충족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이 적합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choose3'- “축구화의 외양(디자인)은 중요하다.”의 p값이 0.011,
‘choose5'- “축구화의 착용 시 편안함은 중요하다.”의 p값이 0.039로 이 두 변수에 대
한 p값들만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기 때문에 이 두 변수만 종속변수(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교차분석
위 표에서 보듯이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을 중요시 할수록 구매만족도의 4.00
~ 5.00부분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설1에 대한 검
증결과 ‘구매결정요인 중 축구화의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이 구매만족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라고 할 수 있다.
(2) 가설 2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1.464로 나와 ‘choose'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적은 편이고, 유의
확률은 0.214이므로 유의기준 0.05값을 초과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
이 적합하지 못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한 p값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
에 종속변수(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가설2에 대한 검증결과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할 수 없다.
(3) 가설 3 <구매만족도는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37.752로 나와 ‘satisfaction'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조금 높
은 편이고, 유의 확률은 0.000이므로 p<0.001의 기준을 충족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이 적합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satisfaction2'- “축구화를 접해 본(착용) 결과 기분이 좋았다.”의 p값
이 0.005, ‘satisfaction3'- “축구화를 접해 본(착용) 결과 전반적으로 즐거웠다.”의 p값이
0.032로 이 두 변수에 대한 p값들만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기 때문에 이 두 변수만
종속변수(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교차분석
위 표에서 보듯이 ‘접해 본(착용) 결과 기분이 좋았다’와 ‘접해 본(착용) 결과 전반적으로 즐거웠다.’에 긍정적일수록 재구매 의도 4.00 ~ 5.00부분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설3에 대한 검증결과 ‘구매만족도 중 착용 결과 기분이 좋음과 전반적으로 즐거움을 느낌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할 수 있다.
5. 마케팅적 시사점
디자인(외양) & 착용감에 유의한 구매만족도
디자인과 기능성을 추구하는 소비패턴
소비자들의 욕구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서 축구동호인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착용감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출시해야 할 것이다
6. 결론
가설 1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결정요인 중 축구화의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 이 두가지 요인만이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2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확률값이 기준값을 초과 -> 회귀선 모델로 적합 하지 않으므로 가설검증이 불가능)
가설 3 - 구매만족도는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만족도 중 '착용 결과 기분이 좋음'과 '전반적으로 즐거움을 느낌' 이 두가지 요인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구매만족도 변수는
(’satisfaction 2, 3, 4‘)로 결정.
3) 구매의도 신뢰도 분석
알파값이 0.953으로서 기준값 0.7보다 높게 나왔으므로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다른 변수를 제거해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구매의도 변수는 3가지(’purchase 1, 2, 3‘)로 결정.
4) 추천의도 신뢰도 분석
알파값이 0.963으로서 기준값 0.7보다 높게 나왔으므로 신뢰도는 높은 편이다. 다른
변수를 제거해도 더 이상 알파값이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분석 결과 추천의도 변수는
3가지(’recommendation 1, 2, 3‘)로 결정.
(3) 요인별 상관분석
1) 구매결정요인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choose1, 2, 3’간에는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고, ‘choose5'는 상관계수가 0.144고 유의확률이 0.19로 유의수준 0.01보다 큰 값이다. 그러므로 ’*‘표시를 얻어 상대적으로 낮은 유의한 상관이 있다.
2) 구매만족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3) 구매의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4) 추천의도 상관분석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간 높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4) 가설 검증
(1) 가설 1 <구매결정요인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4.728로 나와 ‘choose'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적은 편이고, 유
의 확률은 0.001이므로 p<0.05의 기준, 즉 0.05 유의수준에서 변수들간 차이가 있다는 것
을 충족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이 적합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choose3'- “축구화의 외양(디자인)은 중요하다.”의 p값이 0.011,
‘choose5'- “축구화의 착용 시 편안함은 중요하다.”의 p값이 0.039로 이 두 변수에 대
한 p값들만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기 때문에 이 두 변수만 종속변수(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교차분석
위 표에서 보듯이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을 중요시 할수록 구매만족도의 4.00
~ 5.00부분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설1에 대한 검
증결과 ‘구매결정요인 중 축구화의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이 구매만족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라고 할 수 있다.
(2) 가설 2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1.464로 나와 ‘choose'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적은 편이고, 유의
확률은 0.214이므로 유의기준 0.05값을 초과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
이 적합하지 못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한 p값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
에 종속변수(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가설2에 대한 검증결과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할 수 없다.
(3) 가설 3 <구매만족도는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1) 선형회귀분석
선형회귀분석 결과 F값이 37.752로 나와 ‘satisfaction' 변수간 평균의 차이는 조금 높
은 편이고, 유의 확률은 0.000이므로 p<0.001의 기준을 충족한다. 그러므로 변수간에
대한 회귀선의 모델이 적합하다.
선형회귀분석 결과 ‘satisfaction2'- “축구화를 접해 본(착용) 결과 기분이 좋았다.”의 p값
이 0.005, ‘satisfaction3'- “축구화를 접해 본(착용) 결과 전반적으로 즐거웠다.”의 p값이
0.032로 이 두 변수에 대한 p값들만이 p<0.05의 유의수준을 가지기 때문에 이 두 변수만
종속변수(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볼 수 있다.
다중공선성 판단 기준인 공차값(Tolerance)은 0.1보다 크고, 분산팽창요인(VIF)도 10보다
작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2) 교차분석
위 표에서 보듯이 ‘접해 본(착용) 결과 기분이 좋았다’와 ‘접해 본(착용) 결과 전반적으로 즐거웠다.’에 긍정적일수록 재구매 의도 4.00 ~ 5.00부분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설3에 대한 검증결과 ‘구매만족도 중 착용 결과 기분이 좋음과 전반적으로 즐거움을 느낌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고 할 수 있다.
5. 마케팅적 시사점
디자인(외양) & 착용감에 유의한 구매만족도
디자인과 기능성을 추구하는 소비패턴
소비자들의 욕구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서 축구동호인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우수한 착용감과 동시에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출시해야 할 것이다
6. 결론
가설 1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결정요인 중 축구화의 외양(디자인)과 착용 시 편안함 이 두가지 요인만이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가설 2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결정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확률값이 기준값을 초과 -> 회귀선 모델로 적합 하지 않으므로 가설검증이 불가능)
가설 3 - 구매만족도는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결과 -> 구매만족도 중 '착용 결과 기분이 좋음'과 '전반적으로 즐거움을 느낌' 이 두가지 요인이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