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7. 문학과 사회 (3) 옥상의 민들레꽃
1.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짜임
2. 작품의 적절성
3. 교과서 편집체재 분석
1.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짜임
2. 작품의 적절성
3. 교과서 편집체재 분석
본문내용
물질’보다 ‘정신적인 가치-사랑, 인정 등-’이 소중하다는 것을 스스로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3.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작품 속에 비춰진 사회의 모습과 관련지어 답해 보자.
작품의 주제와 사회의 모습을 관련짓는 중요한 질문이다. ‘인간적인 가치와 정을 회복하자.’라는 주제를 통해 인간적인 가치와 정이 사라지고 물질 만능주의의 시대 모습을 찾아내어 비판할 수 있다.또한, 학생들이 그러한 사회의 모습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의 모습도 작품 속에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추가 질문>
4. 요즘 TV나 신문에서 많이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읽기 전에’에서 언급했던 질문으로 이런 질문을 통해 학생들에게 시대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더 확장된 활동으로는 그러한 기사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한 편의 글을 써보게 한다든가, 그 기사 속에 나타난 사회의 모습을 이야기하게 하는 활동도 좋을 것이다.
(5) 적용 학습
1. ‘나’에게는 민들레꽃이 희망의 상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 속의 민들레꽃처럼 힘들고 괴로울 때, 나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존재가 있다면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자.
자신의 경험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질문이다. 학생들의 대답은 ‘친구’, ‘가족’ 등으로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가치가 우선하는데, 이러한 대답을 통해 교사는 주제와 관련된 언급을 할 수 있다.
2. 우리 사회에는 ‘궁전 아파트’에서 일어난 일과 같이 가슴 아픈 이야기도 있지만, 반대로 마음을 따뜻하게 하고 사람 사는 맛을 느끼게 하는 이야기도 많다. 신문이나 잡지, 또는 우리 주변에서 따뜻한 이야기를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학생들에게 사회의 좋은 면을 찾아보게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역할을 하도록 강조하면 좋을 것이다. 아니면, 한 작품을 주고 그 작품에 반영된 사회상을 찾아보게 하는 활동도 좋을 것이다.
2. ‘심청전’에 나타나 있는 사회의 모습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작품을 통해 그 당시 작품이 창작되던 때의 시대상을 이야기하게 하는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문학의 사회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잘 알고 있는 작품 속에도 시대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음을 깨닫게 됨으로써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가질 수있을 것이다.
3.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독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이 작품 속에 비춰진 사회의 모습과 관련지어 답해 보자.
작품의 주제와 사회의 모습을 관련짓는 중요한 질문이다. ‘인간적인 가치와 정을 회복하자.’라는 주제를 통해 인간적인 가치와 정이 사라지고 물질 만능주의의 시대 모습을 찾아내어 비판할 수 있다.또한, 학생들이 그러한 사회의 모습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대의 모습도 작품 속에 반영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추가 질문>
4. 요즘 TV나 신문에서 많이 이야기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읽기 전에’에서 언급했던 질문으로 이런 질문을 통해 학생들에게 시대의 모습을 돌아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더 확장된 활동으로는 그러한 기사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한 편의 글을 써보게 한다든가, 그 기사 속에 나타난 사회의 모습을 이야기하게 하는 활동도 좋을 것이다.
(5) 적용 학습
1. ‘나’에게는 민들레꽃이 희망의 상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 속의 민들레꽃처럼 힘들고 괴로울 때, 나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는 존재가 있다면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자.
자신의 경험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질문이다. 학생들의 대답은 ‘친구’, ‘가족’ 등으로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인 가치가 우선하는데, 이러한 대답을 통해 교사는 주제와 관련된 언급을 할 수 있다.
2. 우리 사회에는 ‘궁전 아파트’에서 일어난 일과 같이 가슴 아픈 이야기도 있지만, 반대로 마음을 따뜻하게 하고 사람 사는 맛을 느끼게 하는 이야기도 많다. 신문이나 잡지, 또는 우리 주변에서 따뜻한 이야기를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학생들에게 사회의 좋은 면을 찾아보게 하는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역할을 하도록 강조하면 좋을 것이다. 아니면, 한 작품을 주고 그 작품에 반영된 사회상을 찾아보게 하는 활동도 좋을 것이다.
2. ‘심청전’에 나타나 있는 사회의 모습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작품을 통해 그 당시 작품이 창작되던 때의 시대상을 이야기하게 하는 활동으로 학생들에게 ‘문학의 사회성’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잘 알고 있는 작품 속에도 시대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음을 깨닫게 됨으로써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가질 수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