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2. 응시
3. 응시 개념의 변화
4. 담론, 응시, 타자
5. 권력/지식 그리고 원형감옥론
6. 응시와 이국성
2. 응시
3. 응시 개념의 변화
4. 담론, 응시, 타자
5. 권력/지식 그리고 원형감옥론
6. 응시와 이국성
본문내용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정신분석학이론: 관객성 이론
- 여기에서의 관객은 특정한 개인이나 실제 관객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인종적, 젠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상적인 관객을 의미.
- 이미지를 바라볼 때 무의식, 욕망, 환상 등의 정신적 역할을 강조하여 보편화하기 위해 관객에 대해 이러한 설정을 하는 것.
❖ 관객성의 구축
- 영화적 장치와 주어진 상황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이상적인 주체(관객)의 위치 설정이 이루어짐.
영화적 장치란, 어두컴컴한 극장, 영사기, 필름, 사운드 시스템 등으로 규정되는 사회 공간.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영화를 통해 관객성이 구성되는 과정
-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 허구의 세계에 대한 불신을 잠시 보류한 채 영화 속 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할 뿐 아니라 영화의 전반적인 이데올로기 자체에도 동질감을 느낀다. 영화의 화법과 시점, 환상적 구조에 몰입하면서 무의식적 동일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 무의식: 인간은 일상적 삶에서 사회적 기능을 감당하기 위해 다양한 욕망, 두려움, 기억, 환상 등을 억누르게 되지만, 의식 저변에는 여전히 이성이라는 논리적 사고로 도달할 수 없는 역동적인 욕망인 무의식이 자리.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정신분석학의 자아발달이론
- 주체는 이데올로기, 언어, 표현체계를 통해 인간이 개체성을 구축하는 과정.
- 자아의 발달 단계에서 18개월부터 유아는 자아의 기본 틀을 형성하여 주변의 존재(어머니)로부터 스스로를 분리.
- 거울단계에서 유아는 거울을 바라봄으로써 전체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시작. 거울 이미지를 자신이자 자신과 다른 그 무엇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제하고 장악하는 능력에 대한 환상
- 주변세계를 통제할 잠재력을 가진 자율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 곧 자아로서의 의식을 갖는 것.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거울단계에서의 소외
- 거울 단계에서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물리적 통제력과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므로 소외의 기초가 마련.
❖ 영화 관람과 소외
- 관객들은 아이가 거울을 보듯 스크린을 보며 일시적인 자아의 상실을 경험.
- 관객들은 스크린에 비춰진 이미지를 소유하는 듯한 환상을 품게 되고 이를 통해 자아를 형성.
╋━━━━━━━━━━─────────
❖ 정신분석학이론: 관객성 이론
- 여기에서의 관객은 특정한 개인이나 실제 관객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인종적, 젠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상적인 관객을 의미.
- 이미지를 바라볼 때 무의식, 욕망, 환상 등의 정신적 역할을 강조하여 보편화하기 위해 관객에 대해 이러한 설정을 하는 것.
❖ 관객성의 구축
- 영화적 장치와 주어진 상황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이상적인 주체(관객)의 위치 설정이 이루어짐.
영화적 장치란, 어두컴컴한 극장, 영사기, 필름, 사운드 시스템 등으로 규정되는 사회 공간.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영화를 통해 관객성이 구성되는 과정
-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 허구의 세계에 대한 불신을 잠시 보류한 채 영화 속 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할 뿐 아니라 영화의 전반적인 이데올로기 자체에도 동질감을 느낀다. 영화의 화법과 시점, 환상적 구조에 몰입하면서 무의식적 동일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 무의식: 인간은 일상적 삶에서 사회적 기능을 감당하기 위해 다양한 욕망, 두려움, 기억, 환상 등을 억누르게 되지만, 의식 저변에는 여전히 이성이라는 논리적 사고로 도달할 수 없는 역동적인 욕망인 무의식이 자리.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정신분석학의 자아발달이론
- 주체는 이데올로기, 언어, 표현체계를 통해 인간이 개체성을 구축하는 과정.
- 자아의 발달 단계에서 18개월부터 유아는 자아의 기본 틀을 형성하여 주변의 존재(어머니)로부터 스스로를 분리.
- 거울단계에서 유아는 거울을 바라봄으로써 전체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시작. 거울 이미지를 자신이자 자신과 다른 그 무엇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제하고 장악하는 능력에 대한 환상
- 주변세계를 통제할 잠재력을 가진 자율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 곧 자아로서의 의식을 갖는 것.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거울단계에서의 소외
- 거울 단계에서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물리적 통제력과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므로 소외의 기초가 마련.
❖ 영화 관람과 소외
- 관객들은 아이가 거울을 보듯 스크린을 보며 일시적인 자아의 상실을 경험.
- 관객들은 스크린에 비춰진 이미지를 소유하는 듯한 환상을 품게 되고 이를 통해 자아를 형성.
추천자료
디지털 시대 청소년 목회 - 이미지와 시뮬레이션, 네트워크 성경교육을 위하여
대중매체에 보여지는 간호사의 이미지(A+레포트)
[여성학]왜곡된 여성의 성적 이미지의 다양한 실례와 그 원인 및 문제점 (고급 분석 레포트)
대중매체 속에 반영된 여성과 남성의 이미지
태국인의 한국문화 접촉과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설문
[사회과학] 이미지와 환상 감상문; '환상 속의 그대 눈을 떠라'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의 정치 이미지 전략.
C++ 프로그래밍을 통한 이미지의 암호화 방법 - 비트플레인 사용 (스테가노그라피)
(인강)이미지관리와 커뮤니케이션-시험대비완벽정리
[여성학]대중매체에 그려지는 성의 이미지 분석 및 성상품화 현상 사례
스포츠 스타의 개념 및 이미지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인덱싱,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이미지특징, 인터넷 정보검색효율과 T...
포지셔닝에 대해 논하시오 (전략적 이미지 포지셔닝 정의와 사례, 전략적 품질 포지셔닝 정의...
[광고기획서] 강원랜드 건전이미지 확립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