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이용자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응시, 응시 개념의 변화, 담론, 응시, 타자, 권력/지식 그리고 원형감옥론, 응시와 이국성).ppt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디어 이용자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응시, 응시 개념의 변화, 담론, 응시, 타자, 권력/지식 그리고 원형감옥론, 응시와 이국성).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2. 응시
3. 응시 개념의 변화
4. 담론, 응시, 타자
5. 권력/지식 그리고 원형감옥론
6. 응시와 이국성

본문내용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정신분석학이론: 관객성 이론
 - 여기에서의 관객은 특정한 개인이나 실제 관객들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인종적, 젠더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상적인 관객을 의미.

 - 이미지를 바라볼 때 무의식, 욕망, 환상 등의 정신적 역할을 강조하여 보편화하기 위해 관객에 대해 이러한 설정을 하는 것.

❖ 관객성의 구축
 - 영화적 장치와 주어진 상황 속에서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이상적인 주체(관객)의 위치 설정이 이루어짐.
  영화적 장치란, 어두컴컴한 극장, 영사기, 필름, 사운드 시스템 등으로 규정되는 사회 공간.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영화를 통해 관객성이 구성되는 과정

 - 영화를 보는 사람들은 허구의 세계에 대한 불신을 잠시 보류한 채 영화 속 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할 뿐 아니라 영화의 전반적인 이데올로기 자체에도 동질감을 느낀다. 영화의 화법과 시점, 환상적 구조에 몰입하면서 무의식적 동일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 무의식: 인간은 일상적 삶에서 사회적 기능을 감당하기 위해 다양한 욕망, 두려움, 기억, 환상 등을 억누르게 되지만, 의식 저변에는 여전히 이성이라는 논리적 사고로 도달할 수 없는 역동적인 욕망인 무의식이 자리.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정신분석학의 자아발달이론

 - 주체는 이데올로기, 언어, 표현체계를 통해 인간이 개체성을 구축하는 과정.

 - 자아의 발달 단계에서 18개월부터 유아는 자아의 기본 틀을 형성하여 주변의 존재(어머니)로부터 스스로를 분리.

 - 거울단계에서 유아는 거울을 바라봄으로써 전체로서의 자아를 확립하기 시작. 거울 이미지를 자신이자 자신과 다른 그 무엇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제하고 장악하는 능력에 대한 환상

 - 주변세계를 통제할 잠재력을 가진 자율적 존재로 인식하는 것이 곧 자아로서의 의식을 갖는 것.




1. 이미지의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

❖ 거울단계에서의 소외

 - 거울 단계에서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물리적 통제력과 통제할 수 있다는 환상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므로 소외의 기초가 마련.

❖ 영화 관람과 소외

 - 관객들은 아이가 거울을 보듯 스크린을 보며 일시적인 자아의 상실을 경험.

 - 관객들은 스크린에 비춰진 이미지를 소유하는 듯한 환상을 품게 되고 이를 통해 자아를 형성.
  • 가격2,8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5.02.17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56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