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장애세미나] 제06장 음성과 발화자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성장애세미나] 제06장 음성과 발화자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6장 음성과 발화자의 관계

1. 성과 연령
1) 여성 발화
2) 어린이 발화
3) 음성에서의 연령 효과

2. 화자 확인, 구분, 그리고 제거

3. 사회언어학적 문제: 지역방언과 외국인 액센트 연구

4. 발화 장애
1) 음성 장애
2) 코인두 비반응(과대비음성)
3) 농아 및 중증 청각 장애인의 발화
4) 구음장애
5) 어린이 음운 장애
6) 발화에서의 변화기록

5. 정신병 장애

6. 음향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확장

본문내용

제한적이 될 수 있음
4. 발화 장애
- 일부 발화 장애인은 매우 다양한 발화 및 조음 작용을 보이기 때문에, 분석 매개변수는 연속음에는 적당하지 않음
- 음성의 발성과 조음 특징에서의 급격한 변이는 농아나 구음장애 환자에게 특히 자주 발생
1) 음성 장애
- 음성 분석에서 어떤 음향 측정이 적합한지 불확실
- 음향 측정 기법은 많고, 다양한 연산방식으로 입력됨
- 흔히 사용되는 측정방법 [그림 6-11]
피치변이(jitter)
배음대 소음 비율
f0 통계수치
진폭변이(shimmer)
스펙트럼 기울기
2) 코인두 비반응(과대비음성)
- 갑작스런 비음화는 많은 발화 장애 중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것임
- 비음화는 음성 신호의 음향 분석으로 파악할 수 있음
중증 코인두 비반응을 보이는 화자는 전체 신호가 상당한 정도의 감폭과 앤티포만트에 의해 영향을 받음
중증 비음화 음성 신호는 부분 구성 요소 사이에 대단히 약화된 음향 대조를 보임 [그림 6-12]
- 비음화의 음향 관계가 다양하고 음향 신호에 대한 잠재적인 효과가 복잡하기 때문에 음향 기록 해석을 어려울 수 있음
다음에 나타난 비음화 관련 현상은 비음화 모음의 스펙트로그램에 나타날 수 있음
1. 포만트 대역폭이 증가하였고, 따라서 포만트 에너지가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2. 전반적인 에너지 모음이 감소하였다(비-비음화 모음과 비교하면)
3. 성인 남성의 중심주파수가 약250~500Hz를 지닌 저-주파수 비음 포만트 도입
4. F1 주파수의 미세한 증가와 F2, F3 주파수의 미세한 감소
5. 하나나 그이상의 앤티포만트 출현
- 비음화는 복잡한 일련의 음향 특징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만약 유형이 비음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스펙트로그램 같은 특정 분석은 항상 명백하게 구현되지 못함
3) 농아 및 중증 청각 장애인의 발화
- 농아, 중증 청각 장애를 지닌 화자들은 개인 간 다양 [그림 6-13, 6-14, 6-15]
4) 구음장애
- 대다수 음성 장애인들에게 음성 분절 사이의 음향 대조는 사라짐
파킨슨병과 관련된 구음장애(신경 음성 장애): 단기간 속도 혹은 가속화 유형으로 발음되는 구음장애 [그림 6-16, 6-17]
- 음향 분석은 시간 조절과 연속성을 저해하는 음성 장애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어휘 신경장애(verbal apraxia): 발성 운동의 연속성과 프로그램화하는 과정에서 장애 → 음성은 느려지고, 단발적이며, 다양해짐 [그림 6-19]
- Azou 등(2000): VOT는 음성 신경 장애, 구음장애, 실어증 연구에 유용 [그림 6-20]
- 어린이들에 대한 관련 음성 장애가 종종 발달 어휘 장애(developmental verbal apraxia)로 명명
음성적인 정확성과 정상 속도로 음을 만들어내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짐
완만함, 중단성, 다양성등의 특징이 기다란 전 구간과 분절 구간(느린 발화 속도), 길고 다양한 중지(간헐적, 중단된 발화), 두 발화 사이의 비일관성(다양성)등에 의하여 음향적으로 구현되고 있음 → 비슷한 특징이 성인 음성 신경장애에서 나타남 [그림 6-21]
5) 어린이 음운 장애
- 어린이 음운 장애는 흔하게 일어나고 종종 음성 치료를 요함
- 가장 흔한 유형은 마지막 자음 탈락(단어나 음절의 마지막 자음을 생략)
- 자음 탈락의 결과 복수형으로 /s/나 /z/를 덧붙여야 하는 단어의 단수형과 복수형을 구분할 수 없음
6) 발화에서의 변화기록
- 음향 분석은 음성 발성의 특정 자질을 수량화하도록 함 ex)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그림 6-22]
- 스펙트로그래프는 음성 장애에 대하여 객관적인 검사를 가능하도록 함
- 스펙트로그래프의 문제점: 사용자에게 상당한 분석 업무량 [그림 6-23]
5. 정신병 장애
- 일부 정신 장애는 음향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을 포함한 음성 언어의 변별적인 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맺음
Louth(1998): 정신 질환자는 더 조용하게 말하고 중성단어와 공격 단어를 구분하지 않음
France 등(2000): 정신박약, 우울증, 높은 자살 위험률을 지닌 개인의 음성 음향 분석을 보고
6. 음향 음성 데이터베이스의 확장
- 유아, 어린이, 여성, 다양한 지역 방언을 가진 화자들, 다양한 발화와 음성장애를 지닌 개인들에 대하 자료가 수집되고 있음 → 다양한 화자 집단에 적용하기 위하여 음성 음향 분석, 자동 음성 인식, 음성 합성과 음성 기술 발달에 매우 중요
- 음성 표본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것이 유용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2.21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8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