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기압과 저기압
1. 고기압
2. 고기압의 종류
① 온난고기압
② 한랭고기압
3. 저기압
4. 저기압 종류
① 온대저기압
② 열대저기압
1. 고기압
2. 고기압의 종류
① 온난고기압
② 한랭고기압
3. 저기압
4. 저기압 종류
① 온대저기압
② 열대저기압
본문내용
발생지역에 따라 북태평양 서부에서는 태풍, 남인도양에서는 윌리윌리, 벵골만 · 아라비아해에서는 사이클론, 대서양과 북태평양 동부에서는 허리케인 등으로 불린다. 극동지방에서는 열대저기압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17㎧를 넘게 되면 태풍이라고 하며 태풍의 중심 부분에는 반지름 15∼50㎞ 정도의 하강기류가 있는 원형지역이 나타나는데, 이를 태풍의 눈이라고 한다. 평균적인 태풍의 크기는 300∼600㎞로 보는데, 때로는 중심에서 800㎞ 떨어진 곳에서 강풍이 나타나기도 한다. 열대저기압 중 허리케인이 단일 재해요인으로서 가장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태풍은 그 발생지·통과중심지·발생순 등으로 이름을 붙이며, 한국에는 주로 7∼9월에 나타나 때때로 해양사고, 폭풍우로 인한 풍수해를 일으킨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