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단진자 운동>
6. 분석 및 토의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단진자 운동>
6. 분석 및 토의
본문내용
0.7m
1.6851
9.7222
0.79%
6. 분석 및 토의
이번 실험에 있어서의 오차는 거의 없었고 이론 값 과도 거의 같은 수치가 나온 정확도가 높은 실험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론 값 과는 정확히 일치할 수는 없었다. 먼저 이렇게 오차가 날 수 있었던 이유에는 공기 저항이 있다. 비록 적은 움직임을 관찰하는 실험이지만 그 사이에 작용하는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각도기의 위치이다. 테이프로 고정을 시켜서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는 있었지만, 완벽하게 중심에 각도기를 놓고 각도를 놓을 수 없었다. 그로 인해서 아주 정확한 각도에서 실험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사람이 눈으로 각도를 맞춘 부분도 한 몫을 하였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진자를 놓을 때의 진동이다. 진자를 놓을 때는 진자가 아무런 진동이 없이 곧바르게 떨어져서 진자운동을 해야하지만 손에서 진자를 놓을 때마다 약간의 진동이 존재했었다. 이렇게 4가지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만한 이유들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차가 이 정도로 적고 정확한 실험을 했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 앞으로도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1.6851
9.7222
0.79%
6. 분석 및 토의
이번 실험에 있어서의 오차는 거의 없었고 이론 값 과도 거의 같은 수치가 나온 정확도가 높은 실험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이론 값 과는 정확히 일치할 수는 없었다. 먼저 이렇게 오차가 날 수 있었던 이유에는 공기 저항이 있다. 비록 적은 움직임을 관찰하는 실험이지만 그 사이에 작용하는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각도기의 위치이다. 테이프로 고정을 시켜서 오차를 최대한으로 줄일 수는 있었지만, 완벽하게 중심에 각도기를 놓고 각도를 놓을 수 없었다. 그로 인해서 아주 정확한 각도에서 실험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사람이 눈으로 각도를 맞춘 부분도 한 몫을 하였을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진자를 놓을 때의 진동이다. 진자를 놓을 때는 진자가 아무런 진동이 없이 곧바르게 떨어져서 진자운동을 해야하지만 손에서 진자를 놓을 때마다 약간의 진동이 존재했었다. 이렇게 4가지 정도의 오차가 발생할 만한 이유들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차가 이 정도로 적고 정확한 실험을 했다는 것에 뿌듯함을 느낀다. 앞으로도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강체의 단진동 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Ⅱ] 17장. 전자측정연습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0장.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5장. 교류회로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30장. 조화파의 합성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34장. 이중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역학적에너지의 보존
일반물리학실험 결과레포트 - 2차원충돌
일반물리학실험 [물리실험]위상가변수면파실험 결과리포트
[일반물리학실험] 역학적 에너지 보존
일반물리학실험 - 관성 모멘트
일반물리학실험 - 힘의 평형
일반물리학실험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일반물리학실험] 19 전자측정연습 : 기본 전자 측정 장비인 오실로스코프, 함수 발생기, 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