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 호르몬
2. 여성 성호르몬
3. 월경 주기와 호르몬 활동
4. 남성 성호르몬
5. 정자의 형성과 호르몬 활동
6. 참고 자료
2. 여성 성호르몬
3. 월경 주기와 호르몬 활동
4. 남성 성호르몬
5. 정자의 형성과 호르몬 활동
6. 참고 자료
본문내용
때 첨체과립이 정자세포의 핵표면에 확산된다. 이 과정에 의해 핵 전방부의 3분의 2는 엷은 이중 막으로 싸이게 된다. 한편 두 개의 중심립이 첨체과립의 반대쪽 핵막에 접근한다. 이중 근위 중심립(proximal centrioles)은 핵막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이에 직교하여 원위 중심립이 접근하는데 이 원위 중심립에서 정자의 미부를 형성하게 될 축사가 발생한다.
첨체기
정자세포는 방향을 전환하여 첨체를 세정관의 기저막에 향하게 된다. 핵은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이동하며, 염색질은 농축하여 과립을 형성하고, 구형이던 핵은 길어지고 편평해진다. 이러한 핵형의 변화에 따라 핵과 밀착하고 있는 첨체도 농축되고 길어진다. 핵의 형태가 변할 때 세포질은 핵의 뒤쪽으로 이동하여 발달 중인 미부의 근위부를 감싼다. 한편 두 개의 중심립은 핵의 뒤쪽에서 앞뒤로 자리잡아 전후 중심립 (anterior and posterior centriole)이 된다. 후중심립에서 축사가 발달하여 뒤쪽으로 뻗어가며 종륜 중심소체 (end-ring centrosome)를 형성한다. 정자세포의 세포질 내에 분산되어 있던 미토콘드리아는 축사 주변에 집결하여 전후 중심립 사이에 미토콘드리아초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성숙기
염색질 과립은 점차 농축되어, 결국 정자핵은 이 균일한 염색질로 충만하게 된다. 이 기간 중 9본의 조대섬유를 내포하고 있는 섬유초가 종부 직전까지 축사 주변을 둘러싼다. 종륜은 핵 주변에서 중편부와 주부의 경계선까지 이동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중편 부 주변에 배열하여 치밀한 미토콘드리아초를 형성한다. 정자 완성과정의 후기에는 수피상판이 소실되며, 정자 형성과정에서 남겨진 세포질은 타원형의 소엽(spheroidal lobule)을 형성하며, 이들 소엽은 가는 실 모양과 세포 간교(intercellular bridg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잔류체가 형성되면 정자세표는 최종성숙단계를 거쳐 정자로서 곡세정관 강으로 유리되며, 잔류체는 세르톨리세포에 의해 소화된다.
정자 형성과 내분비
성 성숙 동안 정자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난포자극호르몬(FSH)와 웅성호르몬(testosterone)이 요구된다. 즉, 정자 형성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간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웅성호르몬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정자의 형성은 난포자극호르몬(FSH)과 웅성호르몬(testosterone)에 의해 개시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포자극호르몬은 정소 곡세정관 내 세르톨리세포의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세포 내 cAMP 농도를 증가시킨다. CAMP는 단백질활성효소(protein kinase)의 활성을 자극하며 계속된 단백질의 인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androgen binding protein, ABP) mRNA의 생산을 자극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은 곡세정관 강(lumen)으로 분비된다.
한편 정소 간질세포자극호르몬(intersititial cell stimulating hormone, ICS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ng hormone, LH)은 간질세포에 작용하여 Camp의 생산을 통하여 웅성호르몬의 생산을 유도한다. 웅성호르몬은 간질세포로부터 능동적 수송 또는 확산에 의해 방출되어 일부는 순환계로, 일부는 곡세정관 낸 세르톨리세포로 이행한다.
세르톨리세포로 유입된 웅성호르몬은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과 결합하고, 웅성호르몬이 결합된 단백질(T-ABP)은 웅성호르몬 의존성 정자세포의 성숙을 위하여 웅성호르몬이 정자세포에 근접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웅성호르몬은 5a-reductase에 의해 de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변되어 웅성호르몬 결합단백질과 결합한다.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은 세르톨리세포 내에 웅성호르몬을 축적할 뿐만 아니라 분비소포를 통하여 세포 외로 방출(vesicular exocytosis)되어 곡세정관 강으로 이행된다. 곡세정관 강에서 ABP는 정소상체로 웅성호르몬을 수송한다. 정자는 정소상체 두부와 체부를 지나면서 수정능과 운동능을 획득하게 되는데, 웅성호르몬은 이러한 정자의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6. 참고 자료
포유동물 생식세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임경순(2001)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하재청(1997)
인체생리학 청구문화사 정경아(200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단어 정의 참고
신경향 성의 과학 월드사이언스 추영국(2008)
첨체기
정자세포는 방향을 전환하여 첨체를 세정관의 기저막에 향하게 된다. 핵은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이동하며, 염색질은 농축하여 과립을 형성하고, 구형이던 핵은 길어지고 편평해진다. 이러한 핵형의 변화에 따라 핵과 밀착하고 있는 첨체도 농축되고 길어진다. 핵의 형태가 변할 때 세포질은 핵의 뒤쪽으로 이동하여 발달 중인 미부의 근위부를 감싼다. 한편 두 개의 중심립은 핵의 뒤쪽에서 앞뒤로 자리잡아 전후 중심립 (anterior and posterior centriole)이 된다. 후중심립에서 축사가 발달하여 뒤쪽으로 뻗어가며 종륜 중심소체 (end-ring centrosome)를 형성한다. 정자세포의 세포질 내에 분산되어 있던 미토콘드리아는 축사 주변에 집결하여 전후 중심립 사이에 미토콘드리아초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성숙기
염색질 과립은 점차 농축되어, 결국 정자핵은 이 균일한 염색질로 충만하게 된다. 이 기간 중 9본의 조대섬유를 내포하고 있는 섬유초가 종부 직전까지 축사 주변을 둘러싼다. 종륜은 핵 주변에서 중편부와 주부의 경계선까지 이동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중편 부 주변에 배열하여 치밀한 미토콘드리아초를 형성한다. 정자 완성과정의 후기에는 수피상판이 소실되며, 정자 형성과정에서 남겨진 세포질은 타원형의 소엽(spheroidal lobule)을 형성하며, 이들 소엽은 가는 실 모양과 세포 간교(intercellular bridge)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잔류체가 형성되면 정자세표는 최종성숙단계를 거쳐 정자로서 곡세정관 강으로 유리되며, 잔류체는 세르톨리세포에 의해 소화된다.
정자 형성과 내분비
성 성숙 동안 정자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난포자극호르몬(FSH)와 웅성호르몬(testosterone)이 요구된다. 즉, 정자 형성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간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웅성호르몬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정자의 형성은 난포자극호르몬(FSH)과 웅성호르몬(testosterone)에 의해 개시되고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포자극호르몬은 정소 곡세정관 내 세르톨리세포의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함으로써 세포 내 cAMP 농도를 증가시킨다. CAMP는 단백질활성효소(protein kinase)의 활성을 자극하며 계속된 단백질의 인산화 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 기능을 가진 단백질이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androgen binding protein, ABP) mRNA의 생산을 자극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은 곡세정관 강(lumen)으로 분비된다.
한편 정소 간질세포자극호르몬(intersititial cell stimulating hormone, ICSH: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ng hormone, LH)은 간질세포에 작용하여 Camp의 생산을 통하여 웅성호르몬의 생산을 유도한다. 웅성호르몬은 간질세포로부터 능동적 수송 또는 확산에 의해 방출되어 일부는 순환계로, 일부는 곡세정관 낸 세르톨리세포로 이행한다.
세르톨리세포로 유입된 웅성호르몬은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과 결합하고, 웅성호르몬이 결합된 단백질(T-ABP)은 웅성호르몬 의존성 정자세포의 성숙을 위하여 웅성호르몬이 정자세포에 근접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웅성호르몬은 5a-reductase에 의해 de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변되어 웅성호르몬 결합단백질과 결합한다. 웅성호르몬결합단백질은 세르톨리세포 내에 웅성호르몬을 축적할 뿐만 아니라 분비소포를 통하여 세포 외로 방출(vesicular exocytosis)되어 곡세정관 강으로 이행된다. 곡세정관 강에서 ABP는 정소상체로 웅성호르몬을 수송한다. 정자는 정소상체 두부와 체부를 지나면서 수정능과 운동능을 획득하게 되는데, 웅성호르몬은 이러한 정자의 성숙에 영향을 미친다.
6. 참고 자료
포유동물 생식세포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임경순(2001)
성의 과학 아카데미서적 하재청(1997)
인체생리학 청구문화사 정경아(2007)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단어 정의 참고
신경향 성의 과학 월드사이언스 추영국(2008)
추천자료
성의 이해
성의 사회화
성의 계약을 읽고..
성의 철학
성의사회적 구성
성의 문화사를 읽고
성의 사회학
성의 이해 시험 완전 공략
성의 주체와 객체성-강간죄의 객체 논의를 중심으로
성의 개념과 남녀 성차의 원인 및 성역할 사회화와 콤플렉스
[성의 의미] 성의 어원과 특성 및 성욕의 이해와 원인
[성][성의 개념][성의 개념적 이해][성의 역사][성의 인식과정][성과 사랑][성에 대한 올바른...
[성, 사랑舍廊, 사회 B형] 일상 속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차별에는 어떤 것이 있고, 이러...
[성 사랑 사회 A형] 젊음과 아름다움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사회 속에서 나이든(나이 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