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문화를 보는 여러 시각
1) 비판론
2) 옹호론
2. 대중문화를 새롭게 읽기
1) 상투성
2) 이분법적 패러다임
3) 현실과 텍스트
4) 통속성
5) 텍스트의 심층적, 구조적 분석
6) 미시적 권력과 이데올로기 읽기
7) 뒤집기와 아우름의 읽기와 미학
3. 나의 생각
1) 비판론
2) 옹호론
2. 대중문화를 새롭게 읽기
1) 상투성
2) 이분법적 패러다임
3) 현실과 텍스트
4) 통속성
5) 텍스트의 심층적, 구조적 분석
6) 미시적 권력과 이데올로기 읽기
7) 뒤집기와 아우름의 읽기와 미학
3. 나의 생각
본문내용
점점 자신에게서 소외된다. 또 한편에서는 철저한 배제와 폭력이 감행된다. 이 광고는 환상일 뿐이기 때문이다. 이런 광고가 통용되는 사회란 대중을 끊임없이 과잉소비로 이끌고 이 능력을 상실하였다고 판단한 순간 이들을 개인파산자와 범죄자로 몰아 철저히 배제하고서 유지되는 파옵티콘이다.
6) 미시적 권력과 이데올로기 읽기
일상에서 행해지는 짧은 대화 안에도 권력이 비늘처럼 겹쳐 있다. 인간은 나이, 학력, 성별, 사회적 위상, 자본의 소유 정도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에 대해 끊임없이 권력을 형성하고 이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데올로기를 만든다. 권력이 강제되는 한편 권력이 있는 곳에는 또 항상 저항과 투쟁이 있다.
7) 뒤집기와 아우름의 읽기와 미학
수용자가 텍스트를 한번 읽어서 드러나는 대로 문법적이고 사전적인 지식만을 이용하여 사전적 의미만을 파악하여 축어적으로 읽을 경우 텍스트의 약호들은 지시적 의미대로 해독된다. 수용자가 이와 달리 문법적 지식과 언어적 지식을 종합하여 앞 뒤 문맥을 살펴 좀더 노력이 깃들이 해독을 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지시적 의미를 넘어서서 문맥적 의미를 드러낸다. 이와 달리 수용자가 은유와 환유, 상징 등 모든 약호를 해독하는 원리를 동원하여 텍스트를 정밀하게 읽기를 하여 텍스트에 제시된 약호들을 사전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시적으로 해독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표현적 의미를 드러낸다. 주체의 마음과 기억, 전의식 속에 담고 있는 텍스트, 무의식 속에 있는 원형과 상징체계가 활발하게 해독에 관여한다. 시적 의미를 발생시키고 낯설게 한 의미가 끊임없이 생성되는 것은 이 단계이다.
가장 적극적인 독자는 텍스트를 다시 쓰는 자이다. 텍스트는 드러내는 만큼 의미를 감춘다. 텍스트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수신자를 향하면서 담론으로 변하고 담론은 이데올로기를 품는다. 다시쓰기는 텍스트를 단순히 변경할 뿐만이 아니라 텍스트의 신화에 조작되던 대상이 주체로 서서 세계를 다시 구성하는 것이다. 이제 대중문화 읽기는 다시쓰기를 포함하는 읽기여야 한다. 그럴 때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이 수동적으로 조작되는 우중에서 자신의 지향성대로 텍스트를 해석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다.
3. 나의 생각
대중문화를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데에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가 매일 접하지만 정말 거부감이 드는 대중문화와 호감이 가는 대중문화가 있다. 대중문화가 우리에게 별로 영향을 주는 것 같지 않아도 우리의 모든 것이 바로 대중문화인 것이다. 좋지 않아 보이는 대중문화도 분명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내가 거부감이 드는 대중문화가 있더라도 그것의 존재이유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중문화라는 것은 너무나도 범주가 크기 때문에 그것 하나하나도 사람들 마다 생각하고 받아들이기 나름일 것이다. 자기 스스로 이성적으로 옳고 그름을 자각하여 대중문화의 좋은 점을 알고 발전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그리고 잘못된 점에 대한 비판도 서슴없이 하여 우리의 대중문화를 더욱 발전시켜 나갔으면 한다.
6) 미시적 권력과 이데올로기 읽기
일상에서 행해지는 짧은 대화 안에도 권력이 비늘처럼 겹쳐 있다. 인간은 나이, 학력, 성별, 사회적 위상, 자본의 소유 정도 등을 이용하여 상대방에 대해 끊임없이 권력을 형성하고 이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데올로기를 만든다. 권력이 강제되는 한편 권력이 있는 곳에는 또 항상 저항과 투쟁이 있다.
7) 뒤집기와 아우름의 읽기와 미학
수용자가 텍스트를 한번 읽어서 드러나는 대로 문법적이고 사전적인 지식만을 이용하여 사전적 의미만을 파악하여 축어적으로 읽을 경우 텍스트의 약호들은 지시적 의미대로 해독된다. 수용자가 이와 달리 문법적 지식과 언어적 지식을 종합하여 앞 뒤 문맥을 살펴 좀더 노력이 깃들이 해독을 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지시적 의미를 넘어서서 문맥적 의미를 드러낸다. 이와 달리 수용자가 은유와 환유, 상징 등 모든 약호를 해독하는 원리를 동원하여 텍스트를 정밀하게 읽기를 하여 텍스트에 제시된 약호들을 사전적인 의미를 넘어서서 시적으로 해독하려 할 경우 텍스트는 표현적 의미를 드러낸다. 주체의 마음과 기억, 전의식 속에 담고 있는 텍스트, 무의식 속에 있는 원형과 상징체계가 활발하게 해독에 관여한다. 시적 의미를 발생시키고 낯설게 한 의미가 끊임없이 생성되는 것은 이 단계이다.
가장 적극적인 독자는 텍스트를 다시 쓰는 자이다. 텍스트는 드러내는 만큼 의미를 감춘다. 텍스트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수신자를 향하면서 담론으로 변하고 담론은 이데올로기를 품는다. 다시쓰기는 텍스트를 단순히 변경할 뿐만이 아니라 텍스트의 신화에 조작되던 대상이 주체로 서서 세계를 다시 구성하는 것이다. 이제 대중문화 읽기는 다시쓰기를 포함하는 읽기여야 한다. 그럴 때 대중문화를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중이 수동적으로 조작되는 우중에서 자신의 지향성대로 텍스트를 해석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다.
3. 나의 생각
대중문화를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데에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우리가 매일 접하지만 정말 거부감이 드는 대중문화와 호감이 가는 대중문화가 있다. 대중문화가 우리에게 별로 영향을 주는 것 같지 않아도 우리의 모든 것이 바로 대중문화인 것이다. 좋지 않아 보이는 대중문화도 분명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내가 거부감이 드는 대중문화가 있더라도 그것의 존재이유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중문화라는 것은 너무나도 범주가 크기 때문에 그것 하나하나도 사람들 마다 생각하고 받아들이기 나름일 것이다. 자기 스스로 이성적으로 옳고 그름을 자각하여 대중문화의 좋은 점을 알고 발전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그리고 잘못된 점에 대한 비판도 서슴없이 하여 우리의 대중문화를 더욱 발전시켜 나갔으면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