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eikurs민주적 부모교육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reikurs민주적 부모교육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단순히 수정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아동행동의 수정은 아차적인 것으로 자기만족감, 협동심 등을 길러주는 것이다. Adler의 개인심리학에 입각한 Dreikurs의 부모교육연구회는 다음과 같은 심리학적 원리에 기초한 목표를 갖는다.
(1) 부모-자녀간의 민주적 관계는 친절과 변치 않는 안정된 태도로 상호존중과 신뢰에 기초를 둔다.
(2) 부모가 어린이의 잘못된 행동목표를 이해하고 이러한 행동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이해는 어린이를 심리학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다.
(3) 모든 사람이 동등한 참된 민주 사회에서는 상이나 처벌이 별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참된 권위란 사회적으로 꼭 필요한 상화에서는 자연적논리적 결과에 의해 어린이는 자신의 행동의 결과가 어떠한지 스스로 배우게 된다.
(4) 어린이를 한 인간으로서 사랑하고 신뢰하고 지지하고 그들의 가치를 존중해 줌으로써 어린이 자신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존감을 갖도록 격려하는, 그들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신뢰를 갖게 하는 다양한 수단이 된다.
이와 같이 긍정적인 관계를 통해 부모가 자녀에게 보다 건설적인 자세와 행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 부모-교사 교육센터
1939년 Dreikurs는 부모상담센터를 설립하여 부모교육을 위한 가정상담, 교육, 정신요법 등을 실시하면서 아들러의 이론을 크게 발전시킨다. Dreikurs의 상담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부모들은 다른 부모집단에서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주로 상담치료보다는 부모교육과 가정교육을 중점으로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게 되었는데 부모들의 참여가 활발해지자 ‘가정교육협회’로 그 이름을 개칭하여 가족상담과 부모교육을 활발히 실시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58년에 오레곤 대학에 아들러 학파의 부모-교사 교육센터가 설립되고, 현재까지 Dreikurs는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 부모교육, 가족상담, 상담치료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부모-교사 교육센터에서는 부모와 자녀 그리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에 관한 상담을 실시한다. 또한 유아교육에 관심이 있고 유아와 관계되는 일을 하는 기관의 직원이나 지역사회 단체의 구성원들 그리고 사회사업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을 워크샵이나 세미나의 형식을 통해 실시한다. 교재는 Dreikurs의 “어린이 ; 도전”을 주로 사용하며 Adler와 Dreikurs의 개념은 부모효율성을 위한 체계적 훈련(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 STEP)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정갑순, 부모교육론, 창지사,1996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학, 교육과학사, 1998
Jaffe, Michael L, 부모교육, 창지사, 2000
이숙, (훈련 중심) 부모교육, 학지사, 2002
이숙희, 현대사회와 부모교육, 교육아카데미, 2003
유안진·오영희, 부모교육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3
김진영, (유아·부모·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창지사, 2004
케이드미느 MTS 기독교종합자료
다음카페 - 다박솔의 꿈 ‘민주적 부모교육 이론’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3.12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