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
☆정보의 공개를 통한 상호보완적인 리더쉽
3. 결론
2.본론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
☆정보의 공개를 통한 상호보완적인 리더쉽
3. 결론
본문내용
노대통령이 부산시에서 여러번의 당선실패를 경험했듯이 링컨 또한 여러지역에서 당선실패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때에 노대통령의 낙선이유는 극심한 지역주의 였고, 링컨의 낙선 이유는 가장 큰 이유는 남부지역의 노예해방이 가장 큰 이유와 이후에 대통령후보가 될 수 없다는 이유로 제시되는 학력의 낮음과 공직생활 경험의 적음이 있을수 있다.
이와 같이 수 많은 우여곡절 속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는 두 대통령의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정치적인 리더쉽에서 정치 철학에서는 어떤 차이 어떤 공톰점이 있는가?
(3)노무현의 정치적 리더쉽가 링컨과의 닮은점 그리고 대안모색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노대통령의 가장 대표적인 리더쉽 덕목이다. 가장 많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걸어온 행보에서도 쉽게 찾아 볼수 있는 리더쉽이다.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조직구성원들에게 올바른 방침을 제시하는 철인형 지도자가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이 다양한 견해를 자유롭게 표출하도록 만들고 이견과 대립을 조정하고 절충하여 합의를 이끌어 내는 능력을 가진 지도자, 인격적 카리스마가 아니라 비전과 제도화된 절차를 통해 조직을 이끌어 가는 민주적 리더쉽을 추구하는 것이다.
과거에 존재하였던 지도자들과 같은 제왕적 리더쉽과 차별화된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대통령으로서의 국회와 내각과 사법부에 대한 지배력을 포기하고 분산할수 있는 모든 권한을 각급 지방자치 단체와 장관과 행정부처에 넘김으로써 삼권분립의 원칙을 존중하고 자율의 정신에 따라 국가를 운영할수 있는 리더십을 추구 한다.
이러한 원리는 과거 노대통령이 해양수산부 장관당시에도 직원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였으며 격의 없이 직원들과 이메일 대화하는 등의 수평적 토론문화 확산, 다면평가등 인사평가 시스템 등을 만드는데 주력해 공직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이때의 활동을 낮은자세의 리더쉽으로 공직사회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 넣었다는 평가 또한 받고 있다.
이러한 리더쉽은 링컨의 정치활동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자신을 불신하는 정치인에, 부하직원에게 자신의 권력에 복종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닌 끝없는 신뢰와 믿음으로 그사람이 자신에 권위에 따라올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한 자신이 한번 믿고 맡긴 사람이라면 주위에서 어떠한 평가가 나오더라도 그사람이 소신을 가지고 자신이 맡은바 일을 잘할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링컨은 겸손한 권력으로 유능한 인
이와 같이 수 많은 우여곡절 속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는 두 대통령의 공통점이 있다.
그렇다면 정치적인 리더쉽에서 정치 철학에서는 어떤 차이 어떤 공톰점이 있는가?
(3)노무현의 정치적 리더쉽가 링컨과의 닮은점 그리고 대안모색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노대통령의 가장 대표적인 리더쉽 덕목이다. 가장 많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가 걸어온 행보에서도 쉽게 찾아 볼수 있는 리더쉽이다.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조직구성원들에게 올바른 방침을 제시하는 철인형 지도자가 아니라 조직구성원들이 다양한 견해를 자유롭게 표출하도록 만들고 이견과 대립을 조정하고 절충하여 합의를 이끌어 내는 능력을 가진 지도자, 인격적 카리스마가 아니라 비전과 제도화된 절차를 통해 조직을 이끌어 가는 민주적 리더쉽을 추구하는 것이다.
과거에 존재하였던 지도자들과 같은 제왕적 리더쉽과 차별화된 수평적 민주적 리더쉽은 대통령으로서의 국회와 내각과 사법부에 대한 지배력을 포기하고 분산할수 있는 모든 권한을 각급 지방자치 단체와 장관과 행정부처에 넘김으로써 삼권분립의 원칙을 존중하고 자율의 정신에 따라 국가를 운영할수 있는 리더십을 추구 한다.
이러한 원리는 과거 노대통령이 해양수산부 장관당시에도 직원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를 기울였으며 격의 없이 직원들과 이메일 대화하는 등의 수평적 토론문화 확산, 다면평가등 인사평가 시스템 등을 만드는데 주력해 공직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또한 이때의 활동을 낮은자세의 리더쉽으로 공직사회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 넣었다는 평가 또한 받고 있다.
이러한 리더쉽은 링컨의 정치활동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자신을 불신하는 정치인에, 부하직원에게 자신의 권력에 복종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닌 끝없는 신뢰와 믿음으로 그사람이 자신에 권위에 따라올수 있도록 만들었다. 또한 자신이 한번 믿고 맡긴 사람이라면 주위에서 어떠한 평가가 나오더라도 그사람이 소신을 가지고 자신이 맡은바 일을 잘할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링컨은 겸손한 권력으로 유능한 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