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이 개척한 민중문화 {지방자치의 시대, 5.18민중항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중이 개척한 민중문화 {지방자치의 시대, 5.18민중항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현대는 지방자치의 시대이다

5.18민중항쟁

본문내용

체 구현 등 많은 이야기를 남기고 27일 새벽 2만 5,000명에 달하는 군을 투입한 무력진압에 정부공식 발표 사망 191명, 부상자 852명을 내고 막을 내렸다.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의 사회운동은 1970년대의 지식인 중심의 운동에서 민중운동으로의 변화를 가져왔고, 국민들의 대미인식 변화와 함께 사회운동의 목표로 민족해방 사회주의 등이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기점이 되었다.
발발 당시에는 불순분자와 폭도들에 의한 난동으로 규정되었다가 1988년 6공화국 출범 직후 국회에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정식 규정하였고, 1988년 11월 사건규명을 위한 국회청문회를 개최했다. 1997년부터 헌법으로 지정한 민중항쟁으로 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그 지역의 정체성을 그 지역의 문화만큼 잘 나타내 주는 것은 없다. 영산강이 흐르는 남도에는 다양한 문화들이 있다. 양반문화도, 민중문화도, 또 여러문화들이 융합된 문화들도 있다. 그 중에서 나는 민중이 개척한 민중 문화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이것이 호남문화의 정체성에 대해 잘 나타내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화적 정신이 끊어지지 않고 계속
계승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내 자신도 이 정신을 이어 받아야 겠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5.03.12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